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인연 2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석혜탁 칼럼니스트 May 02. 2018

표리부동의 미학

표리부동의 미학


표리부동(表裏不同)이라는 표현 뒤에는 흔히 부정적인 술어가 동원되곤 한다. 우리는 어렸을 때부터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은 나쁜 사람이라고 배워왔다. 이유도 모른 채 ‘표리부동은 부정적 표현’이라고 학습했다. 


실제 용법도 그렇다. 포털 뉴스 검색에 표리부동을 입력해보면, 보통 상대를 비난하기 위한 의도로 이 표현을 자주 사용하곤 한다. 첨예한 갈등 상황이 반복되는 정치 관련 기사에서 이 사자성어를 자주 접할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실제 그 쓰임이 어떻든 간에 표리부동의 한자를 하나하나 뜯어보면, 딱히 나쁠 것도 없는 표현임을 알 수 있다. 겉(表)과 속(裏)이 같지 않은(不同) 게 뭐 대수인가. 외려 더 매력이 있는 경우도 있지 않나? 반면 외유내강(外柔內剛)은 대개 긍정적인 뜻으로 쓰인다. 겉은 부드러워 보이는데, 속은 굳세다는 것. 이 역시 겉과 속이 다른 게 아니던가. 


개인적으로는 표리부동한 사람이 참 좋다. 겉으로는 평범한 대기업 직원이지만, 속으로는 조금 철이 없어 보일지 언정 예술가적 고뇌를 가득 안고 사는 박 모 사원. 다소 보수적인 직장에서 제복에 가까울 정도의 옷차림과 정갈한 머리스타일로 출근을 하지만, 주말에는 웬만한 남성 동료보다 더 거친 운동에 빠져 지내는 서 모 대리. 겉 보기엔 강한 책임감으로 똘똘 뭉친 장남이지만, 쉬는 날에는 이해인 수녀의 시집을 밑줄 쳐가며 읽는 영원한 문학청년 이 모 팀장. 


다른 ‘속’이 있어야 ‘겉’도 제 역할을 충실히 해낼 수 있다. ‘속’마저 ‘겉’과 진배없어지면, ‘겉’이든 ‘속’이든 금세 지쳐 버리기 십상이다. 더 다양한 ‘속’을 발굴해내자. 회사에서, 학교에서, 사회의 여러 영역에서 지친 하루를 보낸 ‘겉’을 위무해줄 수 있는 건 내 안의 또 다른 자아인 ‘속’이다.


표리부동한 자신을 자책하지 말자. 도리어 ‘표’와 ‘리’의 차이를 더 벌려 보는 작업을 해보면 어떨까. 자신의 신체와 정신에 잠재한 다채로운 자아의 목소리에 더 귀를 기울여 보길 권한다.

치자(治者) 입장에선 겉과 속이 같은 사람을 선호한다. 그래야 통제하기 쉽기 때문이다. 한데 겉과 다른 나의 속에 대해 누군가에게 소상히 설명해야 할 의무가 우리에겐 없다. 이 내밀함이 전제될 때 나의 속은 더욱 건강해지기 마련이다.


표리부동한 사람이 더 많아지길 바란다. 겉과 다른 그 속이 불법적이거나 비도덕적이어서는 당연히 안 되겠지만, 여러 얼굴을 갖고 있는 내 안의 또 다른 영혼에게도 숨 쉴 자유를 부여해야 한다. 


또 표리부동하다며 누군가를 비난하는 사람이 줄어들었으면 좋겠다. 거짓말을 하거나 자신이 한 말을 입장에 따라 뒤집는 행태는 겉과 속이 다르다기보다는, 그저 그 행동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러면 그에 상응하는 비난을 받으면 된다.


표리부동은 때때로 창의력의 원천이 될 수 있고, 동기부여의 동력이 되기도 한다. 나의 또 다른 속이 참으로 소중하다. 오늘도 표리부동한 내일을 꿈꾼다.


석혜탁  sbizconomy@gmail.com

매거진의 이전글 행복책방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