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햇살바람 Nov 07. 2021

매일 쓰면 뭐라도 될까?


<언젠간 혼자 일하게 된다>에서 프리랜서 기자인 저자는 자신이 프리랜서가 된 계기를 이렇게 말했다.


당시 적금처럼 꾸준히 해오던 글쓰기가 반응이 나쁘지 않아 프리랜서 기자로 일해보지 않겠냐는 제의를 받았다.


그때 '적금처럼 꾸준히'라는 말이 내 가슴을 직격으로 쿵 때렸다. 아, 쓰려면 그렇게 써야 되는구나. 어느 정도의 양을 얼마만큼 썼을까 궁금했지만 저자는 알려주지 않았다.


이전에 여러 번 시도하고, 번번이 실패하긴 했지만, '매일 글쓰기'에 대한 욕심은 늘 있다. 공부할 때 문제를 많이 풀어서 성적을 올리는 양치기 전략이 있듯이, 글도 질을 올리려면 기본적인 양치기가 필요하다는 믿음 때문이다. 그 욕심에 다시 작은 불꽃이 일었다.


가슴을 쿵 때린 문장을 만난 후에도 속절없이 시간은 또 흘렀다. 복직한 이후로 시간이 부족해 글을 못쓴 탓도 있지만, 그 핑계 뒤에 숨어 게으름을 피운 면도 없잖아 있다.  그러다가 얼마 전에 읽은 <아무튼, 메모>라는 책에서, 이번에는 뼈를 때리는 문장을 만났다.


그날 나는 그 당시 나를 자기연민에 빠지게 했던 비애, 그것의 정체를 깨달았다. 나의 비애는 아무것도 안 하고 나를 아주 괜찮은 사람으로 남들이 알아봐주길 원했다는 것이다. 나의 비애는 스스로 인정하고 존중할 만한 그 어떤 일을 단 한 번도 해보지 못한 것이었다. 이 초라함이 비애의 정체였다.


열심히 쓰지도 않으면서 잘 쓰기를 바라냐고 내게 호통을 치는 것 같았다. 그렇다. 나는 노력하지도 않으면서 남들이 나를 인정해주길 원했다. 혼쭐이 나서 만신창이가 된 내게 저자는 결정타를 날렸다.


나에게 없는 것을 인정해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아니... 나도 알고 있다고요... 이제 그만하라고요.


아무튼 그래서 다시, 매일 뭐라도 써보기로 했다. 죽이 되든 밥이 되든. 아니 대부분 죽이 되겠지만, 차라리 죽을 쑨다는 기분으로 써야 마음이 좀 편할 것 같다(되도록 맛있는 죽이 되길 바라는 수밖에).


꾸준히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부담되지 않는 적절한 양을 정한 다음(적금으로 따지면 적금 부을 액수를 정한 다음), 일정하게 반복해서 실천해야(정해진 날에 입금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 중요한 게 있다면 '아무 생각하지 않기'(자동이체 걸어놓기) 아닐까? 사실 적금을 붓는 건

'한 달에 5만 원씩 넣었는데 1년 뒤에 60만 원이 안 되면 어떡하지?'

하고 걱정할 일은 없다. 하지만 글쓰기는 내가 어디쯤 있는지, 얼마나 성장하고 있는지, 성장하고 있긴 한 건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불안하다.


그래서 '매일 쓰면 뭐라도 될 거야'라는 휘청거리는 믿음을 애써 갖기보다 '뭐가 되든 말든 신경 끄고' 쓰는 게 최선인 것 같다. 김연아 선수도 예전에 "무슨 생각을 하면서 연습하세요?" 묻는 인터뷰 질문에 "무슨 생각을 해요. 그냥 하는 거죠."라는 명언을 남기지 않았던가.


'매일 아무 생각하지 말고 그냥 쓰기.'

이렇게 내 앞에 숙제를 휙 던져놓는다.




매거진의 이전글 '월간 산티아고'에 기고하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