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트노마드 함혜리 Dec 02. 2021

건축 탐구]아주 특별한 보통의 학교

서울서진학교가 특별한 이유  

아주 특별한 보통의 ‘서울서진학교’


서울시 건축상은 이름 그대로 서울특별시가 매년 사회적 의미와 건축적 완성도가 뛰어난 건축물에 주는 상이다. 서울지역에 한정된다는 점에서 전국 규모의 다른 상들에 비해 대중적 관심이 덜했던 이 상이 올해 부쩍 시선을 모았다. 대상 수상작으로 강서구 가양동의 서울서진학교가 선정됐기 때문이다. ‘무릎 꿇은 엄마들의 호소’가 여론을 움직여 지어진 바로 그 학교다. 1979년 이 상이 제정된 이래 대학교가 아닌 학교 건물이 대상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특수학교를 혐오시설로 인식하며 극구 반대했던 지역 주민들이 머쓱해질 정도로 이제 서진학교는 ‘모두가 화합하는’ 강서구의 자랑거리가 됐다.


서울시 교육청이 공진초등학교 이전 부지에 강서지역 공립 특수학교 설립계획을 발표한 것은 2013년이다. 2017년 강서 양천 교육지원청이 설계공모를 진행했다. 10여 팀이 안 되는 건축사사무소가 공모했고 코어건축사사무소의 제안이 당선작으로 뽑혔다. 한창 실시 설계를 진행하던 중 주민 표를 의식한 지역구 의원이 이 자리에 한방병원을 짓겠다고 나서자 지역 주민들은 특수학교 설립을 완강하게 반대했고 급기야 학부모들이 무릎을 꿇는 사태가 벌어졌다. 서진학교를 디자인한 코어건축사사무소의 유종수·김빈 소장은 당시를 돌이켜 보며 말했다.   

“문제가 있는 곳이라는 것은 알았지만 그 정도로 반대가 심할 줄은 몰랐죠. 주민들의 반대를 의식하고 디자인을 수정하지는 않았고, 오히려 자극이 되었지요. 다양한 연령대, 장애의 정도가 각기 다른 아이들을 따듯하게 보듬어 줄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학교를 만들어보자고 했습니다.”

해맑은 주말에 서진학교를 두 건축가의 안내로 찾았다. 정문과 마주한 4차선 도로 건너편에는 고층 아파트, 뒤로는 영구임대아파트를 두고 그 한가운데 반듯하게 들어서 있는 붉은색 벽돌 건물은 여느 학교와 다르지 않다. 주말이라 쉬고 있는 노란색 스쿨버스가 정겹다. 재잘거리는 아이들의 목소리가 들리는 것 같다. 2020년 3월 이 학교가 개교하기까지 그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다고 상상하기 어렵다.

서울서진학교는 지하 1층, 지상 4층의 규모로 지어졌다.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전공과 학생까지 14년의 교육과정에 170명의 발달장애 학생이 재학 중이다. 옛 공진초는 일반적인 학교의 구성대로 운동장과 복도를 따라 교실이 나열된 ‘ㄷ’ 자형 교사였지만 지금의 학교는 중간 정원을 가진 ‘ㅁ’ 자 형 구조로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다. 지하 1층은 도로의 높이와 같아 진입 공간 겸 로비의 역할을 한다. 지상층의 운동장과 옛 교사의 높이 차이(3m)를 그대로 살려 자동차를 이용해 도착한 학생들이 이곳을 거쳐 각자의 교실로 찾아가도록 했다.  

유종수 소장은 “기존 학교 건물의 일부를 리모델링하면서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안전하고 편하게 학교생활을 하도록 신축 건물을 디자인한다는 것이 쉽지는 않았다”면서 “기존 운동장과의 지표 차이를 살리고 학생들의 활동을 고려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ㅁ’ 자 모양의 구조가 도출됐다.”고 설명했다. ‘ㅁ’ 자 모양의 공간은 기존 건물의 한 축을 이용해 리모델링하고, 여기에 ‘ㄷ’ 자 모양의 건물을 신축해 옛 건물에 이어 붙여서 만들어졌다. 이 구조로 디자인을 풀면서 다른 학교에선 볼 수 없는 이 학교만의 특징적 공간들을 낳았다. 기존 복도보다 두배 이상 되는 넓은 복도와 아늑한 소통의 공간인 중정이 대표적이다.  

알록달록 안내선이 그어져 있는 복도 ( 코어건축가사무소 제공 , 사진 이택수)
아늑한 중정은 이 학교를 특별하게 해 준다.

발달장애 학생들은 대체로 신체활동에는 무리가 없다. 김빈 소장은 “이런 특성에 맞춰 몇 가지 방향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경사로 대신 복도를 넓히고 넓은 복도에는 층별도 다른 컬러를 배치하되 각 층의 복도에 각기 다른 색으로 지시선을 두어 유사시 대피 안내 역할을 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신축한 공간의 복도는 기존 교사의 복도 폭 2.4m 보다 두배 정도인 4.5~5m로 넓게 만들었다. 층마다 다른 색의 마모륨을 깐 넓은 복도는 교실과 교실을 연결하는 기능을 넘어 수업공간의 연장인 제2의 교실 역할도 한다. 특히 중정을 향해 둥글게 튀어나온 ‘파드(POD·건축물에 덧붙이는 여분의 공간)’를 각 층 복도에 2개씩 만들어 학생들이 음악회, 미술 전시, 공연, 포토존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유 소장은 “이 학교 학생들은 8살에 입학해 성인이 될 때까지 14년을 한 공간에서 생활하고 배우며 성장해 가기 때문에 학생들이 학교에서 공부만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하고 추억을 만들 수 있도록 공간을 기획했다”면서 “테라스의 기능도 겸하는 파드는 두 개 층을 연결한 오픈 공간으로 만들기도 하면서 색다른 공간 경험을 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다양한 활동 공간으로 활용되는 복도의 파드 공간. 넓은 복도이기에 가능하다.

