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트노마드 함혜리 Nov 14. 2021

건축 탐구] 소나무의 감각을 깨워주는 건축, 송은

HdM의 473번째 작품 송은문화재단 신사옥 ST송은빌딩

감각의 건축, 헤르조그 앤 드 뫼롱의 국내 첫 프로젝트 ST송은빌딩


서울 강남의 교통축인 도산대로에 뾰족한 각을 지닌 삼각형 건축물이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젊은 미술작가를 발굴·지원하고 비영리 전시공간을 운영하는 송은문화재단의 신사옥 ‘ST송은빌딩’이다.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의 플래그십 스토어와 유명 레스토랑 등이 밀집해 서울에서 가장 상업적이라 일컬어지는 청담동 지역에 들어선 문화예술의 랜드마크라는 점에서도 이채롭다. 이 건물이 더욱 주목받는 이유는 요즘 세계 건축계에서 가장 핫 하다는 스위스 건축가 듀오 헤르조그 앤 드 뫼롱(Herzog & de Meuron, 이하 HdM)의 국내 첫 프로젝트라는 점이다.

스위스 바젤에 본사를 둔 HdM은 런던 테임스 강변의 거대한 화력발전소를 개조한 테이트 모던(2000년)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스위스 라우펜의 리콜라 창고(1987), 미국 캘리포니아 나파밸리의 도미누스 와이너리(1998) 등 여러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물성과 구축성에 대한 탐구로 일찍부터 국제적인 주목을 받은 이들은 2001년 건축가에게 최고의 영예인 프리츠커상을 수상하면서 최고의 위치를 확고하게 굳혔다. 건축 전문인력 40여 명, 지원 인력 400명이 포진하고 유럽, 미주, 아시아 등지에서 200여 개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홍콩 서구룡에 완공한 2만여 평 규모의 미술관 M플러스, 뉴욕 맨해튼의 트라이베카 역사지구에 올 연말 완공되는 ‘56 레너드 스트리트’ 등 프로젝트에서 보듯이 이들의 건축은 뛰어난 기술력과 독보적인 건축 디자인을 자랑한다. 지역적인 맥락과 문화 및 환경에서 건축적 영감을 받으며 특히 재료와 재질, 공간과 자연에서 오는 아름다움을 시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아시아에서 가장 주목받는 도시 서울에서 가장 번화한 지역 중 한 곳에 들어서는 문화공간 ST송은빌딩은 그들의 473번째 프로젝트이다. 여기에 HdM이 담고자 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

지난 9월 30일 건물 준공에 즈음해 현장을 찾았던 피에르 드 뫼롱은 인터뷰에서 “우리는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공존하는 세상에서 살 것이다. 고도로 발달한 디지털 기술과 함께 가상의 세계가 우리 삶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확대되겠지만 그럴수록 실제로 시각과 촉각 등을 통해 느끼는 물리적 감각은 더욱 중요해진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인간은 인지하는 기계이며 우리에게는 ‘감각’이라는 것이 살아있고 감각함으로써 살아 있음을 느낀다”면서 “주변의 맥락과 주어진 설계 조건 안에서 놀라운 감각적 경험을 느끼는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고 말했다.

삼각형의 조각물 같은 외형 ©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 All rights reserved.

ST송은빌딩은 콘크리트로 지어진 날카로운 삼각형 건물이다. 최대한의 바닥면적, 토지 이용 규제 등의 설계조건 안에서 가능한 조각적 형태를 도출한 결과다. 남향을 선호하는 일반적인 건물과 달리 남측 대로를 향한 건물의 정면이 높은 벽으로 되어 있다. 창문도 인색하게 나 있다. 말 만 들으면 무척 차갑고, 답답할 것 같지만 실제로 보면 반대다. 벽면은 자연의 나무 무늬가 살아있는 따스한 천의 질감이 느껴진다. 정면 벽에 길게 나 있는 두 개의 통유리 창문과 측면의 세모형 창문, 로비층의 유리 벽과 이어지는 정원, 북측의 층층이 만들어진 테라스를 보면 건물은 닫혀있다기보다 개방적이다.   

파사드의 높은 콘크리트 벽은 나무판 거푸집을 사용해 양생 했다. 시간과 공은 많이 들었지만 소나무의 질감을 그대로 살려 시각적·촉각적 경험을 선사한다. 날카롭고 기하학적이며 미니멀한 일체형 구조의 건물과 나뭇결 무늬는 뚜렷하게 대비되는 것 같으면서도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룬다. 목판 거푸집마다 문양과 결이 달라서 마치 회화 작품을 보는 것 같다.

HdM은  송은문화재단(이사장 유상덕)의 신사옥 디자인을 시작하면서 ‘송은(松隱)’에 담긴 ‘숨은 소나무’라는 뜻에 큰 영감을 받았다. 송은은  문화재단을 설립한 고(故) 유성연 삼탄 명예회장의 호이다. 함경남도 출신으로 개발시대에 석탄 사업에 전념하느라 젊은 시절 품었던 예술가의 꿈을 접어야 했지만 대신 뒤에서 젊은 예술가들을 지원하기 위해 문화재단을 만들었다. 드 뫼롱은 “건축 설계를 시작할 때부터 ‘숨어있는 소나무’라는 시적인 의미에 영감을 받았고 소나무를 시각화하면서 건축물의 촉각적 경험을  유도하는 방법을 다각적으로 탐구했다.”고 설명했다.

유리벽으로 외부 정원과 이어지는 로비©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 All rights reserved.

