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순우 May 10. 2022

빨대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배짱 영업을 하는 이유

"드시고 가시나요, 가지고 가시나요?"

"잠깐만 앉아 있다가 갈게요. 테이크아웃컵에 주세요."

"저희가 일회용컵 사용을 최대한 자제하고 있어서요. 드시다 남으면 담아드려도 괜찮으실까요?"

이쯤 되면 손님들의 표정은 두 가지로 나뉜다. '뭘 그리 까탈스럽게 유난인가.'하는 손님과 '환경파괴범으로 보이고 싶진 않은데, 일단 알았다고 해야지.'하는 손님으로.


"빨대 좀 주세요."

"저희가 빨대를 기본으로 제공하지 않는 업체여서요. 노약자 등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제공해드리고 있어요."

아이스 음료가 나가면 당연하다는듯 꽂아서 제공되는 빨대. 카페가 일상화되면서 사람들은 빨대 사용을 너무나 당연한 기본값으로 여긴다. 어떤 사람들은 카페에서 잔뜩 빨대를 가져다가 집에서 아이스 음료를 마실 때 사용하기도 한다. 집에서도 기본(?)을 갖추고 음료를 마시기 위해.


나는 을이다. 서비스 업종을 하는 입장에서 갑인 손님에게 나의 방식을 강요하는 건 무척 난해한 일이다. 깊은 고민과 용기가 필요한 일인 것. 카페를 운영한다는 이유로 일회용품 사용을 정당화하고 싶지 않았다. 일회용품을 쓰면 쓸수록 자꾸 마음이 불편했다. 처음에는 일반 빨대를 사용하다 분해되는 빨대로 바꿔보았다. 일반 빨대가 플라스틱으로 재활용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다. 이를 알고도 계속 일반 빨대를 쓸 수는 없었다. 훨씬 값이 나가지만 생분해 빨대를 한동안 사용했다. 그런데 제주는 일반쓰레기를 매립하지 않고 소각한다는 걸 알게 됐다. 아무리 생분해 빨대를 쓴다해도 별 소용없는 일이었던 것. 고민이 깊어졌다.


그러다 푸른컵을 알게 됐다. 예비 사회적 기업이 운영하는 서비스인데, 보증금을 내면 소독한 텀블러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주를 여행하며 사용한 뒤 반납하면 보증금은 그대로 돌려받는다. 이 착한 서비스를 알게 된 뒤, 버려지는 일회용컵을 줄이기 위한 일에 작은 보탬이 되고 싶었다. 남편과 상의 끝에 푸른컵 참여카페가 되기로 결정을 내렸다. 동시에 빨대 기본 제공을 하지 않기로 했다. 당연하다는듯 아이스음료에 꽂아 나가던 빨대를 빼기로 한 것.  


처음에는 조마조마했다. 빨대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공지를 카운터에 붙여두었지만, 손님들은 자주 물었다. 빨대는요. 그때마다 일일이 설명을 해야 했다. 번거로운 일이었다. 손님이 적은 날이야 괜찮지만, 많은 날에는 정말 귀찮은 일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우리는 빨대를 여전히 제공하지 않고 있다. 몇몇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렇게 운영한 지 어느덧 7개월을 넘어간다. 볼멘소리를 늘어놓는 손님들도 있다. 그렇지만 분명한 건, 기꺼이 이해하는 손님들이 더 많다는 것. 그럴 때면 나는 세상이 그래도 살만하다고 느낀다.


환경문제가 왜 개선되기 어려운가를 들여다보면, 정부나 기업이 아니고서야 실천이 너무나 개인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내가 빨대를 제공하든, 일회용컵을 남발하든, 솔직히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다. 오히려 카페 주인이라는 사람이 저렇게 까다롭다는 핀잔을 들을 가능성이 더 크다. 손님이 떨어져 나갈지도 모를 일이다. 그럼에도 내가 이런 영업방식을 고집하는 건 내 마음이 불편하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들은 몰라도 나는 알고 있다. 내가 카페를 한다는 이유로 얼마나 많은 일회용품 쓰레기를 버려야 하는지.


잠깐만 앉아 있다 가겠다더니 결국 음료를 다 마시고, 쓰레기가 된 일회용컵을 버리고 가는 손님들. 주섬주섬 사용한 일회용컵을 씻고 말려 한 곳에 쌓아둔다. 보통 그런 컵들은 바로 버리지 않고 아이들이 곤충을 잡을 때 꺼내준다. 봄이 깊어지면 여기저기 곤충들이 출몰하는데, 아이들은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수시로 잡았다 놓아주기를 반복한다. 그런 아이들에게 아이스컵을 주면 아이들은 그곳에 흙도 담고 곤충도 담는다. 그렇게 여러 번 곤충채집통으로 사용한 뒤에야 아이스컵은 마침내 쓰레기가 된다.



쓰레기를 생산하는데 아무런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을 나는 자주 목격한다. 빨대 하나쯤이야, 일회용컵 하나쯤이야. 하지만 제주 전역에서 관광객들이 마시고 버린 일회용컵은 연간 6300만 개에 이른다. 제주도 카페 수가 2000여 개에 육박하니, 카페 하나당 연간 3만여 개가 넘는 일회용컵을 사용하고 있는 것.(물론 우리 카페는 훨씬 적지만,) 이런 통계를 안다면, 과연 '나 하나쯤이야'라는 생각을 할 수 있을까.


한 순간의 목마름을 달래기 위해 우리들이 별 생각없이 사용하는 일회용컵이 쌓이고 쌓인다. 이중에 재활용이 가능한 컵은 거의 없다. 아이스컵은 너무 가벼운 플라스틱이라 재활용이 안 되고, 종이컵은 특수 코팅이 되어 있어 역시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텀블러를 갖고 다닌다면 좋겠지만, 안타깝게도 그런 사람들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내가 지킨다 한들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그저 개개인의 양심에 맡겨야 하는 환경문제. 그렇기에 해결은 더욱 어렵게만 느껴지는 게 아닐까.


나는 단 하나의 빨대 사용도 불편해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기를 소망한다. '나 하나쯤이야'가 아니라, '나 하나라도'의 마음가짐을 갖는 이들이 많아지기를 바란다. 남들에게 보이기 위한 실천이 아니라, 진심으로 환경이 걱정돼 실천하는 항목이 많아지는 삶들을 응원한다. 누구에게 보이기 위한 삶이 아니라, 자신이 정한 신념을 지키며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것에 더 가치를 느끼는 삶들이 많아진다면 어떨까. 그런 삶들이 모이고 모이면 환경문제도 진전을 보이지 않을까.


나는 작고 작은 카페를 운영하지만, 내가 버리는 일회용품은 대형 카페에 비하면 보잘 것 없는 양이지만, 그럼에도 용기를 내어 오늘도 말한다.   


"손님 죄송하지만 빨대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잠시 앉아서 드시고 가는  어떠신가요?"


그나저나 나는 을일까, 갑일까.






 




매거진의 이전글 시간을 죽인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