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주현 Jul 06. 2018

누가 노블리스인가?

노블리스 오블리스를 타자화하는 한국인

노블리스 오블리스를 한국처럼 타자화 시켜서 말하는 곳이 있을까. 물론, 후진국에선 많이 그런 식으로 말할 것이다.


빌 개이츠와 워렌 버핏으로 대변되는 부자들의 기부 행위와 촉구는 한국에서 노블리스 오블리주의 이상형이다.


그런데 한국인이 놓치는 한 가지 사실이 있다. 그들이 자고 나란 곳의 분위기가 어떠한가,다. 그들이 어릴 때부터 보고 교육 받은 게 누군가에게 노블리스 오블리주를 부르짖는 어른들 모습이었을까? 부자가 모범을 보여야하는 것이라고 교육 받은 나머지 어느 순간 자신이 부자가 됐을 때 지금처럼 기부를 많이 해야겠다 생각한걸까?


그들이 나서서 부자의 기부를 촉구하긴 하지만, 그것은 그들이 부자라서가 아니라 그들이 미국인이라서라고 보는 게 더 맞을 테다. 미국의 기부 문화가 얼마나 일상적인지는 드라마 영화를 통해서 우리도 많이 접하고 있다. 부자가 아니고 돈 한 푼 없는 어린 아이도 기부하기 위해 길에 나가서 쥬스를 팔아서라도 돈을 모으는 행위를 한다. 개인의 기부가 일부 부자의 기부에 비해 압도적인 게 미국이다. 그들에게 노블리스 오블리주는 타자적인 게 아니다. 그들은 바로 자기 자신이 노블리스라고 생각한다.


한국에서는 누가 노블리스인가? 이 구호는 조선 후기 왕과 양반이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그것의 현대적 변형이 아닐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4&aid=0004040641


매거진의 이전글 프로이트의 '가족 로망스'로 본 한국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