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다 Jun 28. 2023

암묵적 룰

흔히 ‘바이킹’이라고 불리는 놀이기구를 탈 때는, 강제성은 없지만 널리 통용되어 지켜야 하는 암묵적인 룰에 대해 알고 있으면 좋다. 그 룰이란, 자신이 탑승하고 있는 장소가 고점에 올라가는 절정의 순간을 맞이할 때면 손을 들고 소리를 지르며 환호해야 한다는 거다. 아마 타 본 사람들은 무슨 이야긴지 다 알 거다. 소극적이거나 혹은 귀찮음을 많이 느끼는 일부를 제외하면, 열에 아홉은 이 암묵적 룰을 잘 따른다. 놀이기구 탑승규칙도 아니고, 누군가 말을 꺼낸 것도 아닌데 하나같이 통일된 행동을 한다는 사실이 제법 흥미롭다.


물론 롤러코스터와 같이 손을 들고 타면 더 스릴 있는, 소리를 지르기 좋은 놀이기구를 탈 때에도 비슷한 현상은 일어나지만, 바이킹처럼 이 룰이 잘 지켜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 롤러코스터는 손을 드는 사람, 소리만 지르는 사람, 가만히 있는 사람 등 제각각인 경우가 많다. 이 대목에서 고개가 갸우뚱거려져도 그냥 그러려니 하자. 그래야 이야기가 진행된다.


그렇다 치고, 재밌는 사실은, 놀이공원이 마감할 시간이 거의 다 되어 타는 사람이 얼마 없으면 이 룰이 절로 힘을 잃어간다는 거다. 듬성듬성 탑승한 사람들 간의 연대의식이 약해지고, 자신 있게 내지른 소리가 분명하게 구분될 만큼 주변의 소리도 약해지면, 어느새 놀이기구가 끼익끼익 움직이는 소리마저 들릴 정도로 조용해지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 룰은 군중심리를 기반으로 하는, 함께가 아닌 혼자서는 지키기 어려운 룰이다.


하지만 다시 사람이 많아지면, ‘나 혼자만 미친 사람처럼 보이는 건 아닐까?’ 와 같은 쓸데없는 걱정을 할 필요도 없이 기다렸다는 듯 사람들은 암묵적 룰에 따라 다 같이 신이 난다. 그러니까 참 재밌는 현상이 아니냔 말이다. 혼자서는 웬만큼 대범한 사람이 아니고서야 하지도 못 할 일인데, 군중이 되면 아무렇지 않게 행동할 수가 있는 것이다. 물론 나도 그렇다. 군중들 사이에서는 손을 들고 환호하지만, 사람이 적어 혼자 타는 느낌이 들 때면 가만히 앉아 바깥 경치와 사람들이나 구경하는 척하곤 한다. 조용한 분위기를 깰 만큼의 용기는 없기 때문이다.


이런 암묵적 룰은 어쩌다 만들어지게 된 걸까? 감히 추측해 보자면, 놀이기구의 특성이 만들어 낸 어색함이 그 계기가 되었던 건 아닐까? 이 놀이기구는 사람들이 서로 마주 보고 탄다는 사실을 떠올려보자. 그래서 시선을 억지로 돌리지 않는 한 맞은편에 위치한 모르는 사람들과 눈이 마주치게 되어 있다. 차라리 모르는 사람과 옆자리에 타는 게 낫지, 마주 보고 탄다니! 그렇다고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적막함만 감도는 바이킹에서는 그 어색함이 배가 된다. 꽉 들어찬 배 안의 사람들이 모두 가만히 있는 장면을 떠올려보자. 타고 있는 사람도, 대기열에서 기다리는 사람도, 놀이기구의 아르바이트생조차도 그 분위기를 감당하기 어려울 거다.


그래서 그 어색함을 견디느니 미친 척하고 소리를 지르는 게 낫겠다고 생각하게 된 게 아닐까 하는 거다. 여기서 최초의 실행에는 서로 맞은편에 탄, 소풍을 함께 온 학생들 무리가 큰 역할을 했을 것 같다. 자기들끼리 마주 보며 소리를 지르는 행위가 주변에까지 전파되다가, 이후에는 모르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행해지게 된 것이다. 놀이공원에 놀러 와 평소보다 조금이라도 들떠 있는 상태에서라면, 이 룰이 적용되는 데에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진 않았을 것이다.


결국 이 룰은 기왕 놀이기구를 타게 된 것, 이 시간을 서로가 좀 더 재밌게 즐겨보자는 합의에 가깝다. 그리고 실제로 이 룰을 따라보면 정말로 더 신나고 즐거운 시간을 함께 보낼 수가 있다. 어쩌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심지어 조용하고 차분하고 절제력이 있는 사람들에게조차도, 가끔은 과격한 행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풀고자 하는 본능이 숨어있을지 모르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떠오르는 대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