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uwomanB Nov 09. 2019

눈 뜬 사람 코 베어가는 인터넷 가입 상담(2)

인터넷 때문에 전화요금이 할인되는 건 없어요. 고객님이 착각하신 거예요.

 앞부분 내용 정리

 

 1. 상담원의 안내 내용

TV와 인터넷을 결합하여 신청할 경우의 가격 : 24,750원(휴대전화 할인 8,250원 포함 가격)

인터넷만 신청할 경우의 가격 : 9,350원(휴대전화 할인 8,250원 포함 가격)

    

 2. 인터넷 신청 및 설치 완료 : 3년 약정 월 9,350원


 3. 휴대전화 약정할인 가입 권유 전화 : 휴대전화 약정할인 상품에 대해 설명하며 가입 의사를 물어봄

 인터넷에 대한 언급이나 인터넷 가입에서 안내받은 휴대전화 할인이라는 설명이 없었고 인터넷은 3년 약정으로 월 9,350원을 안내받았기에 인터넷 신청이 완료된 후 권유하는 휴대전화 2년 약정은 요금제에 따라 별개로 추가되는 할인으로 파악하고 가입


(왼)TV와 인터넷 모두 신청하겠다고 했을 때 받은 문자  (오)인터넷만 신청하겠다고 하고 다시 받은 문자



 휴대전화 요금 청구서가 떴다.

 

 생각보다 가격이 많이 나왔다. 인터넷 설치비가 포함되어 있고 월말에 신청을 해서 인터넷 비용도 사용한 일수만큼만 매겨지니 할인비율도 그만큼 들어가지 않은 탓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휴대전화 요금 할인 부분이 이상했다. 분명 인터넷으로 인한 할인과 약정할인이 두 개 들어가 있어야 하는데 약정할인 몇백원만 되어 있는 것이었다.


 확인을 해봐야겠다는 생각에 통신사로 전화를 걸었다. 휴대전화 요금 담당 상담원과 연결이 되었다. 그 상담원은 내가 인터넷 가입 과정을 설명하고 인터넷 가입 시 안내받은 금액을 설명하자 인터넷 담당 직원과 통화해야 할 것 같다며 인터넷 부서로 연결을 해주었다.


 "네, 000 담당 000입니다.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안녕하세요, 제가 인터넷 비용 관련해서 문의 드릴 게 있어서요."

 "네, 실례지만 비용 관련 문의하시는 이유가 혹시 해지하기 위해서 인가요?"

  "아니요, 그런 건 아니고 제가 안내받은 금액이랑 조금 다른 것 같아서요. 물론 지금 이게 한 달짜리가 아니어서 명확히 보이지 않기는 한데 인터넷 가입할 때 휴대전화 요금 할인이 추가로 들어간다고 했는데 그 항목이 안 보이네요."

 "어, 그러세요? 이상하네요. 저희 상품 중에 인터넷을 가입한다고 해서 휴대전화 할인이 들어가는 경우는 없거든요."

 "네? 제가 분명히 인터넷 비용 17,600원에 휴대전화 할인 8,250원 들어간다고 안내받았고 그렇게 문자도 받았거든요."
 "잠시만요, 제가 일단 고객님 가입내역이랑 저희 회사에서 문자 넣어드린 내용 확인 한번 해볼게요."


 황당했다. 나는 분명 가입 상담을 할 때 확실히 인터넷만 가입해도 휴대전화 비용 8,250원 할인 들어가는 것 맞냐고 계속 물었었다. 상담원은 그때마다 그렇다고 했었고 할인된 금액으로 안내를 해 주었었다. TV를 취소하고 인터넷만 신청한 뒤 혹시나 가격 정정 문자를 받아놓지 않으면 나중에 발뺌을 할까 봐 정정 문자도 보내달라고 했던 것이었다. 순간 다시 문자를 받아놔서 다행이다 싶었다. 잠시 뒤 상담원의 말이 이어졌다.


