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연남동 심리카페 May 03. 2023

이렇게 살아 뭐하나 하는 생각이 떠오를 때,




안녕하세요, 숲길에 있는 작은 비밀장소, 연남동 심리카페의 도인종입니다. 


혹시 그럴 때가 있나요? 이렇게 살아 뭐하나 하는 생각이 들 때요. 저는 요즘도 가끔 살짝 살짝 이런 생각이 떠오를 때가 있는데요. 전 그럴 때 도움이 되는 말로, <메리골드 마음 세탁소>라는 책에서 툭하고 던지듯 말하는 말을 나누고 싶습니다. 


"바람이 분다. 살아야 겠다."


전 이 말을 보면서, 어쩌면, 우리가 너무 거창하거나, 너무 정해진 틀 안에서만 삶을 바라보고 생각하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해보게 되더라고요.


그럼, <메리골드 마음 세탁소>에서 저 말이 나오는 부분을 들려드리도록 할게요. 







"할 수만 있다면 마음을 통째로 꺼내서 박박 뺀 다음에 다시 집어넣고 싶어."


연희는 가파른 계단을 오르며 중얼거렸다. 사방이 슬프도록 아름다운 계절이다. 5월이고, 초록이 가득하고, 꽃 향기가 훈풍을 따라 사방으로 퍼지는 아름다운 밤이다. 


"만약에 말야. 만약에 괴로웠던 기억을 다 지워버리면 행복해지지 않을까? 마음이 너무 아파서 계속 그 생각만 나잖아. 근데 밥도 먹고, 일도 하고, 친구도 만나. 분명 나는 웃고 있는데 마음은 욱신거려. 일을 하는데 마음이 욱신거려. 이거만 없음 살 거 같은데."
"마음이 닳는 것 같은 기분 알지. 이렇게 살아 뭐 하나 싶네. 의미 없다."


이번에는 재하가 말했다. 재하는 도통 살아 있음에 의미와 행복을 느끼지 못한다. 자기 삶을 사랑하며 사는 사람들은 대체 어떤 기분일까? 얼마나 빛나는 사람일까? 늘 궁금하다.


"눈 떠지니까 뜨는 거고, 사니까 살아지는 거야. 넌 안 그래?"


재하의 말을 듣고 연희는 고개를 오른쪽으로 내리며 폴발레리의 문장을 생각한다.


'바람이 분다. 살아야겠다.'






"불행하지 않으면 좋은 거야?"
"불행하지 않다면 행복한 거 아닌가요?"
"삶에서 불행을 빼면 행복만 남아?"
".... 그렇지... 않을... 까요?"
"하루 중에 불행과 행복 딱 두 가지 감정만 느껴?"
"아니요! 두 가지만 느끼면 어떻게 살아요!"
"그럼 어떤 감정들을 느껴?"
"뭐, 졸리고 짜증나고 배고프고, 일 가기 싫고, 집에 있는데도 집 가고 싶고 뭐 그래요. 가끔 살아 있는 거 느끼고 싶으면 오징어 씹어요. 한참 씹어도 질겨요. 제 인생 같아요. 질겅질겅 씹어도 잘리지를 않아요. 또 그렇게 한참 씹으면 이빨 아파서 확! 짜증나잖아요? 그럼 살아 있는 거 같아요. 웃기죠... 이게 불행인지 행복인지 사실 그것도 잘 모르겠어요."
"어떤 아픈 기억은 지워져야만 살 수 있기도 하고, 어떤 기억은 아프지만 그 불행을 이겨내는 힘으로 살기도 하지. 슬픔이 때론 살아가는 힘이 되기도 해."


어떤 말을 시키건 술술 하고 싶은, 잊은 게 아니라 외면하고 살던 기억이 절로 상기되는 오늘은 그런 밤이다. 






"종일 밝게 웃는 사람들 보면 왠지 마음이 짠해. 욱신거려. 종일 웃을 수 있는 사람이 어딨어. 웃음 뒤에 슬픔을 감추어야만 살 수 있으니까 웃는 거지. 마음에 얼룩으로 남은 아픔을 지워야만 숨 쉴 수 있는 사람도 있어."


유난히 밝게 웃던 재하의 웃음을 보며 지은은 달의 이면을 생각했다. 언제 죽어도 괜찮다는 눈빛은 겪어본 사람만이 알아볼 수 있기에 세탁소에 재하가 처음 들어오던 순간부터 신경이 쓰였다.






