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생활책방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구별건축가 Oct 09. 2020

사피엔스의 미래 by

모던아카이브

멍크 디베이트라는 토론쇼에 방송되었던, 토론내용을 담고 있다.

사회자 러디어드 그리피스

스위스 출생의 영국 작가 알랭 드 보통

영국 출생의 미국 저널리스트 말콤 글래드웰

캐나다 출생의 미국 심리과학자 스티븐 핑커

영국 출생의 동물학 박사 매트 리들리


책에서는 인류의 미래는 낙관적인가? 비관적인가?

라는 지나치게 큰 주제를 가지고 

2 : 2 전투를 고상하게 펼치고 있다.  


알랭 드 보통을 제외한 다른 토론자들의 이야기는 우리가 쉽게 예상할 수 있는 내용들이었다. 

인류의 미래는 낙관적이기도 하고, 비관적이기도 하다. 

알랭 드 보통의 말은 처음에는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 

이런 주장을 하는게, 이 토론에 무슨 상관이 있는 것인가.

알랭 드 보통은 자기 얘기만 하고 있는게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하지만, 여기에서 아주 큰 가치관의 문제가 하나 있다는 점을 깨달았다. 


스위스 출생의 영국 작가 알랭 드 보통은 인류의 미래와 인류의 행복을 경제와 풍요라는 잣대로 들여다 보는 가치관 자체를 반대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삶을 바라보고 있는가?

물론, 다른 토론자들은 그런 가치관을 가질 수 있는 것이, 

풍요속에서나 가능하다는 반론을 펼치기도 하지만, 

오늘도 견적서와 청구서와 세금계산서에서 허덕이다가

이책을 읽던 나는,

나의 행복을 찾기 위해,

더 많은 돈을 벌고, 더 좋은 집과 차를 사고,

더 많은 사치품을 찾는 것보다,

오늘을 사는 나의 태도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이번주에는 기도할 내용이 많을거 같다. 


생활책방



매거진의 이전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by 장 지글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