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읽고 쓰다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예슬쌤 May 24. 2020

지적 리딩을 위한 워드 파워 30일 (8)

Feat. 감정 

오늘은 '감정에 관련된 단어' (Words about Your Feelings)에 대해서 학습했다. 단어 개수는 총 15개였고, 지난 레슨에서 봤던 단어들이 5개 정도 나왔다. 그래서 반복적으로 학습을 하니 머릿속에 잘 남는 듯하다. 


또한 '감정' 관련된 단어들이다 보니 기존에 자주 봤던 단어들이 꽤 보였다. 특히 SAT에 자주 나오는 아이들이 있어서 반가웠다. SAT 단어들은 내가 옆에 별표를 해놓을 테니 SAT를 준비하시는 분들은 열심히 외우시면 되겠다. 


이 책의 레슨들을 거듭할수록 항상 빼먹지 않고 하게 되는 말이 있는 듯하다. 바로 매 레슨마다 주어지는 exercises들이 살짝 다르다는 거다. 그래서 단어 공부를 하는데도 질리지 않고 꾸준히 할 수 있는 것 같다. 


오늘 레슨을 공부하면서 기억에 남는 몇 가지, 노트 적은 몇 가지를 적어보겠다. 



1) SAT에 감정에 대한 단어들이 많이 나오는 이유

-내가 유독 이번 레슨에 있는 단어들을 뼛속 깊이 잘 알고 있을 수밖에 없던 이유는 바로 SAT에 감정 관련된 단어들이 많이 나오기 때문이다. SAT를 공부할 때 사람의 감정, 입장에 대한 단어들이 많이 나오는 이유는 Reading 섹션에서 '작가의 의도' 혹은 '내레이터의 감정'을 물어보는 문제가 꼭 나오기 때문이다. 그래서 학생들은 문제를 풀기 전에, 글을 읽고 나서, '이 사람이 어떤 의도로 이 글을 썼고, 이 글을 썼을 때 어떤 감정을 갖고 썼을까?'에 대한 생각을 해야 한다. 그리고 주어진 보기에서 글쓴이의 감정을 잘 설명하는 단어를 고르면 된다. 추가적으로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본문에서 글쓴이의 감정이 제일 돋보이는 부분의 line reference 도 적어야 한다. 따라서, 글을 읽을 때 글쓴이의 의도나 생각, 감정이 보이는 부분이 있다면 주저 말고 밑줄을 그어놓는 것도 SAT Reading 부분의 꿀팁 중 하나다. 

.

.

.

.

.

.

2) SAT에 자주 나오는 단어들 

nostalgia 

향수, 그리움  / a sentimental longing or wistful affection for the past, typically for a period or place with happy personal associations 

이 단어 같은 경우 '소설' 지문에서 자주 나오는 단어이다. 예를 들어 글쓴이가 '회상'을 하면서 쓴 글이고, 예전에 대해서 그리워하는 모습이 조금이라도 보인다면 글쓴이의 감정은 단연 'nostalgic' 이겠다. 


satiated 

충분히 만족한, 배부른 / satisfied to the full 

우리가 흔히 '만족했다'라고 표현할 때 'satisfied'라고 하는데, satiated는 좀 더 advanced 한 버전이라고 보시면 되겠다. SAT 시험이 '미국 수능'이고 advanced level의 시험이다 보니, satisfied 보다는 satiated라는 한 단계 더 높은 단어가 더 자주 나온다. 


benevolence 

자선심, 박애심, 친절심 / the quality of being well meaning; kindness

친절심 역시 'kind'라는 단어가 있으나, 한 단계 높은 단어로는 'benevolent'라는 단어가 있다. Root 'bene'가 좋다, good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누군가가 친절을 베풀었다면 bene를 생각하시라. 


frustration 

좌절, 실패, 낭패; 욕구불만 / the feeling of being upset or annoyed, especially because of inability to change or achieve something 

이 단어는 평소에도 많이 쓰이고, SAT에서도 많이 쓰이는 단어이니 일단은 알고 계시면 도움이 될 단어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했을 때, 하고자 하는 것을 못 이루었을 때, "I'm so frustrated!"라고 외쳐보자. 그리고 잊자.


lethargy 

무기력, 무감각, 권태 / a lack of energy and enthusiasm 

아무것도 하기 싫을 때. 보통 lazy라는 단어를 많이 쓰지만 lethargic 은 SAT 레벨. 자주 나온다. 누군가가 게으름을 피우고 있다던지, 아무것도 하기 싫을 때의 감정을 표현한다. 


antipathy 

반감, 약감, 혐오 / a deep-seated feeling of dislike

워딩이 좀 센 편이다. 그냥 '싫은 게' (dislike) 아니다. 정말 레알로다가 싫을 때 쓴다. anti = 반대, pathy = 감정 = 악감정. SAT에서는 passage comparison에서 자주 나오는 단어이다. 지문이 2개가 주어지고, 작가 두 명이 서로를 향해 악감정을 가지고 있다면, 두 작가의 관계를 설명하라는 문제에 주저 말고 'antipathetic'을 답으로 하면 된다. 


