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제 Jun 14. 2022

아무 생각도 나지 않는다

매일 발행 72일차

이렇게 아무 생각도 나지 않는데 계속 책상 앞에 앉아 있다니, 나도 참 대단하다. 이쯤 되면 명상 아닐까? 물론 진짜 명상이라기엔 마음이 전혀 고요하지 못하다. '이것도 별로' '저것도 별로' 하는 단편적인 생각들만 흙탕물 속 피라미처럼 이따금씩 핑- 핑- 지나가고 있다.


퇴근 후에 글을 쓰는 게 과연 맞을까? 특히나 오늘처럼 10시가 넘도록 야근하고 돌아온 날에도? 이런 멍한 머리로 뭘 쓰겠다고 이렇게 앉아 있는 걸까? 내가 나자신과의 약속을 이렇게까지 굳게 지키는 사람이었던가? 참 새로운 모습이라고 해야 할지. 아아 나도 아침잠이 없는 사람이었다면, 새벽 5시나 6시에 일어나서 말짱한 정신으로 글을 쓸 수 있는 사람이었다면 얼마나 좋을까.


최근 김중혁 작가의 에세이를 읽다가 흥미로운 글쓰기 방법을 발견했다.


A4 종이에 제목을 적어서 가지고 다닌다. 첫 번째 문장이 생각날 때까지 계속 들고 다닌다. 생각날 때마다 틈틈이 종이에다 글을 쓴다. A4 종이 한 장을 모두 채우면 그 내용을 컴퓨터로 옮겨 적는다. 그대로 옮겨 적는 건 아니고, 뺄 건 빼고 더할 건 더한다. 옮겨 적은 내용을 A4 종이에 프린트한 다음 그 뒤에다 연필로 이어 쓴다. 그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면 한 편의 글이 완성된다.
- 김중혁, [무엇이든 쓰게 된다], 위즈덤하우스, 28쪽


제목을 적은 A4 한 장을 가지고 다니면서 틈틈이 쓴다는 게 직장인에게 딱 맞는 방식 같았다. 따지고 보면 틈틈이 글쓰기는 스마트폰으로도 충분히 할 수 있다. 하지만 아날로그형 인간인 나는 아직도 핸드폰의 터치 자판이 불편하고, 휴대용 키보드를 따로 가지고 다니기도 거추장스럽다. 꼬깃꼬깃 접은 종이 한 장에 펜 하나, 그렇게만 주머니에 넣고 다니면 세상 제일 가볍고 아무 때나 꺼내 쓰기 쉬울 것 같았다.


그러던 차에 이번에는 김영하 작가가 <집사부일체>에 나와 이런 말을 했다. 소설을 쓸 때 정해진 틀 없이 일단 첫 문장을 쓰고, 다음 문장, 다음 문장을 '말이 되도록' 계속 이어 나가서 길게 쓰면 글이 된다고.


나는 소설을 구상할 때 전체 얼개를 미리 짜놓으려는 편이라서, 저런 식의 글쓰기가 무척 신기했다. 어쩌면 내가 너무 성질이 급해서 자꾸 큰그림부터 보고 계획부터 짜려고 덤비는 걸까? 지금 이 한 문장에 집중하기가 어렵고, 앞일이 예측되지 않는 상황을 견디지 못해서. 앞으로 주인공이 어떤 일들을 겪게 될지 미리 알아야 할 것 같아서.


물론 '계획 없이 쓰기', '체계적으로 계획해서 쓰기'는 맞고 틀리고의 문제라기보다는 작가 개개인의 성향 차이고, 각각의 방식으로 잘 쓰는 작가들도 많을 것이다. 하지만 내가 후자의 방식을 택해온 것이 그저 습관적인 관성 때문은 아니었는지 생각해보게 된다.


아무튼 두 작가의 글쓰기 방식을 종합해 보면, 글쓰기에 필요한 것은 오직 종이 한 장, 펜 하나뿐이다. 제목과 첫 문장이 적힌 종이를 들고 다니면서 아무때나 다음 문장, 다음 문장을 이어서 쓰기만 하면 된다. 이렇게 심플할 수가!


이런 식으로 틈틈이 글을 써나가면 피곤한 밤에 헤롱헤롱 앉아만 있는 일은 좀 줄일 수 있을까? 한번 시험해봐야겠다. 지금까지 숱하게 많은 벼라별 시험들을 다 해봤던 것처럼...ㅎ


keyword
매거진의 이전글 100일이 지나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