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예술호근미학 Jul 07. 2021

왜 '하필이면' 글쓰기로 표현할까?

나는 글을 왜 쓰는가?

01

나는 왜 하필

글쓰기로 표현하는가?


왜 하필이면 글쓰기인가? 내가 알고 있는 지식과 정보를 다른 이에게 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말로 해도 되고, 영상물을 제작해도 되고, 그림을 그려도 된다. 


하지만 나는 내가 알고 있는 지식과 정보를 글을 통해 전하려 한다. 대체 나는 왜 하필 글이라는 도구를 택했을까? 문득 예전에 썼던 글이 생각나서 그 글을 다시 불러왔다.


02

상어가 

되고 싶은 붕어빵


내 인생에서 '한 편의 제대로 된 글'을 써본 첫 번째 기억은 중학교 때다. 중학교 3학년 때, 국어시간이었다. 담임이자 국어 선생님께서 학교 백일장이 있으니 이 시간에 자유 주제로 글을 써보라고 하셨다.


백일장에 나가서 상을 타고 싶은 학우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이들도 있을 텐데 이렇게 강제로 글을 쓰게 한다는 것이 불편했다. 왜 학교는 우리들에게 같은 모습을 강요하는 것일까?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나는 '상어가 되고 싶은 붕어빵'이라는 제목으로 다음과 같은 글을 썼다. (정확히 기억이 나지는 않는다)

 상어가 되고 싶은 붕어빵이 있었다. 그는 밀가루 반죽에 있는 다른 친구들에게 '나는 나중에 상어가 될 거야'라고 항상 말했다.
 친구들은 그건 불가능한 일이라며 그를 말렸다. 그리고 그 밀가루 반죽은 붕어빵 틀에 부어졌다. 그는 틀의 모양대로 가만히 있으면 상어가 될 수 없을 거라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그 틀에서 벗어나려 애를 썼다. 하지만 틀에서 벗어나는 것은 쉽지 않았고, 발버둥 치던 밀가루 반죽은 결국 틀에서 튀어나오고, 옆구리가 터져버린, 상어도 아니고 붕어도 아닌 모양으로 익어 버렸다.
 붕어빵 장수가 틀을 열고 그를 발견했을 때 "씨x" 욕을 했다. 그리곤 상품 가치가 없는 그를 쓰레기 통에 버렸다.


강압적이고, 틀에 박힌 똑같은 모습을 요구하는 제도권 교육에게 '어디 한 번 당해봐라' 하고 쓴 글이었다. 그때는 왜 그랬는지 모르지만, 선생님께 반항해서 받는 꾸지람은 친구들에게 자랑처럼 느껴졌다. 그래서 꾸지람을 받더라도 기분 좋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결과를 기다렸다.


03

내가 아는

가장 세련된 표현


하지만 놀랍게도 나는 백일장에서 대상을 받았고, 내 글은 그 해 교지에 실렸다. 그때 나는 '이런 글을 써도 괜찮구나'라는 생각을 했다. 만약 내가 직설적인 말로


"선생님 왜 우리가 원하지도 않는데, 똑같은 모습을 강요하세요? 백일장은 자유 아닌가요?"


라고 말했다면 어땠을까? 아마도 선생님은 꼴값 떠네 하며 내 머리를 쥐어박았을 것이다. 그렇지만 내가 작정하고 비꼰 글에는 문학성이 있다며 상을 주며 칭찬해 주셨다. 



그 일을 겪고 나니, 글이라는 것은 내 생각을 알리는 굉장히 세련되고, 우아한 방법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때부터 주장하고 싶은 생각이 있으면, 글로 남기기 시작했다. 글쓰기는 내가 아는 가장 세련되고 정중한 의사표현이었다.


그래서 나는 '하필이면', 글을 통해 내가 아는 지식과 정보를 전한다.

작가의 이전글 나는 왜 굳이 가진 정보와 아는 지식을 나누려 할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