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엄한 그 이름, '애국'
영화 <밀정>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밀정>(2016)의 서사를 이끄는 이정출(송강호)은 독립운동을 돕는 동시에 일본을 위해 일하는 모순적인 인물이다. 그는 한때 상해 임시정부에서 통역사로 활동했지만 친일 행위를 통해 제 살길을 찾았다. 임시정부의 정보를 밀고한 덕에 경무국 부장 히가시의 신임을 샀고, 조선인으로선 오르기 힘든 경부 직책을 맡게 됐다.
이정출은 의열단의 수장 정채산(이병헌)을 잡아들이라는 명을 받고, 의열단원 김우진(공유)에게 접근한다. 의열단 깊숙이 들어가 발본색원하려는 것. 그는 의열단 앞에선 의열단을 위한, 경무국에선 경무국에 유용한 밀정으로 아슬아슬 경계를 오간다.
문제는 밀정이 늘 배신과 발각의 위험을 안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정출은 의열단과 경무국 양측의 의심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그 역시 자신이 진정 어느 쪽에 속해있는지, 어디까지가 연기인 것인지 혼란스럽다.
정채산은 그런 이정출이 가장 열망하던 것을 꺼내 보인다. 바로 신뢰다. 정채산은 이정출에게 목숨을 맡겼고, 그의 시간을 선물했다. 그가 건넨 것은 이정출을 향한 믿음이자 버리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이다. 결국 이정출은 인간으로서 자신을 믿어주는 이들의 곁에 선다. 그가 김우진과 정채산을 믿었기에, 종국에 그의 이름 앞에는 ‘독립투사’(황옥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하나, 영화 내용상으로는)가 새겨진다.
이정출뿐만이 아니다. 같은 시대를 살았던 모두가 자신만의 기준을 두고 고민한 끝에 움직였다. 몸이 찢기고 일그러져도 동료를 배신하지 않았던 연계순(한지민), 헝가리 출신이지만 위험을 감수하고 의열단을 도운 루비크(포스터 B. 버든) 이름까지 일본식으로 바꾸고 조선인들을 무자비하게 학살하는 하시모토, 동료의 목숨을 팔아 부와 명예를 얻은 주동성(서영주)과 김황섭(남문철), 거듭되는 실패에 회의를 느끼고 승률이 높은 쪽으로 옮겨간 조희령(신성록)… 애국은 누군가의 이유이며 다른 누군가의 결과가 된다.
영화는 목숨 바쳐 희생한 이들을 두고 “당연히 그래야 한다”라고 단언하지 않는다. 대신, “우리가 격동의 시기를 살았더라면 과연 어떻게 했을지” 자문하게 한다. 예컨대 황옥은 이정출로, 김시현은 김우진으로, 김원봉은 정채산으로 탈바꿈한다. 재현보다는 가공에 주력해, 그 자리에 설 수 있는 ‘누구나’를 말하고자 한다.
‘나라를 위해 죽겠다’는 답을 내기까지 스쳐 간 많은 선택지는 얼마나 매혹적인가. 모든 유혹을 떨쳐낸 이들을 향한 경외심은 절절한 음악, 배우의 울부짖음 등 (여타 역사극이 사용해왔던) 외부 장치에 의한 것이 아니다. 극 중 인물에 자신을 비춰본 관객의 내면에서 비롯된 감응이다.
제국주의 옹호나 친일을 말하려는 게 아니다. 나라를 저버린 자들을 합리화하고 싶지는 않다. 다만, 그들은 절대적인 악이 아니라 개인이자 사람으로서 선택했을 뿐이다. 선택, 그리고 결과에 대한 책임까지도 온전한 그들의 몫이다. (나라를 배신한 자들이 나라를 지킨 이들을 누르고 잘 먹고 잘살며, 책임은 제대로 지고 있지 않은 현실은 잘못됐다.)
태어난 순간 결정되는 국가에 순응하지 않고 ‘선택’하는 행위는 아픈 역사와 맞물리며 '나라를 버린’, ‘배신한’, ‘파렴치한’ 따위의 수식어가 따라붙는다. 그러나 사실은 알고 있지 않은가. 그 누구도 애국심을 섣불리 단언할 수 없다는 것을. 사랑하는 이들을 눈앞에서 잃고 자신의 목숨까지 바쳐가며 나라를 지키는 것은 결코 쉽지도, 자연스럽지도 않다. 그러니 부디 그들의 숭고함을 오랫동안 잊지 않고 기릴 수 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