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잭변 LHS Jul 09. 2022

팜므파탈 혹은 성녀의 희생 뒤, 인생에는 무엇이 남을까

영화 ‘헤어질 결심’

팜므파탈 누아르라는 장르가 있다.


보통 주인공인 수사관이 치명적인 여성 용의자를 만나는데, 대체로 그 치명적인 여성 용의자는 자신의 매력을 이용해, 남자 수사관의 눈을 멀게 하고 유유히 법망을 피해 간다. 그 이야기는 대체로 비극으로 끝나는데, 수사관이 “붕괴”하는 류의 결말이 많다. <원초적 본능>이나 <LA컨피덴셜>의 경우가 가장 대표적인 영화겠다.


그런 류의 이야기들과 반대의 스토리도 있는데, 성녀(聖女)의 이야기이다. 그 이야기에서 성녀는 주로 가정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를 희생한다. 팜므파탈의 이야기와 완전히 반대되는 이야기이지만, 그 둘은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함께 자주 소비된다.


<헤어질 결심>은 이 중, 어떤 이야기일까? 죽음을 몰고 다니는 여성의 이야기는, 전형적인 팜므파탈 장르물의 화법이다. 영화 속 서래의 남편들은, 그녀의 계획대로 하나하나 죽음을 맞이한다.


하지만, 주인공 해준에게도 그녀는 팜므파탈일까? 서래는, 팜므파탈의 이야기와 달리 오히려 해준을 위해 스스로를 희생한다. 그렇기에, 그녀가 팜므파탈이라는 주인공의 판단은 오해라는 것이 곧 판명된다. 그녀는 주인공을 ‘붕괴’시키려는 목적을 가진 팜므파탈이 아니며, 오히려 그녀가 결코 정의롭지 못한 남편들을 하나하나 처리하는 이유도, 납득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그녀는 성녀였을까? 아니다. 그렇다고 팜므파탈이었을까? 그것도 아니다

곰곰이 생각하다 보면 그 작위적인 구분이 애초에 과연 가능한 것인지 의심하게 된다.


남성에 대한 태도를 기준으로, 여성을 규정하는 게 과연 정당한가? 아니, 남성과 여성의 구분이 아니라도, 나의 편향된 시각(한자로는 편견이겠다)에 근거하여, 다른 누군가를 단정하는 게 상대에게 정당한 일일까?


영화는 끊임없이 이 이야기는 우리의 더럽혀진 시각에 관한 이야기임을 은유한다. 벌레가 낀 눈, 인공눈물로 씻어야 하는 시각..


영화는 결말에 이르러, 서래가 떠나버린 바닷가의 거친 파도를 오랫동안 보여준다. 그리고, 그 파도를 이겨서래를 다시 찾고 싶어 하는 듯한 해준의 모습도 오래 응시한다. 하지만, 어떤 소리도 삼켜버리는 그 커다란 파도 앞에 선 해준의 모습은 힘없고, 나약할 뿐이다. 그는 인생에서 놓쳐버린 사람을 찾아, 이길 수 없는 파도를 헤맨다.


그녀를 거대한 파도에 묻어버린 것은, 흐려진 우리의 시각일 테다. 어쩌면 누구나 그렇게 각자의 왜곡된 시선으로 묻어버린, 이제 인생에서 다시 찾을 수 없는 인연들도 있을 테다.


그들이 사라져 버린 바닷가의 풍경은, 거친 인생만큼이나 매몰차다. 그렇게 우리가 어찌할  없는 바다를 힘없이 바라보면서 체념하는 것도, 편견에 묻어버린 아름다운 그들과 슬프게 ‘헤어질 결심을 하는  방법이겠지.


매거진의 이전글 범주화라는 폭력에 대해 생각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