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an Lee Feb 23. 2016

끝없는 인터뷰

관건은 일관성 유지?

자폐증 진단은 의료 기록, 행동 관찰, 선별 검사 등을 기반으로 한다. 전통적인 자폐증은 16개월 이후 안정적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좀 더 개선된 선별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빠르면 12개월에도 진단이 가능하다. 정기검사에서 발달지체 혹은 장애가 있을 경우는 물론이고 눈 맞춤이나 가리키기, 따라 하는 놀이 등이 없을 경우 선별과정을 통해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선별과정은 주로 부모가 "예"와 "아니오"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질문에 답하는 인터뷰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아니오"라는 응답이 핵심 질문에 대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그 아이는 자폐스펙터럼장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식별된다. 자폐증이나 기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아이는 시각 및 청각 검사, 유전적 장애 검사, 신경과학 및 심리학적 평가 등을 포함하는 의료적 평가를 받게 된다. 일단 자폐증 예비진단이 나면, 치료 프로그램을 진전시키게 된다.[1]


자폐증을 확진할 수 있는 검사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진단은 전적으로 여러 차례의 인터뷰와 전문가의 관찰 등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지금 생각해봐도 평생 그때처럼 많은 설문지 작성과 인터뷰를(것두 영어로 몇 시간씩) 해본 적은 아직까지 없다. 그중에 몇 가지 찾을 수 있는 대로 관련 자료를 기술해보면, 거의 맨 처음에 작성했던 설문으로 기억되는 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SCQ) Lifetime/Current에서부터 감각프로파일 - 보호자 설문(Sensory Profile - Caregiver Questionnaire), 사회성숙도 검사 도구인 바인랜드 적응행동 척도(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s),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 학습장애, 행동장애, 그리고 정서장애 등을 평가하는 검사기구인 코너스 부모 평정 척도(Conners' Parent Rating Scale - Revised) 등을 비롯하여, 다른 전문가를 만날 때마다 거의 비슷한 내용의 인터뷰를 계속했다. 나중에는 앞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답한 것이 다를 때도 있는 것 같고 뭐가 뭔지 도통 알 수가 없는 지경에까지 이르기도 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가급적 질문 내용을 기록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대답이 달라지고 있는지도 함께 보면 자폐증 치료의 경과를 파악할 수 있었겠다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당시에는 너무 정신이 없어서 제대로 된 기록을 남길 수가 없었던 게 좀 안타깝다. 사실, 수 많은 예/아니오 질문과 0에서 4까지 고르라는 스케일 질문들이 지겹기도 했다. 인터뷰도 예외가 아니어서 거의 했던 말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대체로 정형화된 질문들이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마치 꼭 짚고 넘어가야 하는 중요한 질문인 것처럼 매번 물어보는 질문들은 어찌나 J의 경우와 잘 들어 맞는지 신기하기도 했다.



1. http://www.britannica.com/science/autism

매거진의 이전글 멋져, 잘 했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