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황마담 Nov 23. 2023

영상 운동의 중심, 노동자 뉴스 제작단!



"노동자 뉴스 제작단" (이하 노뉴단) 은,

노동 현실과 노동 운동을 널리 알리면서-

교육하기 위해 조직된, 영상 운동 집단으로!!


접근성과 활동성이 뛰어난 비디오를 매체로 한,

영상물을 전문적으로 만들었는데..


1989년 3월.

<노동자 뉴스 제1호> 를 시작으로..


엄혹하던 시절, 정권과 미디어의 통제 속에-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노동 현장의 실상과 파업 등.


생생한!! 노동 운동의 면면을 카메라에 담아,

노동자들은 물론이고, 일반 시민에게도..

널리 홍보를 하는- 영상 운동을 했다.  




"노뉴단" 에서는, 크게-

제작과 교육, 대중 홍보 활동을 했는데..


'제작 부문' 은 뉴스나 다큐멘터리, 극영화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울러, 노동자나 노동 운동과

관계된 영상물을 제작, 홍보, 상영했고..


'교육 부분' 은 주로 노동조합의 후원 하에,

"노동영상패" 라는 조합 내 조직과 연계하여,

노동자들 스스로 작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작 교육이었고..


'대중 홍보 부분' 은 1997년부터 시작된,

<서울국제노동영화제> 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제1회 영화제는, ‘레이버 미디어 국제회의’

부대 행사로 시작되었으나..


1998년, 2회부터는 독립된 영화제로-

전국 각지에서 분산해서 개최되고 있으며..


서울에서는, 2009년.

13회 영화제까지 이어져 왔다.


(이후로는 중단된 듯, 아무런 소식이 없다;;;)




이렇게, 영상물로부터 시작하여-

영화제까지 활동 영역을 확장해왔던 "노뉴단" 은..


2008년에는, ‘극영화’ 까지 만들게 되었는데..

다음과 같은 영화였다.


<안녕? 허대짜수짜님!> (2008)


울산 현대자동차 공장의 한 공장을 배경으로..


신차 투입을 매개로,

생산직 노동자 200명을 해고하려는-

회사의 구조 조정에 맞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들 모두-

천막을 치고 농성을 하며, 투쟁을 시작하는데..


몇 달 후..

회사가 제시한 최종안은, 20명 인원감축.


정규직 노동자들 사이에서,

찬성과 반대가 팽팽하게 갈린 가운데..


정규직 노동자들은 투쟁의 천막을 걷고,

비정규직 노동자들만 천막 농성을 계속 하는데..


어디에도, 그 20명이 비정규직이라고

쓰여 있지 않지만, 모두가 알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의 주인공 ‘허대수’ 가 나서서,

회사와 합의를 주도하게 되는데..




이 글을 쓰며, "노뉴단" 의 현재가 궁금해서-

엄청나게 검색을 해보았으나..


도저히 새로운 소식을 찾을 수 없는 것이,

아무래도 활동을 중단한지 꽤 오래 된 것 같아서..

무척이나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 ㅠㅠ


매거진의 이전글 한국 독립영화의 뿌리, 서울영상집단!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