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는 누군가 Aug 16. 2018

인랑

덧칠된 멜로로 망가진 스토리

멜로 이야기도 타당성이 있어야 납득이 갈 수 있다. 인랑은 처음부터 절대권력이니 국가 위협이니 하면서 한국의 총체적인 난국을 이야기하면서 첫 운을 뗀다. 영화가 시작된 이후에 특수 임무를 수행하는 '특기대'와 정국 주도권을 가지려는 '공안부'의 대결로 이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주인공과 복잡하게 연결된 관계 속에 음모를 그리고 있지만 크게 벌려놓고 수습을 제대로 못하는 형국이다. 게다가 여기에 이상한 멜로의 색깔을 칠하면서 이것도 저것도 아닌 영화가 되어 버렸다. 늑대로 불린 인간병기 '인랑'은 스파이물도 아닌 것이 연인판 아저씨도 아닌 것이 묘하게 흘러간다. 


인간과 늑대의 두 존재를 가지고 있다는 임중경은 쓸데없이 감상적이고 나름 강한 캐릭터처럼 보였다가 연약으로 무장한(?) 이윤희도 이해가지 않는다. 특기대였다가 갑자기 권력욕에 불탄 한상우나 임중경에 대한 막연한 믿음을 가진 장진태, 그 복잡한 관계 속에서 캐릭터의 진정성을 알 수 없는 구미경과 김철진 역시 모호하다. 

 

빨간 망토 소녀를 등장시켜 동화 속의 늑대와 억지로 연결시키면서 영화는 동화 속 세상도 아니고 현실 속 동화도 아닌 방향으로 흘러간다. 굳이 계속 빨간 망토 소녀를 등장시키고 동화 속 이야기를 끄집어내는 이유는 무엇일까. 스타일리시한 액션을 보여주고 위해 무지 노력했다는 것을 알겠다. 근데 왜 싸우는지는 모르겠다. 

한반도의 미래를 그렸다고 하는데 그렇게 미래처럼 보이지도 않고 그냥 현실 같아 보인다. 문제는 현실인데 현실 같지 않다는 데 있다. 어두운 미래를 그리면서 갈등이 증폭되고 그 과정 속에서 희생과 사랑 그리고 권력에 희생되는 존재들을 잘 엮어보고 싶다는 것은 알겠지만 이렇게 엉성하게 풀었어야 될까. 

인랑을 보고 싶은 사람들은 다른 일을 하면서 격투씬이 나올 때 가끔씩 보면 좋다. 멜로라인이 왜 저렇게 흘러가는지 보다가 숨 막혀 죽기 싫다면 말이다. 그리고 사진에서 보듯이 배다리 관통도로 문제는 2018년 현재의 이슈다. 인천 주민들은 동구와 배다리 마을을 가르며 지나가는 1, 2구간의 우선 개통 공사를 저지하며 지난해 9월부터 송현터널 앞에서 300일 넘게 무기한 천막 농성을 벌이고 있는데 그것이 2029년까지 계속되는 모양이다. 이것 말고도 찾아보면 2018년의 티가 팍팍 나는 장면도 많다. 

 

매거진의 이전글 거짓말을 사랑하는 여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