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모모의달빛정원 Mar 25. 2018

독서치료 #2  독서치료(bibliotherapy)란?

독서치료 소개 - 첫 번째


이 글에서는 독서치료의 뜻과 과정, 자료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론적인 내용이라 다소 딱딱할 수 있습니다.    



독서치료(bibliotherapy)란 무엇인가


독서치료는 책을 매개로 개인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관여하는 활동이다. 독서치료가 책이 들어가기 때문에 간혹 책만 독서치료의 자료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독서치료는 문학작품을 포함하여 시청각 자료 및 동영상, 일기, 글쓰기, 영화, 음악 등을 포함하여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독서 치료의 과정은 책 속에 나오는 인물이나 배경에 대해 동일시와 동일시를 통한 카타르시스, 자신의 문제에 대한 통찰과 이해, 문제 해결방법의 적용, 평가 과정을 거친다(Pardeck & Pardeck, 1993).       

   


상호작용 관점에서의 독서치료 과정 (Hynes-Berry, 1994)     

     

인식(recognition) : 카타르시스와 동일시를 경험


- 참여자가 독서 자료에 내포되어 있는 의미를 알아차림으로써 문학작품에 반응하는 것을 말한다. 독서 자료를 통해 야기되는 인식 과정을 통해 사람들은 카타르시스(catharsis)를 경험하기도 하고, 작품에 나오는 특정 인물의 삶과 감정, 생각, 행동 등을 통해 동일시를 경험하게 된다. 카타르시스와 동일시는 독서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핵심 경험이다. 작품 속에는 다양한 상황과 다양한 반응, 건강한 문제 해결의 모형이 있기 때문에 상상의 세계이지만 사실처럼 느껴진다. 다른 사람의 문제 상황을 보면서 자신의 문제를 깨닫게 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사람과 자신이 같은 문제를 가졌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된다.     


[예시]

각 장면에서 떠오르는 색깔/모양/느낌은 어떤가요?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어디인가요?       


고찰(examination)


- 자신이 인식한 감정 반응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탐색하는 과정이다. 독서치료는 작품을 읽은 후 그것을 거울삼아 자신의 내면을 점검(examination)하도록 강조한다. 텍스트의 내용이 자신의 내면세계나 주어진 상황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독서치료사가 적절하게 개입을 하여 고찰이 일어나도록 촉진한다. 이럴 때 사용하는 기법이 ‘질문’(독서치료에서는 발문이라고 표기함)이다. 적절한 질문을 통해 참여자가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길로 안내하기 때문에 질문은 문(gate)과 같은 역할을 한다.     

 

[예시]

누가 / 언제 / 어디서 / 무엇을 / 어떻게 / 왜
주인공이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었을까요?


병치(juxtaposition)


- 독자가 작품을 고찰하고 깊이 있게 알게 되면, 그 주제에 대해 새로운 인상(impression)이 생기게 된다. 새롭게 알게 된 느낌이나 작용은 처음에 가졌던 반응에 수정과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이로 인해 처음에 참여자가 가졌던 대상이나 경험을 나란히 놓고 비교하면서 대조해 보게 하는데 그것을 ‘병치’라고 한다.      


[예시]

만일 주인공이 처음부터 ~ 했다면 상황은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내가 만약 등장인물이라면 어떻게 했을까요?
내가 만약 ~ 라면 무엇을 원할까요?     


자기 적용(application to self)


- 독서치료는 자기 적용의 과정을 통해 완성된다. 자기 적용은 해당 작품을 통해 인식, 고찰, 병치의 3단계를 거쳐서 마지막 단계에 명확해진다. 독서치료는 이전의 경험들을 자신의 독특한 여과과정을 거쳐서 재명명(renaming)하게 된다. 이 명명하기는 독서치료사와 상호작용하면서 더 확장되고 명확해진다.    

  

[예시]


등장인물의 말과 행동 중에서 나와 비슷하거나 닮은 부분이 있나요?
등장인물과 비슷한 경험을 한 적이 있나요?
주인공(등장인물)에게 어떤 말을 해주고 싶은가요?
주인공의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독서치료의 자료


- 독서자료의 주제를 선정할 때 보편적이고, 이해가 될 만한 것이어야 하며, 영향력 있고 긍정적인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 즉 독서의 주제는 참여자에게 적합해야 하고,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동일시할만한 정서와 경험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참여자의 개별적인 경험에 의해 각각의 느낌이 다르기 때문에 의미 있게 받아들일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 부정적인 감정을 발산시킬 수 있는 자료가 선정되어야 하고, 다양한 자료들(시, 영화, 일기, 녹음테이프, 슬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문체는 단조롭지 않은 리듬을 담고 있어야 하며 구체적이고 강렬한 이미지를 담고 있어야 한다. 적절한 길이의 문장을 구성하고 있어야 하며, 이해하기 쉬운 어휘, 구문, 문법으로 작성된 책을 선정하여야 한다.   

       

독서치료사


- 독서치료사란 개인의 억눌린 감정을 책을 매개로 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사람이면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참여자의 마음을 책이라는 거울 속에 비치도록 하여 자신의 삶을 새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한다. 즉 독서치료사는 참여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문제에 적합한 책을 고를 수 있어야 하며, 책을 매개로 관계를 형성하고 참여자 자신의 감정을 마음껏 표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독서치료사 자신의 자질과 역량을 향상할 수 있어야 하며, 인간관계 능력을 향상할 수 있어야 한다. 독서치료가 상담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심리적 현상을 이해하고 내담자의 사회적·정서적 발달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하며, 정신건강을 제공할 수 있는 전문 훈련을 받은 사람이어야 한다(강미정, 강은주 외, 2006; 최미례, 2010).     



상담심리사 모모

#독서치료 #독서치료의과정     

작가의 이전글 독서치료 #1 그림책의 치유적 효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