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주현 Jul 31. 2023

"머리가 나쁘면 손발이 고생한다"는 속담의 전제

몸 쓰기를 천대하는 조선식 사고방식의 잔재


"머리가 나쁘면 손발이 고생한다"는 속담은 한국에서 아무 의심없이 흔하게 쓰이는 말이다. 비슷한 문제에서 출발하지만 프랑스에서는 다르게 받아들인다. "머리가 나빠도 튼튼한 다리가 있으니 괜찮다"


두 차이는 무엇인가? 몸 쓰는 것에 대한 인식이다. 한국에서 아둔함을 탓하는 건 몸을 써야 하는 것, 즉 몸 쓰는 걸 가능한 꺼려야 할 수고로운 일로 여긴다는 전제 때문이다. 반면, 머리가 아둔해도 괜찮다는 프랑스 문화는 몸 쓰는 것에 대한 일말의 거부감 없는 배경을 전제로 한다.


이 차이를 발견하고 나는 한국의 "머리가 나쁘면 몸이 고생한다"는 속담이 조선의 잔재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힘든 농사일 하는 소작농을 양반이 돗자리 위에 누워 곰방대 피우며 바라보는 김홍도 그림("타작")처럼 몸 쓰는 건 하위계급으로 태어난 하늘의 저주로 여기며 무위도식을 최고로 여기던 조선 양반 사고방식의 산물 아닐까 하는 것이다.




오늘날 10대 학창시절, 체육/체력 단련을 도외시하고 온통 책상 공부에만 매달리도록 하는 입시제도는 단지 제도 또는 경쟁 때문이 아니라 몸 움직이고 땀 흘리는 걸 그토록 천대한 조선인의 잔재 영향도 적지 않을 지 모른다. 직접 손과 몸을 써야하는 기술직 등보다 책상머리 업무가 대부분인 공무원, 대기업 사무직의 기득권 강화 흐름도 마찬가지 맥락이고. 


심지어 사무직 안에서도 몸 쓰기를 꺼린다. 특히 나이 먹어 상급자가 될수록 더. 내가 일했던 국회의원 비서실에서도 부지기수로 일어났던 일. 지역구민을 국회로 초대하거나 의원실 주최 회의를 하면, 안내와 행사 준비 등 보좌진이 관련 잡무를 하나하나 다 해야 하는데, 힘(몸) 써야 하는 일은 서로 하기 싫어서 갑자기 바쁜 척 눈치 보며 빼는 일이 벌어지면서 자연히 하급 행정 담당 직원 몫으로 떠 넘겨지는 일이 부지기수. 내가 이 악물고 기어코 정책 업무 담당자로 업무 전환한 이유 가운데 커다란 하나가 바로 그렇게 상급 직원이 하기 싫어하는 일을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상황이 싫어서였다.


머리가 나빠도 튼튼하고 건강한 몸이 있으니 괜찮다,란 인식이 근대 체제인 현실에 적합하다. 머리가 나쁘면 손발이 고생,이란 속담이 사라지는 것도 한국의 근대화 척도일 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