“콘크리트 건물의 표피에 나무의 물성을 입히면서 건물의 볼륨감은 육중함과 가벼움을 동시에 지닌다. 목판의 문양과 결은 건물의 표피를 차가운 콘크리트가 아니라 마치 부드러운 레이스처럼 보이게 만든다. 다양한 나뭇결 무늬는 광선의 변화에 따라 건물의 표정을 시시각각 변화하게 만든다.”.

1989년 설립된 송은문화재단은 ST인터내셔널(구 삼탄) 사옥 내에 위치한 송은아트큐브, 2011년 개관한 송은 아트스페이스, 신사옥 부지에 있었던 송은 수장고 등 공간 운영과 함께 송은 미술상, 전시공모, 신진 작가 지원 사업을 이어왔다. 보다 다양한 변주가 가능한 전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신사옥을 건립하기로 하면서 HdM에게 디자인을 의뢰했다. 2017년 콘셉트 디자인과 설계를 시작으로 2018년 10월 착공해 4년 반의 여정을 마쳤다.

자크 헤어초그(왼쪽)와 피에르 드 뫼롱 (오른쪽)  송은문화재단 제공

“건축물은 건축물이다. 그것은 책처럼 읽힐 수 없다... 우리 건축물의 강점은 그것이 방문자에게 미치는 즉각적이고 본능적인 영향이다.” (2001년 프리츠커상 수상 당시 자크 헤어초그의 연설문 중)

자크 헤어초그의 말대로 ST송은빌딩을 제대로 체험하는 최고의 방법은 공간을 실제로 걸으면서 즉각적으로 느껴보는 것이다. HdM이 송은문화재단과 함께 기획한 개관기념 전시 ‘헤르조그 앤 드 뫼롱, 송은 아트스페이스 탐구’는 그동안 HdM이 그들만의 방식으로 송은과 예술, 공간을 탐구한 결과를 보여주면서 공간을 경험하도록 하고 있다. 공간 자체가 전시물로 기능하는 셈이다. 오는 11월 20일까지 이어지는 전시는 새로운 공간을 탐색하게 될 관람객의 경험에 초점을 맞춰 세심하게 구성돼 있다. 지하 2층부터 1층과 로비 공간, 정원, 그리고 2층과 3층까지 공간의 흐름에 따라 실내와 실외, 지상과 지하를 가로지르며 건축물을 온전히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HdM의 작업물, 예술가들과의 협업 외에 신사옥 공사현장과 건축에 사용된 소재, 모형 등 일련의 건축과정을 영상, 프로젝션, 증강현실과 디지털 전시 방식으로 보여준다. 그동안 송은문화재단 전시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국내 작가 6명의 커미션 작업도 공간 곳곳에 설치해 HdM이 지향하는 건축 철학을 온전히 느끼도록 했다.

지하 전시장. HdM은 아티스트들과의 다양한 협업 작업으로도 유명하다. 송은문화재단 제공
2층 전시장 , HdM의 그간 성과물을 보여주는 사진과 모향을 전시하고 있다.  송은문화재단제공

드 뫼롱은 “우리는 건물과 도시의 교감을 중시한다. 강남의 도심에 들어서는 이 건물은 육중한 조각물인 동시에 개방된 공간으로 구현하는 것이 컨셉이었다. 최선의 방법으로 최적의 솔루션을 도출해 내면서 전시공간으로서의 기능과 구조, 조각적인 표현을 일체화하고자 했다”면서 “수직적인 건축물이기 때문에 맨 위층부터 층별로 다른 공간적 경험을 갖도록 했고, 전시공간도 다채롭게 구성했다”고 말했다.

지붕으로 덮인 통로는 건물 입구와 연결된다. 투명한 유리벽을 통해 아늑한 정원이 눈에 들어온다. 정원 쪽의 캐노피 아래에 설치된 미디어월에서는 슬기와 민의 단채널 미디어 작품이 돌아가고 있다. 외부 정원에 달린 조명은 HdM이 물방울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한 것이다. 물방울 모양은 지하에서 1층을 지나 2층으로 연결되는 나선형 램프의 곡선과도 이어진다. 2층 전시장으로 올라가는 램프 공간에는 계단을 설치해 벽면에 비치는 영상물을 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송은 수장고가 철거되고 신사옥이 지어지는 과정을 담은 박준범 작가의 단채널 영상물이 상영 중이다. 2층에는 두 개의 전시공간과 대로변으로 길쭉하게 만들어진 리딩 룸이 있다. 작은 공간에서는 HdM의 목판 거푸집을 실험한 콘크리트, 다양한 모형 등 ST 송은 빌딩의 설계과정을 보여주는 탐구의 결과물들이 전시돼 있다. 2층과 3층 전시공간에서는 HdM의 대표 작품을 담은 사진작품과 모형들, 초기 작품, 향초 작품 등을 볼 수 있다. 원형의 지하 2층 전시공간은 깊은 우물처럼 아늑하다. 번화한 도시에서 저 멀리 떨어져 심연으로 몰입하도록 유도한다. 지하 공간 2층의 가운데 천장은 1층까지 뚫려있다.

로비에서 2층으로 연결되는 계단©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 All rights reserved.
지하에서 올려다본 2층 천장,  ©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 All rights reserved.

드 뫼롱은 “서울은 매우 흥미로운 도시다. 하지만 다른 도시와 마찬가지로 도시의 무한팽창은 더 이상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도심의 문화공간에서 많은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 ”면서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공존하는 세상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은 바쁜 일상 중 한 번쯤은 ‘쉼’을 가질 필요가 있다. ‘송은’이 그런 공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필자 주> 서울신문에 연재중인 ‘건축 오디세이’를 위해 쓴 글을 보완해 실었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건축 탐구] 궁극의 힐링 공간, 울릉도 코스모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