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는 누군가 Apr 21. 2019

한 그릇

김해의 맛보고 김해향교 탐방하기

곰곰이 생각해보면 서양의 음식문화는 주로 접시에 있고 동양권의 음식문화는 그릇에 있다. 펼쳐서 먹는 것이 익숙한 서양과 담아서 먹는 것이 익숙한 것이 바로 동양이다. 한 그릇에 무엇이 담기느냐에 따라 지역의 맛이 갈린다. 어떤 지역은 국밥이 될 수도 있고 어떤 지역은 냉면, 혹은 국수, 덮밥 등이 될 수 있다. 한은 그냥 단위로 하나를 의미한다. 그리고 하나의 그릇이다. 

김해시에는 유명한 국수집들이 많은데 하나같이 대동할매국수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모 TV 프로에서도 나왔지만 대부분의 국수집들이 대도시에 먹던 맛과는 조금 다르다. 담백하지만 맛을 양보하지 않은 그런 국수의 맛을 만들어냈다. 대동에 할머니들이 많이 살아서 그렇게 만들었는지는 모르지만 조금 독특하다. 

국수는 이렇게 내놓는다. 면을 익힌 다음 바로 건져내서 차가운 물에 식힌 다음 기본양념과 야채, 깨 등을 얹어서 나오면 나머지 재료는 먹고 싶은 사람이 육수의 양과 나머지 재료를 어떻게 얹어서 먹느냐에 차이가 있다. 

우선 멸치와 대파, 양파 등을 넣어서 끓인 육수를 부어본다. 적당하게 넣으면 된다. 자작하게 먹고 싶은 사람은 조금만 넣고 양념을 더 첨부하면 비빔국수가 되고 일반 잔치국수는 육수를 많이 넣으면 된다. 

나름의 비주얼을 만들었다. 어찌나 필자가 요리를 잘하는지 기본이 된 것 같은 느낌이다. 

국수의 맛이 상당히 좋다. 과하지도 않고 밋밋하지 않은 맛있는 국수의 재탄생이다. 남자라면 반드시 곱빼기를 시켜야 한다. 곱빼기가 일반 잔치국수의 기준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10여 종류의 음식 중 국수 맛이 으뜸이다(食味十餘品而麪食爲先)이라는 내용이 고려사에 나올 정도면 국수가 얼마나 오랜 시간 우리 식단에서 중요시되었는가를 알 수 있다. 국수 문화는 일본의 라멘이나 베트남의 쌀국수와 필적할만한 한국의 식문화이다. 잘 만드는 것이 중요하기에 단순히 고급화가 아니라 김해 같은 맛을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 국수를 먹고 나니 열무김치가 만들고 싶어 졌다. 

국수 한그릇으로 든든하게 배를 채우고 김해에 자리한 김해향교를 찾아서 올라가 본다. 김해향교는 1408년(태종 8)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한 곳이다. 

김해향교는 1693년 부사 이하정(李夏禎)이 명륜당과 남루(南樓)를 중건하였으며, 1769년(영조 45) 화재로 소실되자 이듬해 재건한 이곳의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6칸, 명륜당 8칸, 서무·내삼문·동재·서재·남루 등이 있다. 

조용하면서도 한적하게 돌아볼 수 있는 곳으로 접근성도 좋은 곳이다. 

논어에서 보면 친밀하고 솔직한 인간에게 의지해야 한다고 한다. 그렇게 한다면 언젠가 자신도 의지할 값어치 있는 사람이 된다고 한다. 


김해향교는 1904년에는 군수 이근홍(李根洪)이 중수하였고, 1972년 대성전·명륜당·삼문(三門)을, 1975년 서무(西廡)를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선비란 한마음으로 곰곰이 생각하고 상냥하다면 선비라고 말할 수 있다고 한다. 벗에게는 한마음으로 곰곰이 생각하고 형제에게는 상냥하고 부드러운 사람이라는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마음을 실현하는 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