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단상들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미지 Jun 07. 2020

나이들었으면 모두 '할머니'로 명명되는 세상


*본 글의 핵심은 2번 문단에 있습니다. 대부분 리드만 읽게 된다는 걸 알기에 서두에 첨언합니다. 


당신이 어떤 일을 경험했건, 무슨 일을 해왔건 나이들었으면 ‘할머니’ 이다. 


1. 누군가를 부를 때 한국만큼 호칭이 중요한 나라도 드물 것이다. 선생님, 00님, 00씨, 각종 직급, 친척들 사이의 호칭은 또 얼마나 다양한가. 호칭의 향연이다. 일단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면 명함부터 얼른 보고 대표, 부사장, 상무 전무 부장 차장 과장 대리 매니저 지배인 무엇이라 부를지부터 어서 외워야한다. 승진하면 또 그 호칭으로 어서 바꿔 불러주어야 실례가 되지 아니함. 때로는 선임 주임 프로 등등, 어떤 곳은 사무총장, 이사장, 대표자 이사, 어떤 곳은 직급파괴 영어 닉네임으로, 혹은 우린 이름만 불러주세요 등등. 이 문화권에서 그만큼 호칭이 중요해서 그렇다. 오래되고 큰 조직일수록 발언권 등을 포함한 위계질서가 직급에 얼라인됨. (그렇기 때문에 나는 해외에서 일할 때 빛을 발하는 타입일 수 밖에 없었다. 그 사람이 파운더이건 디렉터이건 상호 원하는 방식으로 이름을 부르고 직접 대화할 수 있을 때 일이 더 잘 되었기 때문) 


내가 그를 대표라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대표가 되며
인턴이라 불러주면 
그는 나에게로 와서 인턴이 되는 거 아니겠나. 
(원작에선 호칭이 아니라 그 본질과 이름이 중요한 거 아시죠? 패러디 죄송) 

2. 그런데 이토록 세분화된 호칭 문화 속에서 아이러니하게도 유독 나이든 사람들에겐 호칭을 일괄 적용해버리는 경향이 있다. ‘어르신 혹은 할아버지, 할머니’ (본인들 할머니도 아니면서...) 

개인적으로는 이게 모든 호칭을 박탈해버리는 말 같다. 솔직히 활동가를 계속 할머니라고 부르는 것도 듣기 불편함. 본인은 열혈 활동가이고, 정작 목소리를 낸 당사자는 그냥 우리네 할머니라는 프레임. 이게 무서운 이유는 한국사회에서는 아직 호칭이 많은 걸 결정짓기 때문이다. 할머니라는 프레임에 씌워버리는 건 (그리고 할머니라 기억이 ~하고 서운하셨을거며~라고 자연스레 감정에 휘둘리는 비논리적 인물로 대중에 비치게끔 이어갈 수 있음) 게임에서의 우위를 선점하는 셈이라서 팩트가 무엇이건 간에 그 명명 행위 자체가 공정하지 않게 느껴짐. 중년의 여성을 무조건 아줌마라고 부르면 무례하다고 여길거면서, 노년의 여성에게는 어째서 할머니를 공손한 표현이라고 여기는가. 연일 보도에서도 할머니 할머니... 차라리 할머니 떼고 이름만 불러주세요. 



매거진의 이전글 보존에의 욕구 - 기록을 남긴다는 것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