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eyond eyes Aug 02. 2020

카카오는 왜 '아직 카카오' 캠페인을 만들었을까?

스타트업의 브랜딩 전략 

#카카오의 10주년, 왜 '아직 카카오'라는 캠페인을 런칭했을까

* 오늘의 글은 나중에 본인 사업이나 자기 브랜드를 런칭하고 싶은 분께 참조가 되길 바라는 글입니다

*링크 : https://kakao10.kakaocorp.com/


1. 카카오의 '아직 카카오' 캠페인에 주목한 이유 2가지 

1) 카카오의 사회적 영향력을 고려하다  

- 10주년. 기업에게 10년이라는 세월은 굉장히 짧은 시간입니다.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이를 

  수익모델과 연결시키고, 충성고객을 겨우 만들어 펀딩없이 기업이 자립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안정적인 

  시간을 찾게 되기까지의 시간을 10년으로 봅니다. 

- 하지만 카카오에게 10주년이란 시간은 매우 길었을 것입니다. 수익모델은 없는데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늘어 서비스를 접어야 할 뻔했다는 3년 차, 네이버와 끊임없이 비교당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애널리스트들의 평가, 문어발식 사업 확장만 할 뿐 캐시카우가 게임 이외에는 없다는 등 

- 수많은 편견과 부정적인 시선을 뚫고 언택트 시대를 맞이하여 당당히 주가 30만 원대의 회사로 등극한 지 고작 1년도 안된 회사입니다. 

- 무료 메신저 시대, 모바일 시대의 화두를 연 카카오가 사회에 미친 영향력을 고려했을 때 내부에선 의미 있는 캠페인을 집행하고 싶었을 것이라고 봅니다 


2) 카카오, 여전히 작은 기업을 지향하다 

- 2019년 기준 범 카카오 계열사의 직원수는 8,602명

- 절대 작지 않은 기업입니다만 우리에게 카카오는 여전히 '작고 말랑한, 유연하며 수평과 존중이 넘치는 기업문화에 기인하는 '응원하고 싶은 기업'' 중 한 곳입니다. 

- 카카오는 숙명적으로 알고 있을 것입니다. 스타트업이 성장하는데 기업 브랜딩이 얼마나 중요한지를요. 그래서 10년의 시점에서 스스로 아직 해결하지 못한 비전들을 던집니다. 명사들을 찾아다니며, 그리고 그 과정을 영상으로 기록하며 우리들에게 말이죠. 

- 즉, 스타트업이 기업 브랜딩 시 필수로 여기는 '같이 키우기'스킬을 카카오는 이번에도 활용하려고 합니다. 21조의 시가총액인 카카오로 봐달라는 것이 아닌 성장에 목마르며 사람에 집중하는, 나아가 그 성장 과정을 함께 공유하며 소소한 것을 사용자와 함께 나눈다는. 지극히 스타트업이 지향하는 '팬쉽 만들기'에 근거한 톤 앤 매너를 이번 캠페인에서도 유지하고 있습니다 


2. 스타트업은 왜 HR 브랜딩을 해야 할까?

*참조 레퍼런스 

· 퍼블리 대표 박소령 https://www.facebook.com/sophia.park.756

· 링글 대표 이승훈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84660223 

· 토스 블로그 > 토스 팀 https://blog.toss.im/category/tossteam/  

· 뱅크샐러드 블로그 https://brunch.co.kr/@banksalad#articles 

1) 기성 기업과 스타트업의 차이 - 강력한 철학에서 나온 브랜딩

- 스타트업이 파는 것은 어쩌면 서비스와 재화가 아닌 '철학'이라고 봅니다. 기업의 철학이란 해결하려는 문제가 명확하며 해결 방식이 기성 기업과 접근법부터 다릅니다. 그래서 스타트업에 열광하게 되는 이유는 이 '다름'에 대한 끌림이 사람들로 하여금 스타트업을 기업이 아닌 '마니아가 될 소재'가 되기 때문이죠. 

- 그래서 스타트업은 이 철학을 반드시 팔아야 한다는 숙명을 첫 번째로 가지게 됩니다. 


