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임희정 Apr 24. 2020

“먼저 써! 나는 이미 글렀어.”

오늘도 글쓰기에 실패한 그대들에게

‘내 마음’이라는 게 내 것이고 나만 아는 건데도 내가 내 맘을 모르겠고, 내 맘이 내 맘 같지 않고, 마음과 행동이 따로여서 내가 내 마음 때문에 놀랄 때도 있죠. 사람의 마음과 생각과 의지는 생각보다 유약하고 변화무쌍한 것이어서 허기, 귀찮음, 졸음 같은 얕은 감정 따위에 쉽게 무너지기도 합니다. 원대한 꿈과 바라는 소망과 거대한 희망보다는 아침의 출근과 당장 해야 할 일과 먹고 싶은 야식과 사고 싶은 욕망, 우리 주변의 온갖 정보와 다양한 관계들이 우리 일상에 더 가깝기 때문이겠죠. 그러니 포기했다고 또 못했다고 너무 좌절하지는 말기로 해요. 앞으로도 우리 앞에 수많은 실패가 기다리고 있을 텐데. 우린 또 무언가를 그르치고 단념해야 할 텐데 말이에요.




ⓒ 심슨




여러분들에게 글쓰기도 마찬가지 아니었을까요? 저도 그렇거든요. 어제도 쓰려는 마음만 한껏 부풀렸다가 꺼트렸어요. 의욕적으로 노트북을 켰다가 한숨을 푹 쉬며 덮어버렸고, 호기롭게 첫 문장을 시작했다가 다음 문장을 잇지 못해 좌절했죠. 그뿐인가요. 책상에 앉았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이불속으로 들어가 버리기도 했습니다. 사실 자주 그래요. 그건 저도 여러분도 그 어떤 작가도 마찬가지일 겁니다. 그런데 그러지 않았어요? 덮고 누워버렸지만 뭐랄까 조금 찝찝한 마음. 그 마음 한쪽 모퉁이엔 ‘써야 하는데’ ‘쓰고 싶은데’ 하는 다섯 글자가 찌꺼기처럼 항상 남아있지는 않았나요.


그런데 저는 그 찌꺼기는 썩어 문드러질 악취가 풀풀 나는 찌꺼기가 아니라 잘 스며들어 미래의 내 글에 자양분이 될 찌꺼기라고 믿어요. 그래서 봉투에 버리지 않고 그냥 그대로 남겨 둡니다. 미완의 문장을, 마무리 짓지 못한 생각을, 어정쩡한 마음을. 다만 나중에 다시 잘 들여다보려 노력해요. 그러면 어느 날 운이 좋거나 마음이 동해 ‘글 내림’이라도 받는 날에는 몇 줄이라도 발전해 볼 수 있는 거지요. 그러다 때로는 내가 봐도 마음에 드는 한 줄의 문장을 완성하기도 하고, 고심과 퇴고 끝에 한 편의 글도 완결 짓기도 해요. 그럼 또 써볼 수 있는 작은 용기가 생기는 겁니다. 누군가 제 글을 읽고 ‘좋아요’를 눌러줄 땐 기분이 째지죠. 그게 뭐라고. 한 명이라도 독자가 있다는 건 이렇게나 신이 나는 일입니다.     




구독과 좋아요는 사랑입니다♥




태초에 ‘쓰기’ 전에 ‘읽기’가 있었습니다. 처음부터 썼던 사람은 드물 거예요. 모든 작가는 작가이기 전에 ‘독자’였습니다. 우린 모두 독자에서 작가로 나아가는 존재들 아닐까요. 그럼 잘 쓰는 것만큼이나 아니 어쩌면 그보다 더 중요한 건 잘 읽어야 하는 일일 텐데... 이렇게 말씀드리고 싶어요. ‘읽기 위해 쓰지 말고 쓰기 위해 읽으세요’ 어렵고 있어 보이는 책이나 몇 장 읽다 진도가 안 나가는 책은 걷어 치워 버리고 술술 내가 재밌게 읽어 내려갈 책을 끊임없이 찾으세요. 분야, 장르, 작가를 막론하고 내 마음에 드는 책을 열심히 찾는 겁니다.     

