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elix Feb 14. 2022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지금은 틀리고 그때는 맞았다

대 FOMO시대의 후회


 유례없는 유동성이 불러일으킨 대 FOMO의 시대에 대해서 백인백색의 의견이 있을 것이다. 시장보다 많이 오서독스한 투자자라면(혹은 스스로를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라면), FOMO에 의거한 투자는 감정에 휘둘리는 천치들이나 하는 투자라고 할 것이다. 어떠한 자산군에서 혹은 직업군에서 밥을 벌어먹고 살았는지를 막론하고, 밥벌이 기간이 상당하면서, 밥벌이의 근원이 의사결정의 결과에 많이 지우치는 사람들이라면 FOMO에 대해 양가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없다면 그의 행동은 밥벌이가 아니라 종교다, 종교. 그것도 아주 독실한.)


 FOMO와 그 유사한 감정에 의한 투자를 가장 배격했던 곳에서 가장 오랜 시간 밥을 먹었던 나도 FOMO에 대해서는 여러 감정을 느낄 수밖에 없다. 여의도의 많은 펀드 매니저들이 운용사나, 리서치에서 커리어를 시작한 것과 달리 나는 증권사 지점에서 첫 월급을 받기 시작했다. 첫 직장은 분당 어딘가로, 당시에 버블세븐으로 들썩이던 동네였다. 그때 지금의 내 나이 언저리의 과차장들이 주식을 다 털어서 죽전에 집을 샀고, 한동안 하우스 푸어로 신문에 오르내리는 인간군상들이 되었다. 꼴에 금융위기 최저점에서 주식을 사서 잘 먹은 걸로 시건방을 떨던 나는 그들을 보며 다짐했었다. '븅신들... 난 저렇게 살지 말아야지.' 그리고 10년이 지나 늦은 결혼을 하고, 매일 자고 일어나는 부동산 가격에 미칠듯한 공포를 느낀 나와 내 세대들은 2명만 모이면 부동산 이야기를 하게 되었다. COVID 19에서도 마찬가지다. 전쟁과 같은 시장판에 다 떡락했지만, 이 바닥에서 포트를 안 바꾸면 엿된다는 강한 공포감에 플랫폼 관련 업종의 비중을 늘리면서 본부장과 CIO의 개갈굼을 당했다. 상사한테 갈굼 당하는 공포보다, 포트를 못 바꿔서 뒤쳐지는 게 싫다는 공포감이 더 컸던 것이다.


 투자만이 FOMO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다.  방송에서 유명해진 독신 노숙자 할머니가 내가 나온 학부 선배라는 것이 알려졌는데, 여의도의 학부 동기들끼리 그런 말을 했다. "저렇게 되지 않으려면, 일단 결혼을 해야겠어". 아마 방송 당시 결혼 적령기였던 내 동문들의 일부는 결혼을 다짐하는 데 있어서 한 5%쯤은 방송을 보고 무서워서 결혼을 했을 것이다. 광화문에서 인턴을 하며 그 할머니를 직접 목격했던 나는 한 7% 정도 영향을 받았다.


 가장 최근에 내 FOMO는 NFT가 불러일으켰다. 여의도의 누가 코인으로 몇십억을 벌었네, 백억을 벌었네 소문을 듣고 코인을 못 산 사람들끼리 자신의 바보 같음을 자책하는 곡소리가 여의도 공원 곳곳에서 울려 퍼졌다. 그게 가장 극심한 시기에 전 직장의 후배-후배라기엔 나보다 훨씬 똑똑하고 주식도 잘하는-와 여의도 공원을 돌면서 왜 도대체 우리는 코인을 공부하지 않았는가를 자책하며, 자책하면 할수록 더 괴로워지는 FOMO의 수렁에 빠졌다. 그렇다기엔 이미 너무 자포자기라 부나방처럼 뛰어들지 않았다는 차이가 있을까?


 FOMO 때문에 가장 괴로움이 극심한 사람은 포지션이 없는 사람이 아니다. 나도 나름의 포지션이 있는데, 내 것만 안 움직일 때 가장 FOMO가 심하고, 여기서 투자자산을 바꿀 때, 잠재적인 피해가 가장 심하다. 오서독스한 투자자들은 그래서 주가가 망해가도 포트폴리오 변경을 안 하며, 이는 그래서 모멘텀 열위에 있는 종목들의 투자 열위가 지속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논문에도 나온 내용이다)


 운용사를 나와서 나름대로 성장성이 살아있는데, 배운 선에서 싸다고 생각하는 종목을 샀고 참 안 올랐다. 남들 버는 거에 눈이 뒤집혀서, 남들이 한다는 상따도 해보고, 모멘텀 투자도 해보려고 했지만 결과는 살살 녹는 계좌였다. 결국, 하던 거나 잘해야 하는 게 맞는가 하는 회의감이 들고, 그냥 처음 눈에 들어온 종목 하나나 가져가기로 했다. 같이 자책했던 후배가 추천해줬던 가상자산의 플랫폼이 C모사에 인수된다는 이야기를 듣고, 후배한테 연락했다. 많이 먹었냐는 나의 질문에 후배가 답했다.


"여기저기 기웃대기도 했는데, 의미 없습니다. 역시. 여기저기 기웃거려봤자 돈도 못 번다는 게 진리인 듯요."


 한국시장 같은 곳에서 스타일 투자의 성과는 타임 호라이즌을 어떻게 두냐에 따라서 결과가 극명하게 갈린다.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릴 수 있는 것이다. 시장 바닥에서 있다 보면 많이 듣는 얘기 중 하나가, 역사 공부를 많이 하라고 하는 것이다. 결국 사이클은 돌고, 과거는 되풀이된다는 얘기다. 그때도 맞고 지금도 맞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누군가가 최근에 지적했듯이, 역사는 늘 똑같이 되풀이되지 않는다.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는 것이다.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사실 이 영화 안봄.


 홍상수가 김민희와 사귀기 전, 홍상수의 영화는 죄다 자신을 투영한 자기반성이 매력적인 영화라고 생각해 시네큐브 같은 곳에서 홍상수 영화를 주야장천 봤었다. 이 글을 쓰려고,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영화의 내용을 떠올리려고 하니, 당최 떠올려지지가 않았다. 생각해보니, 영화가 개봉한 지 얼마 안 돼서, 홍상수가 김민희가 사귄다는 말에, 자기반성이 아니라 자기 미화였구나 현타가 와서 안 본 것이었다.


 그의 영화는 같은 영화 안에서도 미묘한 변주를 두고 내용을 되풀이하는데, 다른 영화끼리도 남자가 여자를 어떻게 해보려고 수작이나 부린다는 큰 줄기는 비슷하다. 북촌방향이나, 우리 선희, 낯선 나라에서 등등 내가 봤던 많은 홍상수 영화들은 등장인물만 다르지 내용은 다 거기서 거기다. 여의도 밖에서 보는 여의도 사람들도, 이놈이나 저놈이나 죄다 똥 같은 놈들처럼 보일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대 FOMO의 시대에서 새 시대에 걸맞은 투자를 하지 못하는 자신을 자책하며, 그래도 자기 위안을 해보려고 한다. 홍상수 영화의 대사 하나와 함께 말이다.


파고 또 파고, 파고 또 파고, 파고 또 파서 끝까지 가야 너의 한계를 알게 되는 거고, 그게 너 자신을 알게 되는 거야 인마.

<우리 선희>



어느 장면에서 '파고 또 파고'가 나왔는지 기억은 나지 않지만, 확실한 것은 술 마시는 장면에서였다.






작가의 이전글 양탄자의 무늬와 모멘텀 투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