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임희걸 Oct 27. 2024

진정성 있는 리더십

모든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리더십

진정성을 가진 리더의 시대


앞으로 권위보다는 진정성이 우대받는 시대가 온다. 개인보다 전체가 중요하다고 여긴 사회에서는 권위주의가 통용되었다. 구성원 전체가 단합하여 환경적 어려움을 이 이겨내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던 고도성장기에는 권위주의가 통할 수 있었다. 이제 우리나라도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면서 개인주의가 퍼져나가고 있다. 앞으로는 더더욱 개인주의 가치가 두드러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아직도 시니어들은 잘못한 후배를 따끔하게 질책하는 엄한 상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정작 누구도 그 역할을 맡기는 싫어하지만, 필요성만은 공감한다. 결국은 강하게 질책하는 역할은 팀장에게 떠넘기기 좋다.


“팀장님, 요즘 수진 과장이 치열함이 예전 같지 않습니다. 맡은 기획안을 빨리 끝내려고만 합니다. 예전만큼 치열하게 고민하고 좋은 대안을 내놓지 않아요. 따끔하게 혼 좀 내주십시오. 아이를 낳더니 대충 일해놓고 집에 가려는 생각인가 봐요.”


이런 판단은 권위적으로 쉽고 빠르게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발상에서 나온다. 개인주의와 자율의 세대에게 이런 접근 방식은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물론 때로는 팀의 명확한 방향성 제시를 위해 엄격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엄격한 피드백은 꼭 필요한 때에만 사용해야 한다.


이제 리더는 진정성에 기반하여 자율적 규율과 문화로 구성원을 움직일 필요가 있다. 직접적인 질책에 순순히 따를 구성원은 없다. 오히려 반발만 일으키고 진심으로 변화할 생각은 하지 않게 된다.


‘(수진 과장) 아니, 아이가 있다고 팀에서 배려해 주는 것도 아니면서 언제까지 치열함 이런 얘기만 할 거야? 영혼을 갈아 넣는다고 팀장이 나를 선배들보다 먼저 승진시켜 주는 것도 아니면서 말이야. 진짜 정나미 떨어지게 만드네.’


어떻게 구성원을 통제하고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조직을 끌고 갈 수 있을까? 이제는 진정성으로 구성원이 스스로 느끼고 자발적으로 따라오게 만드는 편이 좋다. 진정성이란 진실하고 참된 성품이란 뜻이다. 즉, 구성원의 머리가 아닌 마음을 움직여야 한다는 의미다.




마음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책임지는 자세’와 ‘솔직한 소통’이 중요하다.


"이번 평가는 좋게 주려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상무님이 내가 한 평가 결과를 뒤집으셔서 말이지. 이건 내 의도가 아니었어. 따지고 싶으면 상무님께 직접 말해봐."


인사평가는 100% 팀장의 뜻대로 되지 않는다. 상위 평가자와 의견이 엇갈리면 결과가 뒤집어지기도 한다. 설사 그렇다 해도 평가자로서 팀장이 책임져야 한다. '결과가 내 뜻과 다르게 됐다', '내 탓이 아니다'라고 이야기해 봐야 책임을 회피하려는 것으로 보일 뿐이다. 설사 팀장의 의도와 다른 평가 결과가 되었다 하더라도 최대한 책임지는 자세를 보인다. 책임을 인정하고, 앞으로 함께 성과를 개선하고 더 높은 평가를 받을 방법을 제시하는 쪽으로 면담을 진행하는 편이 좋다.


진정성의 다른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솔직함이라고 생각한다. 팀원은 팀장이 솔직하지 않을 때 이를 금방 캐치한다. 팀장은 팀원이 모르리라 생각하지만, 의외로 구성원은 리더의 진심을 잘 읽어낸다.


"내가 꼭 회사 돈으로 술을 먹고 싶어서 그러는 게 아니라, 팀장들 간에 소통할 일이 많아서 어쩔 수가 없네. 이거 참, 술 때문에 피곤하고 몸 버리고 팀장 자리가 쉬운 게 아니야. 허허허."


