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F와 T 공생하기 Nov 13. 2024

너 T지? 해외의 시선 보태기.

다양성의 이해와 포용


앞서 동일한 제목으로 왜곡된 시선에 대해 이야기한 적이 있다.

https://m.blog.naver.com/insightwithfactful/223620041012


 

너 ’T’지?

“Whatever the circumstances of your life, the understanding of type can make your perceptions clea...

m.blog.naver.com

 ​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신문의 하나로 알려진 Straints Times에서 “너 T지?”가 한국에서 어떤 의미인지 다뤘다.

https://www.straitstimes.com/asia/east-asia/are-you-a-t-is-a-new-put-down-in-south-korea


‘Are you a T?’ is a new put-down in South Korea

Though regarded as “pseudoscientific,” the self-reported MBTI test is immensely popular in South Korea. Read more at straitstimes.com.

www.straitstimes.com

 ​

상세한 번역(ChatGPT 도움)은 조기 아래에 있고, 다음은 요약이다.

한국에서는 MBTI가 특히 젊은 층 사이에서 자아 발견과 사회적 연결의 도구로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너 T지?”라는 질문은 칭찬보다는 새로운 비하 표현으로 자리 잡았다. 요즘 이 질문은 공감을 잘 못하는 사람들에게 소극적 공격의 의미로 자주 사용되고 있으며, 서울에서 일하는 한 30대는 “이 질문은 ‘눈치가 없나요?’라고 묻는 것과 비슷한 의미”라고.

논리적이라는 것이 공감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과 동일하지는 않다, “만약 자신이 ‘T’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주장한다면, 이는 이해와 배려가 부족하다는 핑계일 뿐”이라고.

전문가들은 또한 성격이 고정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하며, ‘성격 유형’보다는 ‘사회적 가면’이나 ‘사회적 역할’을 나타내는 지표로 보는 것을 선호한다고 한다.

비슷한 맥락에서 이 테스트가 ‘성격’을 정의하기보다는 개인의 ‘성향’을 이해하는 데 더 가까우며, “공감과 이해를 바란다는 의미”로 읽힌다.

2000년대 초 한국 언론에서 보도되기 시작한 혈액형 성격 이론에서 ‘T’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일종의 ‘B’ 형 혈액형과 관련된 고정관념을 물려받은 셈입니다. 즉, 지나치게 솔직하고, 지나치게 직설적이며 심지어 차갑다는 인식이 있다.

한편, 장점도 있는데 “다른 비과학적인 믿음에 비해 더 과학적이고 정확한 대안”이라며, “개인 간 이해를 증진하는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분명한 것은 타인을 쉽게 단정 짓는 것은 해롭다. 나와 상대의 차이를 이해하고, 차이를 포용하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다양성에 대한 열린 마음이 우리 한국에 좀 더 필요해 보인다.

전체 번역

한국에서는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BTI)가 특히 젊은 층 사이에서 자아 발견과 사회적 연결의 도구로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성격 검사는 사람들을 ISTP나 ENFJ와 같은 네 글자의 코드로 분류하며, 각 글자는 특정 성격 특성을 나타냅니다. 최근에는 특히 세 번째 글자인 T(사고형)와 F(감정형)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이를 감정적 성향을 나타내는 비공식적 지표로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한국 사회가 성격 역학을 이해하고자 하는 폭넓은 관심을 반영합니다.

“당신은 T인가요?”라는 질문은 거의 칭찬으로 들리지 않습니다.

새로운 비하 표현으로 자리 잡은 이 질문은, 인기 있는 온라인 성격 테스트를 개발한 Neris Analytics에 따르면, 본질적으로 T(사고형)로 테스트된 사람들은 보다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성향을 가지며, F(감정형)로 테스트된 사람들은 보다 감성적이고 감정을 표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히 말하자면, 이 무료 온라인 테스트는 원래의 MBTI와 기술적으로 다릅니다.

한국 사회에서는 지식 기반에 더 논리적으로 치우친 “사고형”이 공감 능력이나 감정적인 깊이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있어 T와 F의 차이가 더욱 무게 있게 다가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신은 T인가요?”라는 표현은 지난해 유튜브 코미디 채널 ‘밈고리즘’에서 인기를 끌었습니다. 사람들은 한 여성 코미디언이 분위기를 망치는 지나치게 솔직하고 사실적인 발언을 하는 사람들에게 이 질문을 비꼬듯 던질 때 유쾌하다고 느꼈습니다.