대체적으로 역사 관련된 지문에서 많이 나온다. 예를 들어 미국 노예제도에 한 명은 찬성하고 한 명은 반대했을 때의 상황인 경우. (미국사 관련된 지문이 나오면 노예제도/여성 투표권에 대한 질문은 무조건 나온다. 역사 공부를 열심히 해두자.) 


vindictive 

복수심을 품은, 원한 깊은 / having or showing a strong or unreasoning desire for revenge 

복수 'revenge'는 많이 아셔도 vindictive는 많이 모른다. SAT 레벨 단어는 vindictive 이므로 꼭 외워두시길 바란다. '소설' 지문에 자주 사용된다. 


lofty 

거만한, 오만한 / proud aloof, or self-important 

거만하다는 단어로 'arrogant'를 많이 알고 계실 테지만 SAT는 lofty다. 그리고 카페나 아파트 '복층'을 이야기하는 'loft'는 많이들 알고 계실 것 같다. Loft는 본래 '높다', '우뚝 솟은'이라고 알고 계실터인데, 그 단어를 형용사로 바꿔서 lofty라고 하고, '내가 남들보다 높은 사람이다'라고 생각하기에 '거만하다'라고 외우시면 될 것 같다. 내가 그렇게 외웠다. 

.

.

.

.

.


3) enervated (-)

기력이 떨어진, ~의 힘을 약화시키는 / cause someone to feel drained of energy or vitality; weaken

-이 단어 같은 경우 내가 항상 헷갈려했던 단어다. 'Enervated' 안에 'ener'가 있어서 나는 '에너지'인 줄 알았지. 그래서 유추를 해서 '에너지를 주는'이라고 외웠었는데 나의 유추가 틀렸던 것이다! (이래서 1차로는 유추를 한다고 해도 2차적으로는 사전을 찾아봐야 한다. 내가 잘못 유추를 했을 수도 있기에!) 

.

.

https://www.merriam-webster.com/words-at-play/enervate

-나만 'enervate' 잘못 공부한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Why is it so hard to use 'enervate' correctly? | Merriam-Webster라는 글이 있다. 흥미롭다. 시간 되시면 읽어보시라!

.

.

.

.

4) 처음 본 단어: weltschmerz 

(철자가 너무 어렵다. 계속 복기해야 할 필요가 있다.) 

(독일어) 세계고, 비관적 세계관, 염세 / a feeling of melancholy and word-weariness

이 단어는 정말 처음 보는 단어다. 독일어라고 한다. 그런데 단어 뜻이 좋다. 제대로 외웠다. 새로운 단어를 배우는 건 정말 짜. 리. 하. 다. 

.

.

.

어떻게 읽는지 발음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링크를 가져왔다. (사실 나도 몰랐다!)

https://www.youtube.com/watch?v=UlbV5P6zd3s

.

.

.

.

.

5) Don Juan (misogynist 반의어)

https://en.wikipedia.org/wiki/Don_Juan

일생을 여자를 유혹하는데 썼던 사람 = Don Juan. 

따라서 그는 misogynist (여자를 혐오하는 사람) 은 아니었던 걸로. 반의 어였던 걸로!

.

.

.

.


6) 품사의 중요성 

-단어를 공부할 때 품사까지 제대로 아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다시 한번 깨달았다. 그도 그럴 것이, 내가 '명사'만 알고 있다면 그 단어를 아무리 알고 있어도 '명사로 밖에' 쓸 수가 없어서 한계가 있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여러 품사를 공부할 수 있도록 관련된 문제들을 많이 내줘서 좋다. 앞으로 단어 공부를 할 때 품사도 꼭 생각해서 명사, 형용사, 동사쯤은 알아보고 옆에 적어두고 외워야겠다. 

-이렇게 하면 한 단어를 외우면 3-4개의 단어를 추가로 더 외우게 되는 셈이다. 좋다. 



.

.

.

.



7) 감정 상태 exercises 

-여태까지 이 책을 공부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type의 exercise 였다. 감정에 관련된 레슨이다 보니, '이 감정을 가진 사람이 할 법한 말'을 나열해두었다. 그리고 올바른 단어와 매칭을 시키는 게 이 exercise의 핵심이었는데, 사실 이렇게 하니까 그 사람이 하는 말을 더 쉽게 외우게 되어서, 나중에 복기를 할 때는 뜻도 뜻이지만 그 감정을 겪는 사람이 하는 말을 떠올리게 되었다. 응용까지 같이 배우니 재밌다. 이 type의 문제들은 나중에 나도 학생들 퀴즈나 시험지를 만들 때 자주 사용할 것 같다. 


-단어와 뜻만'달달'거리며 외우는 것보다, 한 단계 더 넘어가서 응용할 수 있는 제대로 된 방법인 것 같다.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이 책을 공부하면 할수록 단어를 공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구나 싶었다. 단어를 외울 때 늘 단어, 단어의 철자, 품사, 뜻, 그리고 예시, 이렇게만 공부를 해도 충분하다고 생각을 했는데, 이 책으로 학습을 하면서 단어를 외울 수 있는 방법은 정말 여러 가지이고, 나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서 그 방법을 고수하며 단어를 외워보는 것도 참 좋은 방법이겠구나 싶었다. 이 책에 있는 레슨들을 모두 끝낸 다음, 내가 배운 것들을 잘 정리에서 하나의 포스팅으로 정리를 해야겠다. 오늘도 즐거운 공부!



매거진의 이전글 지적 리딩을 위한 워드 파워 30일 (7)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