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시간이 필요하다




하늘의 별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어떤 사람이 하늘의 별을 연구하는 천문학자가 될까? 특별한 직업에 대한 약간의 환상을 더하자면, 그래, 바로 이거야! 이게 평생 내 일이 될 거야!라는 ‘운명의 순간’이 있을 법도 하지만, 과학자가 말하는 운명의 순간은 생각보다 훨씬 더 밍밍하다. 쌀국수집 연구실 회식 자리에서 ‘목성 스펙트럼을 찍어 왔는데 처리할 사람이 없어. 누가 해볼래?’라는 교수님의 물음에 ‘저요!’라고 손을 들었던 날. 그날이 어쩌면 제일 극적인 날이고, 그날의 모습이 가장 극적인 장면이다. 그리고 인생을 바꿔버린 마법의 주문. “저요!”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에 대한 솔직 담백한 의견도 인상 깊다. 세상에 많고도 많은 책이 있지만, 그 어떤 책에도 뒤지지 않을 만큼 『코스모스』는 자랑하기 쉬운 책이고, 또 천문학자라면 경탄할 만한 다양한 지점이 존재할 법한데도, 저자는 오히려 심드렁하다. 우주에 대한 찬사와 맹목적 사랑을 칼 세이건만의 것으로 미뤄두는 여유. 나는 점점 더 이 작가가 좋아졌다. 그리고. 



나는 몰랐다. 나는 정말 몰랐다. 작가가 말해주기 전까지 나는 몰랐다. 우주비행사 고산이 내부의 규정을 어겨 우주 비행 프로젝트에서 쫓겨난 뒤, 대신 투입된 한국 최초의 우주인 이소연에게 그런 일이 있는 줄 몰랐다. 



여성 우주인이 남성 우주인 옆에 후보로 있다가 역사적인 발사의 순간에 손뼉 치며 환호해주는 것이, 어떤 이들에게는, 보기 좋은 그림이었다. 고산이 이소연으로 교체된 사건은, 남자의 자리를 여자가 대신한다는 충격으로 퍼져나갔다. (100쪽) 



그가 수면 시간을 줄이면서까지 몰두했던 여러 실험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생명공학 박사였다는 사실도, 여성성에 대한 악의적인 질문에 시달렸다는 것도, 지구로 돌아올 때 귀환 모듈의 결함으로 수백 킬로미터나 벗어난 곳에 불시착해 죽을 뻔했던 것도, 그리고 우주에서 돌아온 후 수백 차례의 대중 강연과 인터뷰를 통해 애초 의무계약의 갑절 시간 동안 우주인으로서의 소임을 다하고, 전공을 바꿔 미국 유학길에 올랐을 때 국비 낭비라며 크게 비난받았다는 것도. 나는 몰랐다. 규정 위반으로 우주 비행에 참여하지 못한 고산이 연구원과의 의무계약 기간을 마친 뒤 다른 분야로 유학을 떠났을 때, 많은 사람이 격려와 응원을 보냈다는 사실을. 나는 몰랐다. ‘국가 차원의 후속 지원이 없다는 이유로 뱀 허물 벗듯 우주인으로서의 책임을 벗어던졌다’는 비난이 오롯이 이소연에게만 쏟아졌다(103쪽)는 사실을. 남자의 자리를 차지한 여자에 대한 적의. 아니라고 할 수 있을까. 


그리고 저자의 아이 이야기. 설사 그 일이 별을 보는 일이 아니어도, 박사학위를 가진 사람의 일이 아니어도, 전문직이라 부를 만한 일이 아니어도, 아이를 키우며 동시에 일을 하는 건 힘든 일이다. 경력을 포기하고 싶지 않은 건 남자든 여자든 마찬가지다. 하지만 일을 계속하는 직장맘들은, 직장과 가정을 오가며 일해야 할 뿐만 아니라, 1년 365일 아이에게 미안한 마음을 빚진 채 살아간다. 그런 마음이 들지 않고 잠든 아이를 바라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하지만 전부는 아니겠지만, 많은 수의 직장맘이 그렇다. 잠든 아이를 쓰다듬으며 함께 하지 못한 오늘분의 사랑을 전한다. 



