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성냥 Oct 04. 2023

여행 떠나는 날

공항으로 가는 버스 정류장

 새벽 1시가 되어서야 겨우 잠들었는데 새벽 3시 30분 엄마의 도마질 소리에 잠에서 깼다. 5시 30분까지는 자도 됐는데 다시 잠에 들지 못했다. 간헐적 단식으로 아침 거르는 거 이미 알고 있고, 전날 빈속에 비행기 타고 싶다고 말했는데, 엄마는 이미 이 새벽에 고등어까지 구워놓고 밥을 먹으라 한다. 상대가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주는 사랑. 상대가 원하든 원하지 않는 넘치기만 하는 사랑. 그 사랑에 보답하기 위해 밥을 먹고 속이 불편한 채로 길을 나섰다. 하지 않는 거 뻔히 알면서도 새벽에 고등어를 굽는 마음이 어떤 건지 난 모른다.

 

밥먹이기는 엄마들의 운명인가. 얼마 전 읽는 글에서 요양원의 할머니들이 집에 간다고 보따리를 싸시는 얘기가 나왔는데,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도 잃어버린 여성들이 집에 가서 밥 해야 한다고 매일 짐을 싼다고... 누가 원했을까. 밥 먹이기를, 밥 하기를. 밥해 먹이기는 것 외에 다른 가능성을 빼앗긴 것처럼 집착해야 하는 밥해먹이기. 엄마의 밥해먹이기 노동으로 평생을 편하게 살아왔다. 살고 보니 마음이 많이 복잡하다. 미안하고 안쓰럽고 피하고 싶고 편안하지 않다. 만주에서 말 타고 천하를 호령할 성향을 가진, 똑똑하고 용감한 엄마의 평생을 밥 짓기 노동에 소모한 시간이  안타깝고. 지금에 와서 아무 소용없는 이야기지만, 엄마의 시간을 되돌려줄 수 있다면 내 인생도 많이 달라질 것이다. 많은 여성들이 그럴 수 있다면 한국 역사도, 인류의 역사도 달라질 것이다. 한 사람의 인생을 밥해먹이기 노동에 갈아 넣은 결과로 가장 큰 이익을 본 건 자본가다. 그들이 미안해하지 않으므로 내가 더 미안해하려니 속상하고 분하다.      


이른 아침의 풍경. 날은 환해졌고, 출근하는 사람들이 버스정류장에 모여있다 모두 가야 할 곳으로 떠났다. 양복 입은 젊은 남자 한 명을 빼고는 모두 중년의 여성들이다. 이들은 밥을 하지 않고도, 그 밥으로 누군가를 먹이지 않고도 집을 나설 수 있었을까. 하루를 또 다른 장소에서 노동으로 채워가야 할 일상이 남은 사람들. 이 사람들 속에서 공항으로 출발할 버스를 기다리는 나의 일상은 조금 뻔뻔한 것 같다. 노동에서 비껴가 있으므로. 뻔뻔해서도 또 미안하다.  



나와 나의 배낭만 남은 정류장. 낯선 거리, 낯선 공기, 낯선 잠자리, 낯선 사람들이 어떤 에너지를 줄까. 힘들고 피곤하고 또 때론 재밌고 신나겠지. 그 하루가 성실하고 그 나름대로 또 근사하다는 거. 그 속에 나의 웃음과 이야기를 상상해 왔다. 그저 시답지 않은 낄낄거림으로 시작된 첫 만남도 새롭고 진중한 이야기를 품고 있을 수 있으니까. 이 낯선 곳에서 또 다른 에너지를 품고 퍼지고 있을 테고. 날 만난 여행자 혹은 현지인들도 또 자기만의 이야기를 만들어가겠지. 나는 그래서 무슨 이야기를 더 써갈 수 있을까.  나도 궁금한 나의 이야기. 그리고 그 이유도 뻔한, 아직도 남아있는 불안과 죄책감. 심리상담사는 책임질 수 있는 건강한 죄책감으로 만들고 괴로움도 행복도 잘 섞어 승화시킨 후 Good Enough 단계로 가면 된다고 한다. 맞말.  


결국 영면한 밀란 쿤데라는 '인간의 삶이 아무리 찬란하고 아름답고 가혹해도 죽음 앞에서는 그림자일 뿐이다. 인간에게서 남는 것은 이야기뿐. 이야기만이 그 삶을 기억하고 그 고통과 기쁨과 슬픔을 살아있게 만든다.'라고 썼다. 그렇게 그는 살아있지 않은 상태가 되었지만 근사한 이야기를 남겼다. 나에게만 소중한 이야기들이라 해도 이렇게 소멸의 공포를 벗어나는 수밖에 없다. 영원회귀 되면 좋겠지만.


매거진의 이전글 여행 떠난 후 처음 쓰는 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