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워니 Jan 27. 2018

투기의 역사속에서 무엇을 고민해야 할까

에드워드 챈슬러의 금융투기의 역사를 읽고

1. 
나의 또래들이 대부분 그렇듯 암호화폐는 난생 처음으로 겪고 있는 투기의 장이다. 이 투기의 장에 뛰어든 친구들 중 일부는 일생에 다시 없을 기회라며 사뭇 진지한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되물림되는 부의 질서는 웬만한 노력으로는 바꿀 수 없는 법칙쯤으로 생각했던 우리 세대에게 150만원으로 10억을 번 사람들의 이야기는 이목을 사로잡을만 했다. 오랜 기간 힘겹게 모은 돈과 무리해서 대출을 받은 돈까지 몽땅 각종 화폐들을 사들이는데 쓰며 내가 산 이 화폐가 인생을 바꿔줄 것이라 믿기 시작했다.


나는 그 친구들처럼 위험을 부담하며 암호화폐에 인생을 걸지는 않았다. 그렇다고 그 친구들의 마음이 이해되지 않는 것도 아니었다. 나또한 이런 기회가 다시 없을 엄청난 기회라고 느껴졌지만 나의 기회가 아니라 생각하며 보냈을 뿐이었다. 혹여 운이 좋아 다음에 또 이런 투기의 기회가 오면 좋겠다 정도로만 생각했다.


그런데 내 생각보다 투기는 꽤나 자주 일어나는 사건이었다. 기원전 2세기 로마시대에 출발하여 1630년대 튤립투기부터 갖가지 종류의 투기를 거치며 현재의 비트코인 투기까지 셀 수 없이 많은 투기들이 있었다. 세상에 새로운 기술이 빠르게 등장할수록 투기의 간격도 점점 짧아지고 있다는 느낌마저 받았다.


그렇다면 다음 투기의 시장을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이 큰 돈을 벌 수 있는 역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철도가 그러했고 암호화폐가 그러했듯 다음 투기의 기회를 잡으려면 남들보다 먼저 뛰어들어가 있어야 했다. 부풀어오를 시장을 찾을 수 있는 능력이 중요했다. 이 능력은 개발될 수 있는 것인가? 각종 투기의 시장에서 낌새를 먼저 눈치챘던 사람들은 어떻게 그럴 수 있었을까?



2.
우리 부모님만 해도 암호화폐에 뛰어드는 젊은 친구들을 투기나 하는 한심만 놈들로 취급했다. 보편적인 노동 외의 행위로 큰 돈을 벌려는 욕심은 이 세상에서 양심없는 악행으로 취급되고 있었다. 아이러니한 점은 노동만으로 큰 돈을 버는 것은 매우 힘들다는 사실이다. 쉽게 큰 돈을 벌고자 하는 욕망은 누구에게나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쁜 일로 취급된다.


지분을 받고 일했던 회사가 상장을 하여 큰 돈을 벌게 된 청년은 선견지명이 있는 건실한 사람으로 칭송받는다. 그러나 전재산을 쏟아부어 가상화폐 투기에 매진해 큰 돈을 번 청년은 위험천만한 모험에서 아주 운좋게 살아남은 투기꾼의 취급을 면할 수 없다.


누구나 자신이 믿는 가치에 인생을 베팅한다. 그것이 노동의 형태든 돈의 형태든 다양할 것이다. 그런데 왜 우리의 사회는 돈의 형태로 베팅을 하는 것을 투기 혹은 도박이라 칭하며 부정적으로 바라보는걸까? 세상의 부는 제로섬 게임이란 믿음이 팽배해서 그럴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