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호단 Feb 16. 2021

마음은 원래 무거운 거야

영화 <하울의 움직이는 성>


여기, 자신의 삶을 아름다움과 자유로움으로 멋 부린 사람이 있다. 그의 이름은 하울. 금발에 파란 눈, 반짝이는 장신구와 화려한 패턴의 옷, 여유로운 모습까지. 그럴싸한 겉모습을 가졌는데도 사람들은 몰려들지 않는다. '조심해. 하울은 심장을 잡아먹는대.' 흉흉한 소문 때문에 사람들이 피하기도 하지만, 하울 또한 사람들에게 다가가지 않는다.


하지만 여기,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쫓아가는 사람이 있다. 언덕 너머 매서운 바람이 부는 광활하고 어둑한 들판, 지팡이에 몸을 의지한 노인. 걸음은 느려도 한 순간의 주저함이나 멈칫거림 없는 소피 '할멈'이다. 아니, 정확하게는 저주에 걸려서 신체 나이가 아흔 살이 된 소피겠다.




입구에 닿을 듯 말듯하던 소피 할멈을 하울의 성이 마치 퍼올리듯이 움직인다. 이 움직임의 원동력은 캘시퍼, 하울의 심장을 계약조건으로 성의 형태를 유지하는 악마다.


하울이 저주를 풀어주길 바라며 찾아온 소피 할멈. 그런데 저주가 걸렸다기엔 너무 씩씩하고 쾌활하다. 청소부라고 자신을 소개하는 얼굴은 편해 보이기까지 한다. 앳된 모습으로 모자 가게에서 일할 때엔 상상할 수 없던 표정과 말투.


함께 놀러 나가자는 다른 이들의 제안에 소피는 고개를 저었다. 일을 마저 하겠다며. 시끌벅적한 무리가 썰물처럼 빠져나가자 소피는 모자를 몇 번 뒤적이곤 자리를 뜬다. 모자 가게는 소피가 하고 싶은 일이 아니었다. 마냥 해맑은 동생과 엄마 사이에서 아버지의 가게를 이어가야 한다는 중압감이었을 뿐.


네이버 영화


해야 하는 일에 오래 골몰한 사람은 점차 자신을 잃는다. 자신이 뭘 하고 싶은지, 뭘 원하는지, 뭘 좋아하고 싫어하고 무서워하는지. 아주 사소하고 일상적인 것까지 사라진다.


자신의 내면이 외적으로 드러난 순간부터 이야기가 달라진다. 소피는 밀대를 가져와 바닥에 켜켜이 쌓인 먼지를 싹싹 밀고, 옷가지들을 모아 빨래하고, 캘시퍼 주변에 한가득 쌓인 재를 퍼올린다.


방 청소.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가 아닐까. 하울의 심장(캘시퍼)은 소피를 퍼올리듯이 안으로 들여보냈다. 반대로, 소피는 하울의 성 안을 가득 메운 먼지와 쓰레기, 재를 퍼올려서 내다 버린다. 어쩌면 하울이 소피에게 허락한 영역은 캘시퍼가 있는 1층 공간이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소피는 망설임 없이 모든 것을 청소한다. 하울이 아름다움을 위해 마법을 걸어두었던 선반까지도.


마법이 풀리기 시작하면서 하울은 말 그대로 '녹아내린다'. 무언가를 집어던지고 부수며 분노하지 않고 축 늘어진다. 이렇게나 유약한 자가 어떻게 전쟁의 최전선에서 상대를 공격하는 것일까.


하울의 오랜 고용주, 설리만은 말했다. 하울은 어려서부터 실력이 뛰어났다고. 어린 시절의 인정은 양날의 검이다. 용기를 북돋아주는 길잡이가 될 수 있지만, 어른들의 입맛에 자신을 맞추는 시작점이 될지도 모른다. 하울은 후자였다. 어떤 일을 시키든 잘 해내고, 성과를 인정받고, 더 큰 일을 받고, 굴레는 반복된다.


많은 가명을 만들어 각 이름마다 다른 사람인 것처럼 연기하던 하울. 하지만 공통점은 있다. 모두 똑똑하고, 기품 있고, 아름답다. 이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면 한 가지를 없애야 한다. 하울 자신. 그 열망이 너무 큰 탓이었을까. 조금 더 직접적이고 확실한 선택을 내린다. 어린 시절, 하울은 심장을 꺼내어 악마에게 주었다.


소피는 텅 빈 내면이 외적으로도 드러났고, 하울은 사람들이 혹할 만한 '좋은' 것으로 빈 공간을 숨겼다.


네이버 영화


소피의 내면이 아흔 살 노인으로 드러났다면, 하울의 내면은 영화 끝자락에서 나온다. 하울의 심장의 초대를 받아 하울의 내면을 청소하고, 이윽고 가장 깊은 곳, 하울의 본모습을 마주한 소피. 방문을 열자 하울의 방 대신 동굴이 나오고, 그 끝에 온몸을 움츠린 커다란 새가 공포에 떨고 있다.


새보다는 공에 가까운 모양새. 타인의 기대와 욕망이 덕지덕지 묻은 깃털들이 하울을 무겁게 짓이긴다. 소피는 자신의 내면을 겉으로 드러낸 후 한 차례도 망설이지 않는다. 무수한 남색 깃털까지도 털어낸다. 그제야 하울이 보인다. 남색 머리와 그와 비슷한 색을 담은 눈, 흰 티, 까만 바지. 단조롭다.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있었던 이들은 모두 처음과 모습이 다르다. 금발에 반짝이는 보석, 분홍색 제복의 하울은 수수한 차림새로 바뀌었다. 갈색머리의 소피는 '별빛'색의 단발로, 황야의 마녀는 커다랗고 위엄 있는 모습에서 작고 하찮은 모습으로, 캘시퍼는 자유로운 불로. 유일하게 변하지 않은 마르클은 어린 아이다.


마음은 원래 무거운 거야.


어른들은 그 무게를 잊고 산다. 해야 하는 것들에 둘러싸이느라 하고 싶은 것을 모르고, 들끓는 정보를 쫓아가기에 급급하고, 겉모습으로 판단하지 않길 바라면서 그 틀을 벗어나지 않는다. 불안과 걱정을 분노로 치장하고, 분노를 힘으로 치환해 과시하려 든다.


소피가 대단한 게 아니다. 지극히 평범하다. 그런 사람이 주변에 있어야 변화가 일어나는 것도 아니다. 어떤 사람으로 보였으면 하는지, 왜 그러고 싶은지, '현실적'이라는 말을 제거하고 자신에게 질문을 던지다 보면 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때가 청소의 시작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진실 같은 루머, 루머 같은 진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