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허성완 Dec 26. 2019

슈뢰딩거의 소망이


7월 21일. 소망이가 죽었다. 아니, 정확히는 죽임을 당했다. 그는 안락사(존엄사)되었는데 그건 그의 선택이 아니었으므로, 그리고 그러한 의사를 밝힌 적이 없으므로 엄격히 말해 난 그가 당했다고 말하는 수밖에 없다. 그와 더 충분히 이야기 나눌 수 있었다면! 역시나 나의 게으름과 이기심을 질타하는 수밖에.

살해의 과정은 지나칠 정도로 간단했다. 고요한 수술실의 군청색 수술대 위에 누운 채 가까스로 숨을 이어가고 있던 그를 보내는 데 새끼 손가락 만한 작은 주사기 두 개면 충분했다. 의사는 친절하게도 두 주사의 각기 다른 용도를 설명해주었다. 이미 옅어져 있던 그의 심장은 마취용인 첫 번째 주사로도 사실상 멎고 말았다. 아무도 울지 않았다. 다행인지 그간 우리는 울음을 나눠서 갚아왔기 때문이었다. 소망이는 수개월을 앓았고 그 기간이 우리에겐 슬픔의 분할 납부 기간이었다.


소망이는 흰 상자에 담겨 나왔다.

그것은 지나칠 정도로 무성의했다. 난 아주 난감하였다.


소망이는 흰 상자에 담겨 나왔다.

난 그 상자를 열어보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 순간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떠올랐기 때문이었다. 슈뢰딩거가 양자역학을 조롱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그 사고실험에 따르면 상자에 담긴 고양이는 상자를 열기 전까진 살아있는 상태와 죽은 상태가 “중첩”되어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소망이는?

물론 난 소망이가 죽는 것을 지켜봤지만 그럼에도 상자는 열어보지 않았다. 아무튼 간에 그 “중첩” 상태를 영원히 끝내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난 언제나 인간과 사회에는 기억량과 망각량이 정해져 있다고 생각해왔다. 우린 무언가를 기억하기 위해선 무언가를 잊어야 하고, 무언가를 잊기 위해선 무언가를 기억해야만 한다. 어느 쪽이든 값을 치뤄야만 대가를 얻을 수 있다. 그건 내가 아는 세상의 원리다. 따라서 우린 무엇을 기억하고 무엇을 망각할지를 잘 “선택”해야만 하는 것이다. 반드시 기억해야만 하는 걸 기억하기 위해선 망각에게 미끼를 던져주어야 한다. 소망이를 기억하기 위해 난 어떤 미끼를 사용해야 할까.


슈뢰딩거의 소망이.

난 그에 관한 기억을 다섯 개의 감각으로 재구성해보고 싶어졌다.

그리고 그를 기억하기 위한 다섯 개의 미끼를 찾아보기로 했다.








2019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