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긍정태리 Mar 14. 2023

자책감은 과연 어디에서 왔을까?

대한민국 여자로서 살면서 느끼는 자책감

우리는 살다가 수많은 문제를 만난다. 문제가 발생할 때, 습관적으로 자책을 하는 버릇이 있었다. 이 자책은 반성과 개선으로 이어지면 좋겠지만, 순간 에너지를 떨어뜨리기도 한다. 젊었을 땐 자책해서 다시는 그러지 말아야지 다짐하며 개선되기도 했지만, 나이 든 요새는 그럴 에너지가 나기 힘들다.


외로움 수업 책에서 실수가 자책이 되지 말고 반성과 성장의 도구가 되게 하라는 글을 읽었다. 반성과 성장의 도구로 쓰여야 할 실수인데, 자꾸 자책으로 빠지는 이유가 뭘까?


지난 주말, 비폭력대화 수업을 참여하다 여자분들이 일상에서 사건사고를 만날 때 자책으로 잘 빠지는 패턴을 보게 되었다. 내가 보기엔 굳이 자책까지 갈 필요가 없는 일에도 습관처럼 말이다. 이 부분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보게 되었다. 한편으론 왜 남자들은 자책의 감정을 가지는 걸 별로 본 적이 없다. 왜 그럴까?


대한민국 여자로서 보살핌이나 배려 등 사회적으로 암묵적으로 요구받는 역할이 있다. 그걸 천성적으로 잘하는 여자들도 있지만, 성격이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러 악의적으로 그러는 게 아닌데, 이타적인 여자들은 왠지 칭찬을 많이 받고, 그렇지 않으면 엄마들에겐 네가 바른 엄마냐의 질타 등이 날아온다. 최근 모성애도 사회적으로 강요된 게 아니냐는 글을 읽었다. 아무리 여자라도 타고나길 전통적으로 강요받는 엄마의 모델을 못할 수도 있는데, 내 생각엔 우리 사회가 그 다양성을 허용하지 않고 비난으로 점철된 문화가 있는 것 같다. 나 또한 자책을 자주 하는 게 곰곰이 생각해 보면 비난을 많이 했던 아버지가 엄마에게 쏟았던 질책에서 그 감정이 나온 것도 같고. 난 엄마는 아니었지만, 어릴 때 엄마에게 감정이입을 많이 했었다. 그런 감정과 습관이 남아 있는 것 같다.


강신주의 감정수업에서 보면 후회라는 감정에 대해 어떤 문제를 너무 자신의 입장에서만 본 것이라고 설명한다. 어떤 문제가 일어난 것은 다양한 변수 때문에 그런 건데, 꼭 나 자신이 모든 책임을 100프로 가지고 있다면, 어쩌면 유아기적 좁은 시선에서 나온 것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반복하는 자책의 감정을 너머 더 너른 시선으로 문제를 봐야 하지 않을까?


봄이다. 도시의 아파트 앞에도 산수유가 피었다. 자책 대신 마음을 활짝. 봄꽃처럼 피어보자.


작가의 이전글 팬심에 진심인 ENFJ 모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