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온라인 클래스의 좋은 점
1) 무거운 가방 들고 다니는 아이를 보지 않아도 된다
2) 매일 급하게 체육복을 빨지 않아도 된다
3) 삼시 세 끼를 아이들과 같이 먹을 수 있다
2. 온라인 클래스의 나쁜 점
1) 시간이 빠르게 흐른다
2) 좋았다 나빴다 남매간의 사랑과 전쟁을 실시간으로 봐야 한다
3) 삼시 세 끼를 차려야 한다
10년 전쯤 좀 늦게 결혼한 친구가 부친상을 당해 친구를 보러 갔다. 어, 왔어?라고 인사하는 친구랑 자리에 앉아 이야기를 나누는데, 친구가 말한다. 그러니까, 부모님 건강하실 때 모시고 식사하러 많이 다녀. 그때는 나도 어렸고 부모님도 건강하셔서 그냥 그런가 싶었는데 코로나 때문에 밖에 나가 식사하는 게 어려워지니 친구의 말이 자꾸 생각난다. 지난 생신 때도 아빠가 이번에는 그냥 건너뛰자고 하셨는데, 내가 우겨서 식사하러 갔다. 아빠, 이제 아빠 생파가 얼마나 남았는지 아세요? 기껏해야 30번이에요. 한 번도 놓치면 안 돼요. 꼬박꼬박 챙겨 먹어야 해요. 아빠도 웃고 엄마도 웃고 이모도 웃고 나도 웃었다.
152쪽에서 153쪽까지 너무 좋아 네 번을 읽었다. 처음 읽을 때 두 번 읽고, 아침에 한 번 읽고, 이 글을 쓰기 전에 한 번 더 읽었다. 나는 부모와 자식에 대한 은유 중에 이것보다 더 아름답고 애잔한 걸 본 적이 없다. 자식이었고 이제는 부모인 사람으로서, 미안함과 아쉬움이 그네처럼 앞으로 뒤로 요동을 쳤다. 두 문단을 옮기고 싶지만, 그건 작가에 대한 예의가 아닐 테고, 도서관 책으로 읽는 사람이라 부끄럽지만 다른 분들도 어떤 식으로든 읽어보시기를 권한다. 보이저 1호가 찍은 창백한 푸른 점, 우리 지구별이 다르게 보일 것이다.
인간이 가진 우주에 대한 물음의 궁극은 우주의 기원과 종말에 대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어디에서 온 걸까.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그리고 우리 우주의 끝은 어떤 모습일까. 대폭발이 일어나던 첫 순간, 처음 10의 마이너스 43초 동안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과학자들은 아직도 설명하지 못한다. 1%의 오차도 없이, 우연과 우연, 그리고 우연과 우연(우연 곱하기 억?)의 연속으로 지구에는 생물체가 살만한 환경이 조성되었고, 우리는 인간으로서 이 별에 산다. 지구가 태양계의 중심이 아니라는 걸 발견했을 때 사람들의 분노, 태양이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는 걸 발견했을 때 사람들의 두려움, 우리 은하가 사실은 우주의 변두리에 불과하다는 걸 알아챘을 때 사람들이 느꼈던 허탈함. 우리는 아무것도 아닌 존재로서 이렇게 존재한다.
칠흑 같은 밤, 반짝이는 별을 떠올리며 우주를 생각한다. 내 조그만 우주의 기원과 종말을 떠올린다. 엄마와의 통화를 들으시고 갑자기 전화해서는, 야, 너 주차 (위반) 딱지 나왔다며? 크크크. 그거 내가 내줄까? 물어보시는 아빠. 아직도 딸의 반찬을(어머니, 이 불효자를 용서하소서!), 딸의 반찬과 딸 새끼들의 반찬을 걱정하시는 엄마. 원핵세포의 특징을 갖는 미토콘드리아가 진핵생물인 우리와 공존하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이해하지 못할 것이 분명한 문과 졸업생을 끝까지 설득하려는 기특한 이과생, 꼬리도 없으면서 강아지마냥 엉덩이를 흔들며 노래를 부르는 또 한 명의 한량 청소년. 내 우주의 시작과 끝은 이렇다. 인간의 제한된 시간, 한정된 정보, 부족한 기술로서는 우리는 우주의 신비에 닿을 수 없다. 우리는 그렇게 아무것도 아닌 존재다. 하지만 또 그만큼 나는, 내 우주의 시작과 끝은 이렇게나 아름답고 눈부시다. 살아있음이, 생명이 이 거대한 우주의 한 귀퉁이를 채우고 있다.
심채경을 읽는 시간이 좋았다. 정재승, 김상욱을 잇는 주목할만한 과학 전문 저자가 될 거라 생각한다. 『랩 걸』 호프 자런의 한글 버전이라 해도 손색이 없다. 심채경을 응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