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eather Sep 07. 2021

영화 <라이크 크레이지(2011)> 리뷰

사랑은 어느새 스러지고, 잿더미만 남았네

바쁜 나날이 계속되다 보니 머리를 비우고 일상을 까맣게 잊을 팝콘 무비가 간절했다. 아마 적당한 블록버스터를 보았으면 괜찮았을 텐데, 나는 어쩐 일인지 드레이크 도리머스 감독의 <라이크 크레이지>를 선택했다. 결론부터 말해보자. 이 영화는 내 한 시간 반을 순식간에 앗아갔다. <라이크 크레이지>는 감각적이면서도 일상적이고, 스크린 속에 존재하는 세상임에도 너무나 자연스럽다. 다른 영화처럼 정확한 대본을 두 주연 배우에게 주는 대신, 50페이지 분량의 간략한 스토리 라인만을 제공한 게 전부였다는 제작 비하인드가 어쩌면 이 영화의 모든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출처: 다음 영화 포토


영화의 뼈대가 되는 시놉시스는 이렇다. LA에서 영국 여자 애나(펠리시티 존스)와 미국 남자 제이콥(안톤 옐친)은 사랑에 빠진다. 하지만 순간의 사랑을 연장시키고픈 욕심에 애나의 학생 비자의 최대 체류일을 무시한 두 사람의 연애는 난항을 겪게 된다. 단순히 여행 목적으로도 미국에 발을 들일 수 없게 된 애나와 제이콥은 의도치 않게 장거리 연애를 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제이콥은 자신이 없는 기간이 길어짐에도 여전히 충만하게 일상을 살고 있는 애나의 런던에서 이질감을 느끼게 되고 멀어지지만, 애나는 제이콥의 공간에 발 딛지도 못한 채 잠시간의 만남과 더 긴 이별을 극복해야만 한다. LA에서 격정적으로 타올랐던 사랑은 점차 추동력을 잃어간다. 자신의 언어로 상대를 기록하고, 힘껏 가구를 만들어 주었던 원동력은 시간과 함께 흩어진다.



아마 대다수의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한 번쯤 해 보았을 질문을 여기서 꺼내지 않을 수 없다. 사랑은 대체 뭘까? 사랑을 이루는 구성 요소는 무엇이며, 그 구성 요소 중 절대 빼놓을 수 없는 필수적인 요소는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사람마다 각기 다를 것이고, 작품마다 각기 다르다. 그렇기에 우리는 이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서사를 부여한다. 다만, 대개 로맨스 영화는 두 사람의 사랑이 피어나는 과정을 집요하게 잡아내 아름답게 그려낸다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삼는다. 아마도 영화는 현실이 아니라 우리의 소망이 투영된 콘텐츠이며, 온갖 고난과 역경에도 피어난 사랑을 완벽하게 쟁취해내는 모습을 조명하는 편이 관객들의 감정을 고양시키기 쉽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라이크 크레이지>는 다르다. 감독이 영상에 담아내는 것은 사랑이 죽어가는 과정이다. 



출처: 다음 영화 포토


영화 초반부의 꿈결 같은 한때는 지독하리만큼 짧았다. 모든 순간에 진심이었다는 것은 의심할 바 없겠으나, 자꾸만 흔들리는 카메라의 시선은 둘의 관계가 어쩐지 불안하다는 것을 암시하고, 특별한 서사 없이 짧은 시간 동안 빠르게 나열되었던 일상적인 숏들은 두 사람의 사랑이 얼마나 격렬하고 짧은 지를 대변한다. 하지만 동시에, 둘이 빠르게 스며들 수 있었던 가장 강력한 이유를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한다. LA에서 보낸 시간은 애나와 제이콥이 서로를 완벽하게 점유했던 시절이다. 시공간과 연인이 하나가 되어 자신의 삶 곧 그 자체가 되었다.



그러나 애나와 제이콥이 욕심껏 시간을 연장하자 두 사람이 넘어야 하는 것은 비단 시간뿐이 아니라 공간으로 확장되며, 영원할 것만 같았던 애나와 제이콥의 사랑은 남은 러닝타임 동안 느리게 질식한다. 서로의 삶이 다른 시간, 다른 공간에 존재하자 공유할 수 있는 세계가 점차 좁아지는 것을 막을 길이 없다. 비행기로 오가는 시간과 비용 역시 무시할 수 없는 현실이 된다. 결국, 인내가 각인된 팔찌는 희망이 부식되었을 때 끝내 달아나고, 끊어진다.



그렇다,  애나와 제이콥의 관계에서 태어난 사랑이란 감정은 영화 내에서 거듭 자신의 이름을 바꾼다. 한때는 미칠 듯 격렬한 열정이었고, 결혼을 통해 되찾고자 했던 미련이기도 했다. 애나와 제이콥이 안쓰럽기도 하고, 공감이 가는 까닭은 두 사람이 꺼져가는 사랑을 살리기 위해 애썼기 때문일 것이다. 그럼에도 애나가 미국에 갈 수 없는 시간이 기약 없이 늘어지고, 그나마 붙잡았던 희망조차 절망으로 돌아올 뿐이다. 이 일련의 과정을 모두 지켜보다 보면, 상대방에게 이제 그만하고 서로를 놓아주자는 말을 쉽사리 할 수 없는 머뭇거림을 이해하게 된다. 연인을 포기한다는 건, 단순히 그가 내 미래에서 퇴장한다는 걸 의미하지 않으므로. 온 삶을 공유했던 이와의 이별은 그와 사랑을 나눴던 자신의 청춘과 미래를 약속하며 아등바등 노력했던 시간이 함께 침몰한다는 걸 뜻하지 않던가.



출처: 다음 영화 포토



그렇다면 사랑은 무엇일까. 어쩌면 사랑이란 두 연인의 세계가 합일되는 과정 그 자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그 달콤한 시간을 경험했기에 애나와 제이콥은 서로를 차마 놓지 못했던 것이 아닐까. 언뜻 성가시게 느껴지는 짐이 되어 있다고 느끼면서도 상대방은 곧 자신이었으므로. 그러나 사랑은 인내심이 없어 둘의 사정을 봐주지 않는다. 더 이상의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기에 사랑은 죽어갔다. 이 사실을 외면하는 건 그저 사망 선고의 지연에 불과하다. 더욱 비극적인 건, 실체가 사라진 감정은 둘을 붙잡은 적이 없다는 사실이다. 그저 두 사람이 유령이 된 사랑에 매여 있던 시간이 길었을 뿐.



끊어진 사랑의 고리를 잇고자 했던 애나는 다시금 미국으로 향하고, 제이콥은 샘(제니퍼 로렌스)과 헤어지지만, 애나와 제이콥이 마주하게 되는 건 너무도 깊고도 푸른 허무, 오로지 그 하나였다. 




★★★

매거진의 이전글 영화 <박강아름 결혼하다(2021)> 리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