2) 철학을 팔기 위한 최적의 조건 - 기업문화와 인사이트를 팔아라 

- 아시다시피 철학은 한 번에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상품의 스펙을 적어놓듯 한 번에 설명되는 것이 아닌 스며듦이 필요한데,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기업 전용 블로그입니다. 삼성 블로그, 한화 블로그 같은 대학생 기자단이나 홍보팀이 작성한 느낌 말고, 일기장 같은 그런 블로그 말이죠. 

- 어떤 분들은 대표가 나서서 이를 홍보합니다 어떤 곳은 아예 기업 블로그를 파서 본인들의 기업 문화가 어떤지, 평가 체계는 어떤지 대놓고 홍보합니다. 

- 링글 대표와 퍼블리 대표는 인사이트를 파는데 (페이스북) 정통가 이고, 토스팀은 문화를 파는데 적극적입니다. 즉, 일련의 모든 활동은 팬을 만들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죠 


3. 그래서, 왜 카카오는 그런 캠페인을 진행했을까?

1) 현대카드 라이브러리 inspiration talk를 떠올리게 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BtnC7glnh-I

- 2015년, 현대카드 라이브러리가 첫 오픈하던 당시 현대카드는 'inspiration talk'라는 

  캠페인을 집행했습니다 

- 현대카드 라이브러리의 속성을 '영감'으로 정해두고, 각 분야별 '영감'의 대상이 되는 사람을

   찾아다니며 저마다의 각기 다른 영감의 정의를 풀어낸 것인데요. 

- 이렇듯 오픈토크 형식의 콘텐츠를 차용해 브랜드나 기업의 방향성을 묻는 캠페인은 보는 이로 하여금 두 가지로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① 인사이트 획득 : 기업 광고라 생각하지 않고 인문학적 감성을 토대로 보는 이가 인사이트를 얻게 함. 따라서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제거함 

 ②  브랜드/기업이 모두의 플랫폼으로 변모 : '영감'에 대한 명사들의 정의는 보는 이로 하여금 '내가 생각하는 영감은?'이라는 질문으로 이어지게 합니다. 때문에 사용자의 인식엔 <영감>-<현대카드>-<현대카드 라이브러리>의 연결고리가 내재되고, 영감을 얻고 싶을 때 한 번쯤 현카 라이브러리를 가보고 싶다는 마음이 생기게 만드는 것이죠


2) 카카오, 자신들을 위한 질문을 던졌지만 모두를 위한 질문이 되었다 

*모춘 tv https://www.youtube.com/channel/UCzH1reT-yZWs2Y4_vKmAJqQ

- 모춘 tv는 라인 프렌즈를 퇴사한 모춘과 소호가 브랜드를 제작하는 전 과정을 담은 유튜브입니다. 6개월 만에 1만 명의 구독자를 모으면서 브랜드가 탄생하고 회사가 설립되는 전 과정을 소개했습니다.

- 모춘 tv는 끊임없이 자신들을 위한 질문을 던지며 사업 개발에 필요한 명사들을 만나 답을 구합니다. 그리고 그 답을 구하는 과정에서 구독자들은 본인들의 답을 찾았을 것입니다. 그리고 어떤 이는 영상에서 '저곳이 내가 일할 유토피아가 아닐까'라며 모춘 tv 크루로 합류하기도 했고요. 

- 카카오는 정확히 현대카드와 모춘 tv가 이용했던 '내 질문=내 질문=같이 해결하자' 스킬을 시전 한 것입니다. 이로써 기업 브랜딩은 물론 HR브랜딩까지 노릴 수 있었던 것이고요. 나아가 '아직 카카오'의 영상을 본 여러 스타트업들은 '나중에 인수당해도 괜찮을 것 같네'라는 생각도 했을 것입니다. 


4. 맺으며 

- 물론 제 생각엔 이렇게 카카오가 깊게 고민해보고 캠페인을 집행했을 것이라곤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의도했건 의도하지 않았건 카카오가 쏘아 올린 '미완의 숙제'들은 우리로 하여금 무언가 다시 생각하게 만들려 했던 것은 분명해 보이네요. 

작가의 이전글 [에필로그] 아들도 안 가는 아버지의 회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