 "고객님, 제가 확인해보니까 일단 인터넷 비용 17,600원은 고객님 가족 결합 할인 들어가서 17,600원이 할인된 금액인 거고요. 그거에 묶여있는 휴대전화 비용 할인은 없어요. 그런데 고객님 말씀대로 저희 쪽에서 휴대전화 할인까지 한 금액으로 문자 간 내용이 있긴 하네요. 왜 이렇게 안내가 된 거지.. 이때 담당 직원이 000 씨네요. 지금 출근해 계시니 제가 이게 무슨 내용인지 설명해달라고 메신저 보내 놓고 답장받으면 다시 연락드릴게요."


  대체 뭐지. 만약 잘못 안내된 것이라면 어떡하지. 다른 통신사 인터넷 비용을 검색해 봐야 하나 싶었다. 조금 기다리니 다시 전화가 왔다.


 "고객님, 메신저 답장이 와서 연락드렸어요. 000 씨가 '그 고객님 X월 X일에 약정할인 가입하셨어요.'라고 하더라고요. 안내받으신 8,250원은 인터넷에 묶여있는 할인이 아니라 고객님께서 '별도로' 가입하신 약정할인이에요. 신청 시기가 비슷하셔서 고객님께서 '착각'하신 것 같아요."


 순간 억울했다. 그 뒤로도 상담원은 계속 내 '착각'이라는 말을 반복해서 사용하며 설명했다.


 인터넷을 신청하면 인터넷과 휴대전화가 모두 할인된다고 안내를 받아 그 상품으로 가입했고, 가입한 뒤 휴대전화 약정할인 전화가 와서 할인을 또 해준다기에 약정을 신청한 것인데, 인터넷 할인에는 휴대전화요금 할인은 들어있지 않다며 인터넷 신청 후에 휴대전화 약정할인을 내가 별개로 신청했고 신청시기가 비슷해서 인터넷을 신청하면 휴대전화요금도 할인되는 것으로 내가 착각을 한 것이라고 몰아가는 것이었다.


 나는 통화를 항상 자동녹음 설정을 해 놓기에 녹음파일을 보내 과정을 증명해야 '착각'이라는 말을 안 하려나 싶었지만 겨우 이 정도 일로 진상 고객이 되어 상담원에게 필요 이상으로 따져 의미 없는 상처를 주고 싶지는 않았다. 그리고 사실 이렇게 하나 저렇게 하나 8,250원은 할인을 받는 것이니 손해 본 것은 없다 생각했고 당장 인터넷을 취소하고 다른 통신사로 갈아탈 생각도 없었기에 확실히 할 내용만 확실히 하고 싶었다.


 "그게 아니라요. 제가 안내받기를 처음부터 인터넷 하면 휴대전화 할인까지 들어가는 것으로 안내받았고요. 인터넷 신청이 다 완료된 후에, 그러니까 휴대전화 할인까지 들어간 금액으로 신청을 완료한 후에 다시 약정할인 추가 가입할 거냐고 전화를 하셨어요. 그래서 저는 추가로 할인이 더 들어가는 거라고 생각한 거죠. 제가 비슷한 시기에 직접 신청을 하고서 연계되는 것으로 생각한 건 아니에요."

 "아 그러셨군요. 듣고 보니 상담원이 좀 애매하게 전달을 했을 수도 있겠네요. 아무튼 고객님 안내받은 전화요금 할인은 약정할인 때문에 들어가는 할인이에요. 다음 달 청구서 받아보시면 인터넷 17,600원, 휴대전화 약정할인 8,250원 적혀있을 거예요. 그때도 그렇게 안되어 있으면 다시 전화 주세요."


 순간, 그러면 월 9,350원으로 안내받은 것이 3년 동안 월 9,350원이 아니라 휴대전화 약정할인 들어가는 2년간만인 건가 결국 내가 속긴 속은 건가 싶었다.


 "저 그러면 하나만 더 여쭤볼게요. 그러면 이게 인터넷 약정은 3년이고, 휴대전화 약정은 2년이잖아요? 그러면 제가 안내받은 인터넷 금액 월 9,350원은 3년이 아니라 2년 동안 유효한 거네요?"