어떡해야 하나. 여성들도 남성들과 마찬가지로 맡겨진 일을 프로답게 처리하기를 요구받지만, 아이가 아플 때, “저, 오늘 제가 좀 일찍 퇴근했으면 해서요.”라고 말하는 사람은 여자인 것을, 엄마인 것을. 남성도, 아빠도 육아에 참여하자, 라는 말 이외에 할 말은 없나. 『불혹의 페미니즘』의 우에노 지즈코다. 




정론은 시시하다. 말해봤자 소득 없이 끝나기 때문이다. 성차별은 악이다. 매춘은 나쁘다. 그렇다. 그래서, 뭐? 정론을 아무리 떠들어도 바뀌는 것은 없다. 정론으로 세상은 바뀌지않고, 정론으로 인간은 움직이지 않는다. 정론대로만 된다면 세상에 힘들 게 없을 것이다. 정론이 시시한 까닭은, 정론으로 왜 인간이 움직이지 않는가를 이해하지 못하는 무지와 오만함에 있다. … 이런 시대에 대항 가치를 내세우는 운동이 정론의 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정론이 통하지 않는 현재의 시스템을 철저하게 이해하는 것, 즉 적을 아는 길밖에 없다. 적 이상으로 적을 분석하고 적의 약점을 잡아 역공격하지 않으면 힘이 약한 쪽은 이길 수가 없다. 매춘(賣春)은 나쁘다고 외칠 시간에, 그럼에도 남자는 왜 계속 매춘(買春)을 하는가(대체 그들은 무슨 생각일까?)를 연구하는 편이 훨씬 도움이 된다. (18쪽) 



아빠도 육아에 참여하자,라고 100번을 말해도 용감한 아빠 1인이 ‘애는 엄마가’, ‘직장에 다녀도 애는 엄마가’의 강고한 벽을 혼자 돌파할 수는 없는 일이다. 결국은 문화가 바뀌어야 하지만 문화란 또 얼마나 많은 시간을 요구할 것인가. 뻔한 이야기, 다 아는 이야기, 울화통 터지는 이야기, 그런 이야기가 오늘까지 계속된다. 



아무도 묻지 않았지만 내가 생각하는 대책을 말해보자면, 국공립 유치원, 어린이집을 대폭 확대하고, 사립유치원을 국공립 유치원의 범위로 편입시켜서, 아이들의 보육과 교육의 더 많은 부분을 국가가 책임졌으면 좋겠다. 사설 유치원에서도 직장맘을 위한 ‘종일반’이 운영되지만, 최대한 길게 잡아도 6시 전후다. 바쁘게 달려오는 직장맘들이  마음 편히 아이들을 맡길 수 있도록 운영 시간이 보장되어야 하되, ‘야근 형태’의 ‘선생님 돌려막기’가 아니라 고용 확대를 통한 인력 보충이 필요하다. 


아이는 자주 아프니까, 아이가 아플 때 휴가를 쓸 수 있도록, 엄마도 아빠도 눈치 보지 않고 휴가를 쓸 수 있게 하는 법적 제도가 필요하다. 작은 사업장에서도 반드시 시행되어야 하겠지만, 국가 기관, 대기업에서 선제적으로 도입하면 점차 확대될 수 있을 거로 생각한다. 북유럽처럼 아빠의 육아 휴직을 의무화하거나, 엄마의 출산 휴가, 육아 휴직을 출산 직후뿐 아니라, 원하는 시기에 지금보다 더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도 방법 중 하나다. 실제로 공무원과 교사들은 출산 휴가를 포함해 아이 1명당 3년 정도의 육아 휴직을 보장받는 것으로 알고 있다. 공무원, 교사 아닌 사람들에게도 혜택이 돌아가길 바란다.    



별과 토성과 토성의 위성 타이탄과 달의 토양에 대한 책에서 육아 이야기가 나올 줄 몰랐다. 별을 연구하고, 자료를 정리하고, 그래프를 그리고, 논문을 읽고, 논문을 쓰는 와중에도, 아이는 자란다. 그런데 스스로 자라지는 않는다. 아이에게도 시간이 필요하다. 공부할 때, 연구할 때 절대적으로 필요한 양의 시간이 있는 것처럼, 아이에게도 시간이 필요하다. 시간이 필요하다.


이전 01화 내 우주의 기원과 종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