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재현 감독님 진짜 사랑해요
(스포 없음 아무 스포 없이 꼭 보세요)
귀하다 귀해. 정말.
영화 <파묘>를 보고 영화관을 나오면서 계속해서 중얼거린 말이다. 정말.. 이런 장르 영화와 영화를 만들어내는 감독은 정말 귀하다. 그런 마음 아는가. 영화를 보면 나도 모르게 아쉬운 것들이 보인다. 보일 수밖에 없다. 세상엔 완벽한 것도 없을뿐더러 사람마다 주관적으로 콘텐츠를 소화하기 때문에. 그럴 땐 괜스레 아쉬운 마음을 몇 자 메모장에 눌러쓰기도 하고, 또 반대로 너무 좋았던 것들을 줄줄 써내리기도 한다.
그런데 파묘는, 파묘는. 그런 모든 것들을 적기가 싫었고 그냥 사랑해요만 외치고 싶었다. 그렇다고 내가 작년에 1, 2위로 꼽았던 영화들보다 백 배 천 배 좋았냐 묻는다면 그것도 아니다. 아쉬운 점? 있지. 근데 그런 게 하나도 안 중요하다. 이게 오타쿠의 마음일까? 오타쿠의 마음이 뻐렁친다 정말. 어떤 이들은 분명 말할 거다. 아니 그게 좀 별로지 않았어? 어쩌고저쩌고 하지만 “알빠노?ㅎ”
한국의 영화 산업이 커지고 위상이 높아지면서 정말 좋은 영화들이 쏟아져 나오지만, 미스터리 부분에선 유독 아쉬웠던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외 미스터리, 공포 영화를 보면 재밌는 건 당연히 재밌긴 하지만, 뭐랄까 볼 때마다 이 영화와 감독이 의도한 감정을 내가 100%까진 느끼지 못한다고 늘 생각했다. 이를테면 ‘사랑’이나 ’ 상실‘, ‘희생’ 같은 것들은 인류 보편적 타당성의 감정이다. 환경과 인물이 달라져도 그들이 공유하는 그 감정들은 서로 지구 반대편에 있더라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서스펜스까지도 나는 어느 정도 그 안에 포함되는 것 같다.
그러나 미스터리나 공포 영화에서 의도하는 공포는 영화에서 설정한 환경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그 환경에 살아본 사람만이 아는 미세한 공포. 그 문화권에서 살아봤기 때문에 알 수 있는 가느다란 두려움. 그러나 공포와 두려움은 미세하고 가늘더라도 그 몸집을 쉽게 불린다. 무섭다고 소문난 영화 <유전>이나 <컨저링>보다 영화 <곡성>이 백 배 더 무서운 이유다. 유전이나 컨저링을 볼 때는 거대한 스크린과 양옆의 어두움에 함께 압도되는데, 사실 영화가 끝나고 그곳을 빠져나오면 몇몇 무서운 장면의 잔상만 남지 뒷목이 계속해서 서늘하진 않다.
그러나 <곡성>을 보고 나면 모든 어두운 길이 두려워지고 시골은 특히 더 무섭고 골목 무당집 간판만 봐도 무서워진다. 겁이 없는 편인 나도 <곡성>을 보고서 내내 뒷목이 서늘하고 혼자 자기가 도저히 무서워 애인 집에서 함께 오들오들 떨면서 잤다. <사바하>도 내가 참 좋아하는 영환데, 곡성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토속 문화나 다름없는 불교를 이렇게나 재미나게 갖고 놀고 계다가 여아 살해라든가 사이비라든가 일제 강점기라든가 이런 실제 내가 사는 문화권의 역사 문화적 배경과 엮어 놓으니 반하지 않을 수가 없다.
아무튼. 파묘를 볼 때도 아쉬운 점 당연히 있었고, 오히려 처음엔 나 역시 읭 했던 장면들이 분명 있었다. 그렇지만 영화가 끝나고서 나는 귀하다와 사랑한다를 되뇔 수밖에 없었는데, 그것은 결말의 완벽함 때문이 아니라 오로지 감독님의 뚝심 때문이었다. 그렇다. 그는 하고 싶은 게 늘 명확했고 이번 영화에서 그 모든 걸 밀어붙였음을 알 수 있다. 이장은 물론이고 풍수지리로 땅을 보는 지관이라든가, 음양오행이라든가, 무당이라든가, 염을 하는 장의사라든가 이렇게 한국의 문화권의 소재들을 엮으니 픽션을 보는데도 현실감이 느껴진다. 감독은 인터뷰에서 어린 시절 이장의 경험이 엄청 인상 깊었고 거기에서 시작된 영화라고 했다. 누구나 이런 묘한 경험들 있지 않나? 흐릿한 기억 속 죽음을 처음 느낀, 슬픔보다 앞서던 공포의 감정. 장재현 감독님과 같은 문화권의 사람이라 행복하다.. 그래서 감독님 다음 작품은 언젠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