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춘욱 Jan 14. 2022

장단기금리 역전, '불황의 전조'로 해석되는 이유는?

예금증가, 대출 억제의 메커니즘 때문

경제분석가들이 경기를 예측할 때, 가장 열심히 지켜보는 지표가 미국의 장단기금리차(Yield Curve)입니다. 아래 그림에 잘 나타난 것처럼, 파란선(10Y-2Y)이나 붉은선(10Y-3M)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이후 1~2년 지난 다음 불황이 출현한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989년, 2000년, 2007년, 2019년에 장단기금리차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다음.. 불황(음영으로 표시된 부분)이 출현한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물론 완벽한 지표는 없어서.. 1997년처럼 오신호가 나타난 적도 있긴 합니다. 


<그림> 미국 장단기금리차와 경기순환 


그럼 왜 장단기금리의 역전이 불황의 신호로 작용하는 걸까요?


여러 이유가 있지만 가장 직접적인 이유는 장단기금리의 역전이 대부분 '정책금리 인상'에서 비롯된다는 것입니다. 정책금리(=은행간 단기금리)의 인상은 은행들의 조달 코스트를 올리고, 이는 다시 대출금리 인상 압력을 가하게 됩니다.  그리고 은행의 대출금리 인상은 아래 <그림>에 나타난 것처럼, 부동산 가격 상승(붉은선) 탄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죠. 


그리고 부동산가격의 하락은 연쇄적인 악영향을 미칩니다. 은행의 연체율이 올라갈 수 있고, 건설업체들의 경영 여건이 악화되며, 부(-)의 Wealth Effect 속에서 경제 전반의 소비도 위축될 것입니다. 따라서 금리인상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그림> 정책금리와 부동산 가격 상승률의 관계


결국 정책금리가 주택경기에 악영향을 미칠 정도로 높아지면, 장기금리가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현재의 고금리 정책으로 인해 미래의 성장률이 둔화될 것이라고 기대한 투자자들이 장기채권을 사들이기 때문입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정책금리(파란선)가 급격히 인상될 때마다 장기금리(붉은선)가 오히려 떨어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죠. 


따라서 장단기 금리의 역전 현상 혹은 '단기금리>장기금리' 현상은 불황의 예고탄처럼 취급됩니다. 다행히 지금 미국의 장단기 금리가 크게 확대되고 있으니, 아직 불황의 위험은 낮은 것 같습니다. 


<그림> 미국 장기금리와 정책금리 추이


작가의 이전글 리치고 앱을 활용해 자산배분하는 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