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난영 Aug 16. 2023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3) 사피엔스로서의 메타인지

#1 


129페이지부터 136페이지까지 '생물학 패권주의' 편을 읽었다.


미국에 윌슨이라는 생물학자가 있었단다. 그가 1975년에 <사회생물학 : 새로운 종합>이라는 책을 낸 모양이다. 거기서 그랬단다. 인용해 본다.


"자연학의 관점에서 보면 인문학과 사회과학은 생물학의 특수 분야이고, 역사학, 전기, 문학은 인간 행태의 관찰 보고이며, 인류학과 사회학은 영장류의 한 종에 대한 사회생물학일 수 있다." (129p.)


그러니까 내가 이해한 바로는 인문학이든 역사학이든 어쨌든 문과 쪽 연구(?) 생물학에 근거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호모 사피엔스(우리 ^^)가 어떤 애들인지 파악 후 그 위에서 연구되어야 한다는 거겠다.


맞는 이야기 같다. 오호. 이에 대해 유시민 작가 또한 배척할 합당한 이유를 찾지 못하겠다고 고백한다. 어느 쪽이 우세하고 옳으냐의 문제라기보다 이 또한 동의가 되는 주장이라는 뜻. 나도 거기에 동의한다.


메타인지라고 하지 않던가. 나를 객관적으로 이해해야 정확하게 무엇이 필요한 줄 안다. 마찬가지 아니겠는가. 호모 사피엔스를 객관적으로 이해해야 그다음이 있지 않을까?



#2


136페이지부터 147페이지, '사회생물학과 사회주의' 편을 읽었다. 


<이기적 유전자>에 나오는 ESS에 관해 이야기한다. ESS는 Evolutionarily Stable Strategy의 줄임말로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이라고 한다. 다는 이해 못 했지만, 진화라는 게 개체별로 따지는 거라면 ESS는 집단의 진화 전략이랄까? 뭐 그런 거 같다.


유시민 작가는 이 부분에서 인문학적으로 사회를 뜯어보는데 ESS를 적용해 본다. 나름의 문제를 생물학 기반으로 푸는 시도를 하는 거다. 그러면서 이렇게 결론을 내린다.


인문학으로도, 생물학을 기초로 한 사회생물학으로도 인간사회를 온전히 설명할 순 없다. 그러나 생물학의 연구 결과를 적극 받아들여 활용하는 것도 좋겠다고.


나야 학문의 세계와는 거리가 머니 그런가 보다, 할 따름이다. 다만 유시민 작가의 포용력은 배울만하다. 그는 나이가 들어서도 계속 배우고 성장한다. 그리고 다른 의견도 합당하다 생각하면 받아들인다. 그런 태도는 나도 배워야겠다.


거대한 주제를 설명하는데 어떤 한 학문만으로 가능하겠는가?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으니, 선을 그을 필요는 없겠다. 파고들다 보면 언젠간 만나지 않겠는가. 우리 그것까진 부정하지 말자.



매거진의 이전글 책,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2) 과학과 인문학의 역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