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는 누군가 Nov 21. 2019

겨울이 온다.  

대청호 물전시관의 다양한 변화

겨울이 오는 것을 거부할 수는 없다. 날이 추워져서 그런지 몰라도 어깨가 자연스럽게 움츠려 든다. 기본적으로 물은 인간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꼭 필요한 물질이다.  학교 다닐 때  H2O의 분자식으로 배웠던 물은 단순해 보이지만 물맛은 천차만별이라고 할 정도로 다양하다. 우리가 흔하게 먹는 생수조차 지역마다 다르고 어떻게 정수하느냐에 따라 몸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물은 인간의 전유물만이 아니지만 과거의 사례에서도 흔하게 보았듯이 인간의 필요에 의해 생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개발을 하기도 했다. 


대청호는 대전시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물이 담겨 있는 곳이다. 그래서 물과 관련된 물전시관이 자리하고 있는데 금강생태지도를 비롯하여 대청호변을 중심으로 삶을 이어갔던 분들의 옛날의 모습들을 볼 수 있는 곳이다. 

금강의 수자원을 통해 대전에 식수를 공급하는 곳만 삼정취수장, 대청 취수장, 신탄진정수장, 현도 취수장, 중리취수장 등 물을 정수하여 가정에 공급한다. 인간은 물을 정수해서 먹기에 생존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지만 생태에 그대로 노출되는 자연의 생물들은 영향을 받게 된다. 전북 장수에서 시작하여 충북 옥천을 지나 대청댐에 흘러들어 온 뒤에 금강하구둑을 지나 서해로 빠져나가는 금강은 인간만의 자원이라고 생각해서 안 되는 이유다. 

학생들이 직접 참여해서 작업을 한 한반도의 생태지도가 물전시관에 전시가 되고 있었다. 멀리서 보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잘 모를 수도 있지만 가까이서 보면 생각보다 재미있는 지리, 환경,  생태, 특산물 등을 잘 표현해둔 것을 볼 수 있다.  

아주 정확하지는 않겠지만 최대한 실측에 기반해서 만든 것을 볼 수 있다. 참여한 학생팀마다 표현하고 싶은 것들을 직접 만들어서 보여주고 있다. 

물전시관의 안쪽으로 오면 2019 디지털 사진가회 디포터 제12회 사진전을 만나볼 수 있다. 대청호를 중심으로 산과 물, 생물, 야경, 계절에 대한 다양한 모습을 사진으로 볼 수 있다. 

올해에 참여를 해보았던 여행이 있다. 대덕 공정여행이라고 해서 대덕의 역사와 계족산 숲길, 대청호의 아름다움이 담겨 있는 대덕의 참다움을 느낄 수 있는 여행의 시작이었다. 그 여행의 정점에는 삼정동 이촌, 강촌 일대의 대청호 수변의 산책길을 걸어보는 시간이 있었다. 

사진이라는 단어는 빛으로 그린 그림이라는 의미로 1839년 영국의 과학자 존 허셜이 새로 만든 신조어였다. 타메라 내부에 투사된 이미지를 복제하는 예술가의 능력에 의존하지 않고도 기계 및 화학 공정을 통해 스스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었다. 화학 공정이 디지털화되어 바뀐 것이 오래되었고 지금은 스마트폰으로 모두들 사진 전문가가 되었다. 

사진은 빛의 노출과 셔터스피드로 최대한 다른 분위기를 연출해낼 수 있다. 인상파 화가들은 나무와 나뭇잎을 비추는 빛의 효과 같은 움직임을 잡아낸 듯한 착시 효과를 주는 붓놀림을 사용하기도 했다. 이 사진은 몽환적인 느낌의 겨울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마치 봄이라는 희망이 오기 전에 아름다우면서도 몽환적인 느낌을 보여주고 있다. 물이라는 것이 만들어낸 생태와 가치, 사람들이 함께한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 물전시관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물 흐르고 해는 지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