각 교실에선 6~8명의 학생이 공부한다. 교실과 교실 사이에는 힘들어하는 아이들이 안정을 취할 수 있는 안정실을 두었다. 각 층의 복도는 트랙처럼 이어지는 순환형 동선을 가진다. 공간 지각 능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이 자기 교실을 간혹 지나치더라도 다시 한 바퀴 돌아오면 올바른 장소를 찾을 수 있다. 복도 바닥에 알록달록하게 그어진 지시선은 학생들이 바닥 선을 따라 각 층으로 이동하도록 배려한 것이다. ‘ㅁ’ 자 모양의 구조와 순환형 동선의 넓은 복도는 안전장치를 확보하면서도 공간의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  

한 층을 돌다 보면 한쪽 변의 복도가 갑자기 좁아진다. 옛 교사에서 리모델링한 부분이다. 복도가 좁아서 교사들을 위한 공간이나 특별활동실 등을 두었다. 지금은 교실 공간이 모자라 3층은 이 복도에 중학교 반을 배치했다. 우리나라의 학교 건물은 교실 면적이 20평(67.5㎡)을 기준으로 최소 면적 66㎡로 규격화되어 있다. 예산에 맞춰 공사비를 줄여야 하니 교실도, 복도도 좁아질 수밖에 없다. 김 소장은 “ 특수학교라고 예외 적용이 안 되는 법규에 따라 지어지는 학교는 천편일률적 공간이 될 수밖에 없지만 신축하는 학교에선 아이들이 보다 자유롭고 개방감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주고 싶어 넓은 복도를 만들었다”면서 “처음엔 학생들도, 교사들도 넓은 복도를 어색해했지만 지금은 아주 잘 활용하는 것 같아서 넓게 디자인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순환형 동선의 넓은 복도는 안전장치를 확보하면서도 공간의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 (코어건축사사무소 제공, 사진 이택수)

이 학교에서만 만날 수 있는 또 다른 공간은 아늑한 중정이다. 각 층의 복도에선 하늘로 열린 중정이 보인다. 학생과 교사, 학부모들이 함께 이용하는 1층의 북카페를 지나 중정으로 나가면 기둥을 타고 올라가는 넝쿨나무를 가운데로 하고 나선형으로 디자인한 의자, 층층이 단차가 다른 화단 등이 보인다. 연령대가 다른 학생들이 함께 다니는 학교인 만큼 키 높이, 눈높이가 다른 것을 감안한 것이다. 학생들은 중정에서 철마다 다른 꽃과 풀을 함께 만나면서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고 성장해 간다.

가운데 아늑한 정원을 둔 'ㅁ'자형 구조를 한 서울서진학교. (코어건축사사무소 제공, 사진 이택수)

중정을 둘러싸고 있는 교사동의 외벽은 나무로 처리했다. 봄여름의 초록빛을 상상해 보면 나무 외벽과 근사하게 조화를 이룰 것 같다. 유 소장은 “밖에서 보이는 외벽은 일반 학교처럼 벽돌을 쌓았지만 안에서는 보다 더 따스하고 포근한 느낌이 들도록 탄화목을 붙였다”고 설명했다. 새로 지은 건물의 한쪽 날개에는 다목적 용도의 실내 체육관을 만들었다. 창문이 많아서 자연 채광이 좋은 이곳에서 지난 3월엔 졸업식도 열렸다.

천창응 만들어 빛이 질드는 북카페.
운동장 한 켠에 새로 증축된 날개부분에 위치한 강당.

서진학교 건물을 둘러보면서  정도라면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학교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건축가에겐 아쉬운 구석이 많아 보였다. 당시 교육청이 배정한 예산은 일반 학교에 책정된 평당 500  선이었다. 아파트 평균 공사비(평당 650 )에도  미치는 예산으로 특수학교를 지은 것은 사실 ‘기적 가깝다.

 소장은 “공공 건축은 예산 집행 시스템 안에서 움직이니까 예산이 너무 빡빡하고 해서 학교 건축을 지을  거쳐야  절차가 너무 많아서 설계와 시공에 집중할 시간이 너무 짧다면서 “예산이 나중에 약간 증액되긴 했지만 설계에 반영하기엔 이미 늦었다. 조금만 융통성을 발휘한다면 훨씬  완성도 높은 공공건축이 나올 이라고 말했다.

서진학교를 디자인한 코어건축사사무소의 김빈(왼쪽), 유종수 건축가.

-----------------------

* 필자 주. 서울신문 건축 오디세이를 위해 쓴 글을 손질해 실었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건축 탐구] 소나무의 감각을 깨워주는 건축, 송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