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지호 Oct 20. 2016

친구야, 너는 지금 스타트업을 왜 다니고 있니?

직접 창업은 두렵지만, 성장하는 기업에 일원이 되고 싶어 스타트업을 기웃거리는 미래의 주역들이여, 그대들은 너무나 순수해서 문제입니다.


"우리는 고속성장을 하고 있는 스타트업입니다"


이야, 멋지다. 정말 미래가 있는 기업이구나. 이 회사 분위기를 보니 나와 같은 20대 젊은 친구들이 대부분이고, 단체복을 맞춰 입고, 생기발랄하게, 자유스러운 분위기에, 뭔가 재미나게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있는 것 같다. 어디, 나도 한번 부딪혀볼까? 


하는 순간 당신은 어떠한 유형인지는 모르겠으나 애석하게도 미끼에 낚여버렸습니다. 


고속 성장을 목표로 한 회사는 필수적으로 '일에 지쳐 찌들어 건강한 삶과 문화에 목말라 있는 분야의 프로페셔널'을 데려와야만 하는 숙명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것을 유인하는 미끼는 결국 '비전과 환경'뿐이 될 수밖에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이 달 내가 급여로 받은 통장 내역을 확인해보세요. 아니라고 하지만 그것이 나의 현실 앞에 놓인 진실입니다. 보다 더 정확한 사실은 아무리 스타트업이라고 해봤자 대부분 아직까진 하루를 연명하고 있는 자영업자이며, 팀원이라고 해봤자 대한민국 법적으로 근로자 일 뿐.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하게 알아야 할 것은 (미끼라고 표현한 사실이 송구스럽지만) 이 또한 창업자들의 거진 고민과 고민으로 거쳐 나온 최선의 사실이지 가식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무슨 말이냐. 이 글의 요지는 있는 사실만을 전달하되 (자칫 창업자들의 노고와 팀원들의 일심동체로 이루어진 순수함을 짓밟는다고 내비칠 수 있지만 그것은 아니고) 현실을 직시하였을 때 실패 확률이 높은만큼 고수익의 가능성이 열려있는 스타트업의 속성에서 함께 하는 그 시간 동안 팀원들이 스스로 새겨야 할 목표와 권리를 되짚어 보고자 하는 것. 또한 속해있는 회사가 정말 이루어낼지도 모르는 고속성장이 팀원 본인에게 어떠한 득이 있을지를 함께 생각해보고자 하는 것입니다. 


위에 나열된 여러 모습과 환경의 조건들에 가장 부합되는 것은 단연코 20대 사회 초년생 혹은 3년 미만 차 경력직들에게서 (스타트업도 마찬가지) 느끼는 매리트일 거라 예상합니다. 


팀원의 유형은 (제 경험에 의하면) 다음과 같았습니다.


다음 이직을 위해 어느 정도 알려진 서비스에 합류하는 - 커리어 목적형 팀원
취업 전 창업 멤버로서 다양한 업무 경험과 결과물 확보에 주력하는 - 스킬업형 팀원
정말 순수하게 '일과 환경' 지금 이 순간 그 자체를 즐기는 - 낙천주의형 팀원


이들은 그래도 괜찮습니다. 현실적이거든요. 미련은 적을 타입입니다. 팀원의 이익지향형은 절대 미움 살 일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사실 창업자들이 잘 알겠지만 생각했던 것만큼 책임을 끝까지 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것이 더 현실적이기에 팀원들이 무형의 가치라도 남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오히려 더 나은 마음가짐일 테니까요. (정말 악덕 사장이 아니라면 혹은 경험 삼아 사업해보는 마인드의 창업가가 아니라면) 


그러나


멋진 아이디어에 회사의 비전만을 바라보고 결정하는 - 안타까운 올인형 팀원
지금 함께 고생하면 Founder들과 같은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의 - 순수결정체형 팀원
내 인생에 마지막 도전이다. 잘 한번 같이 키워보자는 - 맹목적 신뢰와 성공바라기형 팀원


이들은 회사가 조금만 위험한 상황에 직면해도 대표자보다 더 멘탈이 흔들릴 수 있는 유형이 분명합니다. 특히 이들의 순수함 그 끝자락엔 (사업이 실패하던 성공하든 간에 기대한 만큼의 허탈감으로) 손에 남는 건 아무것도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 이 후 때론 주체할 수 없는 억울함을 표출하며 '그동안 못 받은 연봉만큼의 돈'이나 '그만 한 가치의 장비'를 요구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너무 순수해서 어떠한 권리를 어떻게 약속받고 어떠한 미래가치가 있을지 모를 경우가 더욱 클 것이기 때문이죠. 특히 보통 적정한 수준의 생활비가 요구되는 30대 이상 경력직일수록 그 반감의 파장은 큽니다. 이러한 유형들이 빈털터리로 스타트업을 마감 짓게 된다면 이들은 이렇게 이야기를 합니다. (성공이라는 단어를 쓰기까지 IPO는 최소 10년, 이마저도 스톡옵션이나 지분이 없더라면 그냥 알아서 챙겨주는 승진과 보너스 정도만 기대 / M&A의 경우 피인수 대상으로써 계약 협상 시 대표자가 전 직원을 데려갈지 혹은 인수기업이 요구하는 몇 명의 인프라만 데려갈지 결정 등 여러 요인 발생)


"나 죽었다 깨어나도 다시는 스타트업 안 들어가" 


그러니


지금도 스타트업에서 불철주야 설립자들과 함께 고단한 밤을 지새우고 있을 팀원 여러분. 그리고 창업자 여러분. 우리는 보다 현실적으로, 보다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가치를 얻을 수 있도록 서로를 바라보았으면 합니다. 그렇기에 저 역시도 우리 에이치앤비라이프 팀원들에게 요구하는 것은 단 세 가지. 


함께 노력해서 작년 대비 신장한 만큼 일부 %에 대한 개별 인센티브 약속. 
책을 곁에 두고 쌓은 경험과 지식으로 훗날 좋은 기업으로 나갈 수 있는 개인적 성장.
떠나더라도 그 언젠가 서로가 성장해서 다시 합류할 수 있는 우리들의 관계.


특히 관계성은 전부라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실제로 지금으로부터 5년 전, 3년 전, 1년 전 저와 함께했던 몇몇의 창업멤버들은 최근 다시 만나 당사에 합류를 하신 분도 계시고, 좋은 기업에 입사하여 당사와 파트너 협력관계로 이어짐을 경험하고 있기에 자신있게 내세울 수 있는 약속 중 하나입니다.


애인에게 가족에게 '사랑한다'는 표현이 필요한 것처럼, 같은 꿈과 목표 그리고 비전을 바라본다면 '고맙고 감사하다'는 표현이 창업자와 팀원들 사이에서도 자주 필요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스타트업에 종사하는 팀원들의 성공은 결코 돈이 될 가능성이 희박함을 직시하고, 같은 공간 아래 지금 마주하는 모든 사건과 사물과 인연을 내 다음 도약의 과정이라 여기어 내 자산으로 만드는 것에 목표를 두신다면 장담하건대 창업자와 대등한 성장을 해나가실 것이라 믿습니다.


그것이야말로 여러분들이 스타트업의 팀원으로써 일을 하고 있는 분명한 이유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스타트업의 언론(PR)사 접근 시 주의 경계령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