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일산백병원 May 23. 2023

당뇨약은 언제부터 복용해야할까?

[당뇨약 오해와 진실] 당뇨약 복용복 궁금증 6가지

[당뇨약 오해와 진실] 당뇨약 복용복 궁금증 6가지

당뇨약 언제부터 복용해야할까? 


도움말: 일산백병원 내분비내과 노정현 교수 출연 



노년 인구의 80%는 5가지 이상의 약을 복용할 정도로 약 복용량이 많다. 나이가 듦에 따라 여기저기 생기는 증상으로 약의 개수도 늘어가는데, 복용법에 따라 때론 독이 될 수도 있는 약! 어떻게 복용해야 할까? 


당뇨를 앓고 있는 많은 환자들이 약을 끊고 운동과 식이요법으로 혈당을 조절하고 싶다는 생각을 한 번씩 해보곤 한다. 하지만 주치의와 충분히 논의하지 않고 '임의로 약을 끊거나 대체하는 행동'은 당뇨병을 악화시키고 더 많은 약을 복용하게끔 한다. 


당뇨약에 대한 궁금증부터 약효를 높이는 똑똑한 복용법까지. 일산백병원 내분비내과 노정현 교수와 함께 알아보자.



Q. 당뇨병에 걸렸다면 언제부터 당뇨약을 복용해야 하나요?


당뇨병이 생기기 수년 전부터 이미 우리 몸에서는 인슐린 분비가 감소하고 당뇨병 발병 후 5년 내에 인슐린 분비가 빠르게 감소한다. 따라서 당뇨병 진단 초기에 인슐린 분비 장애가 더 나빠지기 전에 치료를 잘하면 병의 진행을 막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당뇨병을 진단받은 후 첫 1년 동안에 당화혈색소(2~3개월 동안의 혈당의 평균치)가 6.5% 이하로 혈당을 아주 잘 조절해 준 환자들이 10년 뒤에 생기는 미세혈관 합병증, 뇌혈관 합병증 위험이 훨씬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당뇨병 진단 초기에 정확한 약물복용을 통해 혈당조절을 잘하는 것이 추후 합병증 예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Q.  당뇨병 약을 장기간 복용할 경우 생기는 내성나요? 


당뇨병 약제는 내성이 생기지 않는다. 당뇨병은 '진행하는 병'으로 기존에 복용하던 약으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당뇨병 약에 대한 내성이 생긴 줄 알고 복용을 중단해 버리면 혈당이 높아져서 병세가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약 복용을 중단해서는 안되고 새로운 약을 추가하거나 종류를 변경할 것을 주치의와 상의해야 한다. 



Q.  당뇨병 약, 건강기능식품으로 대체할 수 있을까요? 


당뇨병과 관련한 건강기능식품은 약과 비교하여 혈당을 떨어트리는 효과가 미미하다. 따라서 임의로 당뇨병 약 복용을 중단하고 건강기능식품으로 대체한다면 혈당이 높아지고 병세가 악화되어 당뇨약의 처방이 늘어날 수 있다. 


그 어떠한 건강기능식품도 당뇨병 약을 대체할 수 없음을 명심해야 한다. 



Q.  당뇨병 약을 오래 먹으면 영양결핍이 올 수도 있나요? 


당뇨병 약을 오래 먹는다고 영양결핍을 초래하진 않는다. 다만 당뇨병 약 성분 중 메트포르민 성분을 장기간, 고용량을 복용할 경우 비타민B12의 결핍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메트포르민 성분의 당뇨약을 복용하는 모든 환자들이 꼭 비타민B12를 보조하는 영양제를 복용할 필요는 없다. 검사를 통해 결핍이 나타난다면 그때 가서 복용해도 늦지 않다.



Q.  당뇨병 약을 오래 복용하면 췌장이 망가지고 췌장암 위험을 높이나요? 


당뇨병 환자의 췌장암 발생 빈도가 높은 건 사실이다. 하지만 그 원인이 '당뇨병 약' 때문은 아니다. 당뇨병이 췌장암 발생률을 높이는 직·간접적인 이유는 높은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 췌장에서 인슐린을 계속 생산하고, 그로 인해 췌장의 기능이 나빠지는 속도를 가속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당뇨약 복용을 통해 혈당 조절을 촉진하여 췌장 보호 효과를 얻어야 한다. 



Q.  고지혈증 약을 오래 먹으면 없던 당뇨병도 생기나요? 


생길 수 있다. 고지혈증 약제 중 '스타틴' 성분은 당뇨병 발병 확률을 약 9% 늘린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비만한 경우, 당뇨병의 전 단계인 경우, 대사증후군을 갖고 있는 경우 그 위험성이 더욱 높아진다. 


하지만 고지혈증 약 복용으로 기대되는 심장혈관질환 예방 효과가 크기 때문에 당뇨병 발생위험을 이유로 약제 복용을 중단하는 것은 금물이다.




◆ 만성질환 약에 대한 오해와 진실

https://tv.naver.com/v/36184156/list/853410


◆ 먹자니 안 내키고 안 먹자니 찜찜한 약에 대한 궁금증

https://tv.naver.com/v/36184201/list/853410


■ 방송 제목: KBS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약문약답 약(藥)!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방송 날짜: 2023년 5월 22일 월요일 아침 10시 

■ 출연 교수: 일산백병원 내분비내과 노정현 교수

■ 전문분야: 당뇨병, 갑상선, 골다공증, 내분비질환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KBS  <방송보기>


https://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00-0038&program_id=PS-2023091547-01-000&broadcast_complete_yn=N&local_station_code=00&section_code=05&section_sub_code=03


매거진의 이전글 염색을 피해야 하는 사람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