 "네, 맞아요. 2년간 월 9,350원이고 그 후는 17,600원이죠."

 

 결론적으로는 전화 약정을 해서 고객을 2년 동안 묶어두기 위해 인터넷을 하면 전화요금까지 할인이 되는 것처럼 속여 끼워팔기를 한 것이었다. 따라서 전화 할인까지 해서 할인이 3년이라고 안내받은 할인 금액은 결국 2년뿐이었고 나머지 1년은 인터넷 금액을 오롯이 내야 하는 것이었다.

 


 정말 교묘한 것이 상담원은 인터넷을 가입할 때, 현재 내 요금제가 얼마이니 그에 대한 비율로 얼마의 요금이 할인되는 것이 아니라 그냥 8,250원이라는 고정값을 이야기했다. 그 후 휴대전화 약정할인 가입을 권유할 때에는 반대로 2년간 같은 통신사를 사용하기만 하면 요금제의 몇%로 할인이 들어간다고 안내하고 그 금액이 얼마라고 이야기하지 않았다. 때문에 인터넷 가입 시 이야기한 8,250원이라는 고정값과 휴대전화 약정할인으로 들어가는 요금제의 몇% 는 당연히 별개의 것으로 생각하게 된 것이었다. 만일 그 둘이 같은 금액임을 알았다면 한 번쯤 다시 물어봤을지도 모른다.

 또 하나의 소름 돋는 가정은 만일 내가 이미 인터넷 결합으로 휴대전화 할인이 들어가서 약정할인은 필요 없다고 했다면 이들은 일단 모른 척 넘어간 뒤 다음 달 다시 내가 전화해서 사실을 확인하길 기다렸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사실 통신사가 휴대전화 약정할인 2년을 인터넷 할인에 들어있는 3년 할인인 것처럼 교묘하게 포장한 것이 나에게 금전적으로 사기를 친 것이라거나 손해를 입인 것이라고 할 수는 없음을 알고 있다. 어쨌든 할인은 할인이니. 하지만 속은 듯 속지 않은 듯 속은 것 같은 뒤통수가 조금 가려운 기분인 것은 어쩔 수 없다.



 인터넷 가입 시 체크해야 할 것


-할인이 들어가면 비슷한 가격이라며 추가 회선 결합(TV 추가, 1회선 추가 등)을 안내할 때

할인이 추가 회선 결합에만 들어가는지,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할인인 지 확인해주세요.

각각의 할인을 모두 적용했을 경우 정말 비슷한 가격인지 직접 계산기를 두드려보고 선택하세요.

그 회선이 정말 내 생활패턴에 필요한지 생각해보시고 필요한 결합이라면 신청하셔도 되지만 그렇지 안다면 과감히 거절하셔도 손해가 아닐 거예요.


-이벤트 등으로 상품을 준다며 추가 회선 결합이나 상향 요금제를 권할 때

인터넷에 그 상품이 얼마 정도인지 검색해보세요. 그러면 상품을 받지 않고 적은 요금제를 선택할 경우와 상품을 받고 높은 요금제를 선택할 경우의 약정 기간 동안 들어가는 차액이 눈에 들어올 거예요.

상품도 필요하고 차액을 감안해도 그 요금제를 잘 쓸 수 있다면 신청하셔도 되지만 그렇지 않다면 과감히 상품을 포기하셔도 손해는 아닐 거예요.

하지만 적은 요금제를 선택하고 얻은 차액으로 더 좋은 상품을 직접 사는 것이 이익일 수도 있다는 걸 생각해주세요.


-휴대전화요금 할인이 추가로 된다며 실 금액이 얼마 되지 않는다고 안내할 때

그것이 인터넷 약정기간 내내 적용되는 할인인지 확인해주세요.

인터넷 가입만 하면 적용되는 할인인지, 아니면 추가로 약정을 더 가입해야 하는 할인인 지도 확인해 주세요.


이전 14화 눈 뜬 사람 코 베어가는 인터넷 가입 상담(1)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