 

누구에게나 다 ‘결’이라는 게 있잖아요. 안타깝게도 우리는 이제 마냥 어리지 않고 청춘은 흘러가고 있으니, 최대한 가성비 좋게 가능성을 높여 알맞은 선택을 하기 위해 숙고해야지요. 그것을 신중이라 부를 수도 있겠습니다. 신중하게 나의 결에 맞는 책을 고르고 재미있게 읽으세요. 그렇게 읽기에 먼저 재미를 들이고, 그 신나는 마음으로 나도 한 번 써보는 거예요. 어찌 됐건 이렇게 맺어진 인연이, 그 바탕이, 시작이 여러분들의 글쓰기에 마중물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내가 쓴 글에 내가 자아도취 되어 만족스럽고 뿌듯해할 때까지 우리 계속 찝찝해하자고요. 그 찝찝함이 우리를 언젠가 쓰게 할 거예요. 다만 길지는 않았으면 합니다.  





   

내 주관이 얇으면 많이 흔들리게 돼요. 사람들의 시선에 누군가의 말에 환경에. 그래서 살아가며 내 생각을 도톰하게 만드는 일이 아주 중요하더라고요. 저는 그 방법 중에 가장 좋은 게 ‘글쓰기’라고 생각합니다. 글을 쓰면 내 생각이 정리되고 그럼 내 생각을 알게 되고 내 생각에 확신이 생기죠. 글쓰기엔 정리와 퇴고가 있으니까요. 우린 생각보다 많이 어지르고 살잖아요. 내 방을, 내 집을, 내 머릿속을. 집 정리는 청소로, 마음 정리는 글로. 그렇게 내 생각도 함께 정돈할 수 있는 거예요.


미루고 귀찮은 대청소를 하게 하는 확실한 방법이 뭔지 아세요? 지인을 초대하는 겁니다. 누가 본다고 생각하면 움직이게 되어있거든요. 글도 마찬가지예요. 그래서 제가 말씀드렸죠. ‘공적 글쓰기’가 중요하다고. 블로그든 브런치든 어딘가에 내놓을 글을 쓴다고 생각하면 움직이게 되거든요. 근데 그러려니 이런 생각이 들죠. 내 글을 누가 읽을까? 혹 누가 보고 이게 글이냐고 뭐라 하면 어떡하지? 내 마음을 누가 읽는 게 두려운데? 아니요. 제가 보고 제가 칭찬하고 제가 우쭈쭈 해 드릴게요. 한 명의 우호적인 독자라도 있다면 쓸 이유는 충분합니다. 우리 서로 그런 독자가 되어주자고요. 그렇게 ‘내 글’을 써 보자고요. 자 그래서. 그렇게 해서 글을 쓰면 어떻게 되냐고요?     


아무것도 안 돼요. 실망했나요. 사실인데. 사실 전 뭐가 안 되려고 글을 쓰거든요. 지금까지의 삶이 자꾸만 내가 아닌 다른 것이 되려고, 무언가가 되어야 할 것 같아서 아등바등하다 내가 내 맘을 돌보지 못한 시간이었거든요. 그래서 아무것도 되지 말고 내가 되려고 글을 썼어요. 내가 내 맘을 알고 싶어서요. 하지만 믿습니다. 아무것도 아닌 것들, 때론 쓸모없고 별거 아닌 것들이 무언가를 변화시키고 나아가게 한다는 것을요.    

 

확실한 건 글을 쓰면 단단해집니다. 내 생각으로 내가 견고해져요. 그럼 쉽게 휘둘리지 않게 되죠. 내가 내 판단을 믿게 되고 주관이 생겨요. 이것만큼 큰 변화도 없지 않을까요? 다만 다양한 관점에서의 건강한 주관을 기르기 위해서는 많은 이야기들을 접하고 읽고 듣고 관심 갖고 생각해보고 써봐야겠죠. 그럼 도톰한 사람이 될 수 있어요. 그래서 우리는 모두 써야 합니다. 우리 모두 마음과 생각이 도톰해질 때까지 가늘고 길게 마음에 품고 뭐라도 계속 써보도록 해요. 살아가며 내 마음에 쏙 드는 한 편의 글을 완성하고 그만큼 도톰해져서 또 만나기를!      

함께 해 주셔서 고마웠습니다. 글로 맺어진 인연 잊지 않을게요.               





-임희정 드림










패스트파이브에서 저와 함께 했던 글쓰기 모임 학인들에게 쓴 마지막 편지였습니다.

부족한 저와 함께 글을 써 준 학인들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





매거진의 이전글 ‘삶은 농담인 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