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희재 Nov 23. 2020

우울증약으로 모든 게 해결될까?




기본적인 우울증약은 고혈압이나 당뇨약처럼 평생 먹어도 괜찮을 만큼 안전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물론 모든 약에는 부작용과 위험성이 따르기에 장기복용은 조심스럽지만, 우울증약이라고 해서 특별히 더 위험하지는 않다는 말이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약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 바다에서 빠져나오게 도와주는 튜브 역할로만 끝내는 게 좋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충분히 알고 이해하고 먹자.


우울증을 유발하는 원인은 사회심리적, 유전적,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데, 그중 생물학적 요인이 가장 큰 지지를 받고 있다. 우울증은 간단히 설명할 수 있는 병도 아니고 기전이 완벽하게 밝혀지지도 않았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우울증약이 작용하는 생물학적 기전을 설명해 보겠다.





한 신경세포에서 분비된 신경전달물질이 다른 신경세포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신경전달물질이 원활하게 전달돼야 쉽게 말해 뇌가 빠릿빠릿하고 잘 돌아간다. 전달이 원활하지 않으면 뇌가 멍해지고 침체된다.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신경전달물질이 부족하면 결국 우울증이 유발된다.




-       A (분비) :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된다.

-       B (재흡수) : A의 일부는 도로 재흡수되어 전달되지 않는다.

-       C (전달) : A에서 B를 제외한 나머지가 전달된다.


즉 A-B=C라고 간단히 공식을 세울 수 있다.     



우울증 환자는 A 즉 분비량 자체가 장기간 적게 유지되어, 자연스레 C 즉 수용체로의 전달량도 낮아져 있다. 그러다보니 점점 수용체의 민감성이 떨어져서 C의 효율이 낮아진 상태이다. 신경전달물질이 원활히 전달되지 않으니 기분이 다운되고 감정조절이 안 되고 집중력이 떨어지는 등, 뇌가 온전히 기능하지 못한다.



우울증약은 B 즉 재흡수 과정에 관여한다. 재흡수 양을 줄여서 C로 넘어가는 양을 늘리는 것이다. 그러면 점점 뇌에 활기가 생기면서 기분이 좋아지고 힘이 난다. 이 상태가 꾸준히 유지되면 나아가 고장난 수용체의 민감도가 제기능을 되찾을 수 있다. 이것이 약으로 우울증이 치료되는 기전이다.


안타깝게도 A 즉 분비량 자체를 늘릴 수 있는 약은 없다. 우리 몸에서만 만들어낼 수 있다. 약으로 B를 낮춰 C를 올리는 것은 임시방편이라 생각해야 한다. 결국은 우리가 A를 올리는 방향으로 일상을 관리해야 한다.


 


정리하자면, 우울증약에 끝까지 의존해서는 안 된다. 우울증약이 치료에 효과적인 견인 역할을 해 주는 건 맞지만, 약의 도움으로 에너지가 생기는 즉시 일상 관리를 시작해야 한다. 연구에 따르면 우울증약을 먹은 환자들은 3개월 내 일시적 호전을 경험하지만 그중 60%가 1년 후 여전히 우울증 진단을 받는다고 한다. 그래서 우울증약의 효과가 위약 효과일 뿐이라는 주장도 있다. 물론 나처럼 약을 먹고 머리가 놀랍도록 맑아지는 경험을 한 사람은 이에 동의할 수 없지만.


어쨌든 분명한 건 내 의지가 개입할 수 있을만큼 상태가 호전되면 그때부터 기를 쓰고 나와의 싸움을 시작해야 한다. 최대한 스트레스를 줄이고, 가족들의 도움을 구하고, 부정적 생활패턴을 깨야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육아가 힘들었던 진짜 이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