얼룩으로 남은 아픈 마음을 지워준다는 저 여자의 정체는 대체 뭘까. 눈빛은 천 년을 산 사람처럼 깊고 슬프면서 묘하게 따뜻하다. 온기 있는 슬픔이 느껴진다. 처음 보는 눈빛이다. 


재하는 사람들의 눈동자를 관찰하는 습관이 있다. 입은 거짓말을 할 수 있지만 눈동자는 거짓말을 하지 못하니까. 말은 생각의 언어이기 때문에 거짓말을 하는 눈동자의 흔들림까지 막을 순 없다. '사랑해' 하고 입으로 말하지만 눈은 감정 없는 이들. '힘들어' 하고 말하지만 눈은 살아 있는 게 재밌어 죽겠다는 이들. '날 믿어' 라고 말하지만 눈에는 진실 한 점 없는 이들. '엄마 금방 올게, 조금만 기다려줘' 하고 나간 연자 씨의 눈빛은 슬프고도 슬펐다. 


"하나만 지워. 다 지우면 인생에 뭐가 남겠어.... 상처도 인생인데. 가장 아픈 얼룩 하나만."


지은의 눈빛은 흔들림이 없다. 눈빛과 말이 일치하는 순간. 재하의 몸이 전율하듯 떨린다.


"외로움을 지우고 싶어요."
"외로움?"
"...네... 연자 씨가 일 나갈 때마다 밖에서 문을 잠그고 나가던 그날의 외로움이요."


"집에서 연자 씨가 오기를 기다리던 기억을 지우고 싶어요. 밖에서 자물쇠로 문을 잠글 때면 저는 늘 공포스러웠어요. 하지만 소리칠 수 없었어요."
"외로웠겠다. 많이 무서웠겠어."
"네. 가장 무서운 건 연자 씨마저 돌아오지 않을까 봐. 그게 가장 무서웠어요. 무서울 때면 머릿속으로 텔레비전에서 본 영화를 상상했어요. 생각하고 생각하고 또 생각하고. 그러다 보니까 이야기를 상상하고 영화를 만들고 싶어졌어요. 하하... 웃기죠. 영화를 만들게 된 계기가 이런 거라니."
"하나도 안 웃겨. 이런 건 웃긴 게 아니고 슬픈 거지."
"맞아요. 슬픈 거죠. 슬픈 걸 슬픈 거라고 말할 수 있는 게 얼마나 자유롭고 멋진 일인 줄 아세요? 그거 아무나 못 해요."
".... 알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게 뭔 줄 알아? 숨 쉬기. 숨 쉬기가 제일 중요해. 숨 잘 쉬어야 살 수 있잖아? 숨이 잘 쉬어지면, 그때 문제를 마주하며 살아가면 돼. 문제 없는 인생은 없어. 인생에 문제가 생기면 극복해 나갈 뿐이야. 도망가고 해결하고 그런 게 극복이 아니고, 그 문제를 끝까지 피하지 않고 겪어내는 거. 그게 극복이야."
"끝까지 피하지 않는 게 극복이면 너무 힘들지 않나요?"
"물론 힘들지. 어렵고. 하지만 그렇게 겪어내고 난 뒤에 그 문제는 더 이상 문제가 아닌 게 되는 거야. 마음의 얼룩도 그래. 자기 얼룩을 인정한 순간, 더 이상 얼룩이 얼룩이 아니라 마음의 나이테가 되듯이 말이야. 사는 거, 너무 두려워하지마. 그날까지 살아있을지도 모르는, 장담할 수 없는 너무 먼 미래의 일도 생각하지 마. 미리 걱정하지 마. 그냥 오늘을 살면 돼. 오늘 하루 잘 살고, 또 오늘을 살고, 내일이 오면 또 오늘을 사는 거야. 그러면 돼."







숲길에 있는 작은 비밀장소의 보관할 적절한 런닝타임과 전달하고자 하는 부분과 내용 전달에 초점을 맞춰 오디오 콘탠츠로 제작하기 위해 부분부분 각색하고 다듬었습니다. <메리골드 마음 세탁소>라는 좋은 책을 내주신 윤정은 작가님에게 감사드립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사람이 불편하고 사람에게 지쳐가고 있을 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