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생각속의집 Apr 16. 2022

우리가 끊임없이 욕망하는 이유

<내 마음을 만지다>

《아낌없이 주는 나무》로 잘 알려진 작가 쉘 실버스타인의 《잃어버린 조각The Missing Piece》이야기가 있습니다. 마치 누군가 동그란 피자의 한 조각을 슬쩍 먹어치운 듯 이가 빠진 동그라미가 그 주인공입니다. 동그라미는 그 잃어버린 한 조각을 찾아 길을 나섭니다. 그는 완벽한 원이 아니어서 빨리 굴러갈 수 없습니다. 동그라미는 완벽해지기 위해 많은 어려움을 겪으며 열심히 자신의 잃어버린 조각을 찾아다닙니다. 그러다 마침내 자신에게 꼭 맞는 조각을 만나서 완벽한 동그라미가 된 주인공은 기쁨이 넘쳐납니다. 그리고 이제는 더 빠르게 굴러갈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정신없이 바삐 굴러가다보니 꽃의 향기를 맡을 수도 없고, 지나가는 벌레와 이야기를 나눌 수도 없고, 행복한 노래를 부를 수도 없습니다. 아, 이런 거였구나! 그는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구르다가 멈추었습니다. 그리고는 조용히 잃어버린 조각을 내려놓았습니다. 그리고 천천히 떠나갔습니다.
쉘 실버스타인의 《잃어버린 조각The Missing Piece》


우리도 내 안의 공허함을 채우기 위해 잃어버린 조각을 찾고 있지는 않나요나의 빈 곳과 꼭 맞는 조각을 찾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물론 어렵게 잃어버린 조각을 만난 적도 있습니다하지만 꼭 붙잡아주지 않아서 그만 조각이 떠나버린 경우도 있습니다그래서 다음에 만난 조각은 놓치지 않으려고 집착하다가 또다시 실패했을지도 모릅니다.

쉘 실버스타인의 《잃어버린 조각The Missing Piece》


신화에서 말하기를, 인간은 태초에 남녀가 결합된 양성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신은 인간을 반으로 쪼개 남자와 여자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반으로 나뉜 인간은 스스로 불완전함을 느끼고는 완전성을 갈망하며 자신들의 반쪽을 영원히 찾아다닌다는 것입니다. 인간의 완전성을 향한 충동과 갈망을 남녀 간의 사랑의 욕구로 비유한 것입니다. 동그라미는 그렇게 찾아다니던 자신의 조각을 찾았지만, 이내 다시 내려놓습니다. 그리고는 또다시 빈 곳을 채우러 길을 떠납니다. 이 이야기는 우리가 무언가를 간절하게 찾는 탐구 욕구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쉘 실버스타인의 《잃어버린 조각The Missing Piece》


욕망이란 대체 무엇일까요? 욕망desire은 라틴어로 ‘별sidus로부터’라는 말입니다. 별이란 손에 넣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인간의 욕망이란 본질적으로 채울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간절하게 원하던 것을 찾았다고 해서 완성은 아닙니다. 누구나 경험했듯이 인간은 끝없이 욕망하는 존재입니다. 하나의 욕구 충족은 완성이 아니라 또 다른 것을 욕망하는 시작입니다. 즉, 욕망의 대상만 바뀔 뿐이지요. 겨우겨우 찾아낸 조각을 도로 내려놓고는 또다시 자신의 잃어버린 조각을 찾아 길을 떠나는 동그라미처럼 말입니다. 본질상 채워질 수 없는 것을 끝없이 욕망하며 사는 존재, 영원히 한 구석이 비어 있는 존재, 그것이 인간의 실존입니다.


이봉희 교수의 문학치유 카페, <내 마음을 만지다> https://c11.kr/bbg7






작가의 이전글 이별 후에 슬픔을 이겨내는 법 3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