매일 저녁 술자리를 전전하는 팀장이 이런 핑계를 늘어놓는다. 누구도 이 말은 믿지 않는다. 그냥 술을 마시고 신세 한탄을 하기 위해 일부러 술자리를 만드는 것임을 다들 안다. 치졸한 변명에 팀장에 대한 신뢰만 손상된다.


멀티 제너레이션 팀에는 과거 팀장이었던 팀원도 있다. 이들은 누구보다 팀장의 애환과 고민을 잘 알기도 하지만, 팀장 직책의 민낯도 잘 알고 있다. 접대를 핑계로 비싼 저녁을 먹고, 직원 화합을 핑계로 술에 취해 자기가 하고 싶은 말만 한다는 것을.




솔선수범의 리더십


리더십의 정수는 뭐니 뭐니 해도 솔선수범이라고 생각한다. 팀장이 가장 어려운 일, 가장 까다로운 일을 직접 처리하는 모습이 바로 솔선수범이다. 리더라면 누구나 솔선수범을 외친다. 그러나 팀원이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실천하는 사람은 드물다. 솔선수범의 진짜 뜻을 잘 모르기 때문이다.


삼국지의 맹장 조조는 조직의 정점에 있는 대장군이었다. 그런데도 종종 가장 위험한 최전선에서 직접 병사들을 지휘했다. 위험을 끌어안고 선두에 서는 모습에 병사들은 조조에 대한 신뢰가 높아졌다. 부상병이 생기면 직접 상처를 치료해주기도 하고 곁에서 간호하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유비 중심의 소설 삼국지에서는 간사한 인물로 묘사되지만, 병사들에게는 솔선수범을 보였던 리더인 셈이다.


어떻게 해야 솔선수범할 수 있을까? 솔선수범은 사실 두 단어가 합쳐진 사자성어이다. 솔선(率先)은 남이 하기 싫어하는 일을 나서서 함으로써 모범을 보인다는 뜻이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중국 전국시대에 큰 공을 세운 ‘주발’이라는 재상이 있었다. 황제는 신하들의 권력을 통제하기 위해 재상들에게 변방 지역의 지방관으로 나가길 권했으나 선뜻 나서는 사람이 없었다. 그러자 가장 촉망받던 재상인 주발에게 ‘솔선을 보여라’라고 명령했다. 수범(垂範) ‘구성원이 리더에게 매력을 느끼고 자발적으로 따르도록 리더가 롤모델이 돼라’라는 뜻이다.


팀장은 한 가지 정도는 팀에서 가장 어려운 일을 직접 해결하는 모습을 팀원에게 보여주면 좋다. 팀에서는 누구나 어려워하는 일이 있다. 어렵다는 건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첫째, 난이도가 높은 일이 있고, 둘째, 누구도 하기 싫어하는 일이 있다. 어렵고 싫어하는 일을 팀장이 직접 해내는 모습은 팀원의 가슴을 움직인다.


예를 들어, 영업팀이라면 팀장이 가장 높은 실적을 올린다. 많게는 팀 전체 실적의 60~70%를 팀장이 담당하고 나머지 팀원들이 부족한 실적을 채우는 팀도 있다. 기획 부서에서는 전략 수립이나 프로젝트 기획 등을 담당한다. 이런 종류의 일은 자료조사 능력, 분석력, 논리적 사고 능력 등이 필요하기에 난도가 높다.


리더가 고난도의 일을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신뢰가 높아진다. 자기는 전혀 실무를 하지 않으면서 입으로면 최선을 다하라고 잔소리하는 팀장의 말에 권위가 실릴 리 없다. 게다가 팀원들은 팀장이 일하는 모습을 보며 자연스럽게 높은 수준의 일 처리 방법을 배우고 실천한다.


직접 시범을 보여주는 건 구성원을 학습시키고 행동하게 만드는 최고의 방법이다. 말을 많이 하는 리더일수록 구성원들을 움직이지 못한다. 말보다 행동의 힘이 강하다. 리더는 백 마디 말보다 한 번의 실행으로 본을 보여준다.

이전 08화 공정한 평가가 디폴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