이 장난스러운 농담 속에는 상대방이 기대한 대로 반응하지 못하는 친구에 대한 화자의 짜증이 담겨 있습니다. 이 표현은 이후 한국인들에게 큰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다양한 파생 밈과 함께 여러 오프라인 제품을 탄생시켰습니다. 지난달, 배스킨라빈스 코리아는 “Are You Tea?”라는 재치 있는 이름의 얼그레이 아이스크림 맛을 출시하기도 했습니다. 요즘 이 질문은 공감을 잘 못하는 사람들에게 소극적 공격의 의미로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20대 대학생으로 INFP 성격 유형이라고 밝힌 송 씨에 따르면, 이러한 성격 유형 구분은 다양한 사회적 관계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특히 연인 관계에서 두드러질 수 있다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연인이 서로의 감정적 주파수를 맞추고 상대방의 감정 패턴과 필요를 잘 이해할 것을 기대하기 때문입니다. 송 씨는 “논리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은 문제 해결에 집중하는 반면, 다른 쪽은 단지 감정적인 지지를 원할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친구들이 데이트 상대나 다른 친구들과의 문제를 이야기할 때, 대개는 “너의 남자친구나 여자친구는 T인가?”라는 질문으로 귀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계적으로, T 특성을 가진 성격 유형은 소수이긴 하지만 무시할 수 없는 비율을 차지합니다.

2021년 Neris Analytics Limited의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인 응답자 70,266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사고형 대 감정형의 비율은 3.3 대 6.7이었습니다. 반면 미국에서는 1972년부터 2002년까지의 더 큰 데이터셋을 분석한 결과, 비율이 4 대 6으로 한국보다 덜 두드러졌습니다.

서울에 거주하는 26세의 ISTP 성격 유형을 가진 김범준 씨는 이런 질문을 많이 받아봤다고 말합니다.

김 씨는 “제가 냉정하고 사실적인 말을 할 때마다 많은 사람들이 반 농담처럼 그 질문을 던진다”라고 말했습니다. “제가 신경 쓰고 배려하는 답변을 하려고 노력해도 여전히 ‘영혼이 없다’고 낙인찍힙니다.”

그는 친구들이 기대하는 것처럼 감정적으로 반응하거나 공감을 표하기보다는, 주로 이성적이고 사실에 근거한 현실적인 관점에서 문제에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고 인정했습니다.

“저도 감정이 있어요.” 그는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사고형이나 감정형인지 여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까지 말합니다. 서울에서 일하는 한 30대는 “이 질문은 ‘눈치가 없나요?’라고 묻는 것과 비슷한 의미”라고 말했습니다.

과도한 단순화

반대로, 일부 사람들에게는 네 글자의 코드로 구분하는 이분법이 지나치게 단순하다고 느껴집니다. 30대 김현성 씨는 MBTI에 회의적입니다. 그는 인간이 너무 복잡하여 단 16가지 성격 유형으로 깔끔하게 분류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같은 성격 유형이라도 개개인 간에는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그는 믿습니다.

다른 과도한 이분법에는 첫 글자인 ‘내향형’이나 ‘외향형’이 사회성과 수줍음을 나타내는 것, 네 번째 글자인 ‘판단형’과 ‘탐색형’이 계획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것 등이 포함됩니다. 일부는 사람들이 자신의 T 성격 유형을 행동의 정당화로 사용할까 걱정합니다.

익명의 온라인 플랫폼 Blind의 한 사용자는 논리적이라는 것이 공감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과 같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만약 그들이 자신이 T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주장한다면, 이는 이해와 배려가 부족하다는 핑계일 뿐입니다.”

전문가들은 또한 성격이 고정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합니다.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김경일 교수는 2023년 KBS 방송에서 특정 성격 유형 레이블의 유효성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김 교수는 MBTI 테스트 결과가 개인이 특정 사회적 상황에서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반영한다고 설명하며, 이를 ‘성격 유형’이 아니라 ‘사회적 가면’이나 ‘사회적 역할’을 나타내는 지표로 보는 것을 선호한다고 밝혔습니다.

비슷한 맥락에서 여러 심리학 서적을 집필한 문화심리학자 한민 씨는 이 테스트가 성격을 정의하기보다는 개인의 ‘성향’을 이해하는 데 더 가깝다고 한국 헤럴드와의 인터뷰에서 말했습니다. 최근 유행하는 이 표현에서 T 성향이 강조되는 이유에 대해 한 씨는 사람들이 감정에 대한 공감을 원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질문이 또래에게 던져진다는 것은 그들이 자신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사람으로부터 공감과 이해를 바란다는 의미입니다.”

사실, 한 씨에 따르면 특정 집단에 이러한 레이블이 붙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MBTI 열풍 이전에는 점성술과 혈액형 성격 이론이 사람의 성격을 결정하는 인기 있는 수단이었습니다. 2000년대 초 한국 언론에서 보도되기 시작한 혈액형 성격 이론에서 T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일종의 B형 혈액형과 관련된 고정관념을 물려받은 셈입니다. 즉, 지나치게 솔직하고, 지나치게 직설적이며 심지어 차갑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한편, 한 씨는 성격을 평가하는 유일한 기준으로서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테스트의 장점도 인정했습니다. 그는 “이 테스트는 다른 비과학적인 믿음에 비해 더 과학적이고 정확한 대안”이라며, “개인 간 이해를 증진하는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대학생 송 씨도 이에 동의하며, 이 성격 테스트가 반대 성향에 있는 사람들을 더 잘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저는 사고형 사람들을 이해하게 되었어요,” 그녀는 말했습니다. “그들이 차가운 것이 아니라 그저 다른 방식으로 사고한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운전 중 모바일 기기 사용여부 감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