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타인의 청춘 Jun 03. 2020

계속 미루다 아무것도 못하는 사람

오늘 할일을 오늘도 조금은 하자.

로마의 철학자 세네카는 이런 말을 남겼다.


"우리가 어떤 이를 감히 하지 못하는 것은

그 일이 너무 어렵기 때문이 아니라

어렵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그 일을

시도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늘도 많은 사람들이 마땅히 해야 한다고 생각한 일을 미루곤 한다. 물론 나도 그 중 하나다. Procrastination, 즉, 해야 할 일을 하기 싫을 때도 있다. 그런 날도 있지 않은가. 손가락 하나 꼼짝하기 싫은 날. 그날따라 생각지도 못한 일들이 많이 생겨 못할 경우도 생기기 마련이고, 그냥 그날이 갑자기 그 일을 하기 싫은 날일 수도 있다. 비가 온다고 해서 슬기로운 집콕생활을 준비했건만, 뭉게구름이 솔솔 떠다니면 모든 걸 내려놓고 시원한 커피 한잔에 산책이라도 하고 싶은 그런 순간이 어디 한두번일까.



하지만 이 글은 '막중한 부담감' 혹은 '시작하기도 전에 두려움에 사로잡혀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의 이야기에 집중하고 싶다. 그게 바로 내 이야기이자, 모두의 이야기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누구나 잘하고 싶은 욕망이 있다. 인정받고 싶은 욕망이 큰 나 같은 사람도 있다. 경중은 다를지언정, 칭찬받는 걸 싫어하는 사람은 없을테다. 하지만 이 글의 '미루기'는 시작, 도전, 넘어섬에 대한 이야기다.


완벽주의에 대한 강박은 나를 언제나 마지막까지 몰아부친다. 시작이 언제였건 상관이 없다. 잘 쓰고 싶고, 잘 만들고 싶고, 결과물이 좋았단 얘기를 듣고 싶을 때마다, 나는 일을 조금씩 미루곤 했다. 시작이 좋지 않을까봐, 결과물이 실망스러울까봐 두려웠던 거다.


이런 '한심한 미룸'이 의도적이었건 아니었건 간에, 그것도 중요하지 않다. 어떨 땐 구상을 한다는 변명으로, 어떨 땐 계획을 더 세밀히 해야 한다는 변명으로, 또 다른 때엔 집중력을 요구하는 일이라는 이유로 마땅히 해야 할일, 혹은 이미 끝났을 수도 있는 일을 미루곤 했다. 모두 잘 하고 싶은 마음의 부담감에서 출발했다는게 공통점일 뿐이다.


더 큰 폭탄이 숨어있다. 바로, 내 마음의 회로가 이걸 가속화된다는 거다. 조급함, 불안감, 회피, 실낱같은 희망, 자책감, 망상에 가까운 더 큰 희망, 분노, 좌절의 악순환. 그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진다. 그러니 안해도 되는 야근을 하거나, 밤샘을 하고, 벼락치기 전문가 타이틀이 붙는다. 더 절망적인 건, 간혹 이런게 성공했을 때다.


"오, 이 짧은 시간에 이걸 해내다니, 역시 나는 할 수 있어."

그리고 다음 번엔, 조금 더 미룬다. 나는 선례를 가진 사람이라고 믿으며.


다만 차분히 설계하지 않고, 준비하지 않은 계획은 언젠간 어그러지고 만다. 내 능력의 100% 이상을 다 해도 망가지고 어긋나는 게 계획일텐데, 현실적인 목표와 타임라인 안에서 다룰 수 있는 일을 20%, 10% 시간에 욱여넣어 잘할 수 있는 건, 정말 운이 좋지 않으면 성공하기 힘들다. 미루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사실 그걸 알면서도, 또 미루고 미룬다는 게 스스로 생각해보아도 신기할 노릇일거다.





그러니 마음을 잘 들여다 봐야 한다. 단순히 하기가 싫은 걸까, 게으른 마음의 스위치가 켜진 걸까. 아님 완벽하게 하고 싶은 욕망이 너무 커, 손댈 수 없다는 거대한 중압감을 느끼는 걸까.


단순히 하기가 싫은 건 괜찮다. 모든 일이 즐거울수만은 없다. 세상에 하기 싫은 일이 얼마나 많은가. 애초에 내 선택이 옳았는지 잘 살펴보고 이 일을 해냈을때의 이점을 잘 살펴보면 좋다. 그리고 그 일을 100으로 쪼개, 1이라도 하면 된다. 그러면 그렇게 싫을 만한 건 아니었구나 하는 깨달음을 얻게 되는 즐거움도 만날 수 있다.


게으른 마음의 스위치가 켜졌다면, 잠깐 게을러도 괜찮다고 나를 다독여주자. 평생 정해진 시간에 단 1분도 늦지 않고 일어나기가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엄마 3분만", "나 5분만 좀 더 누워있을게" 이 마법같은 순간을 느껴보지 않은 사람이 어딨겠는가. 다만, 스위치는 켤 수도 있지만, 끌 수도 있다는 걸 인정하자. 그러니 적당히 '자신이 선택한 게으름'의 보상을 받았다면, 게으름의 스위치를 꺼야할 시간에 대한 책임도 질 줄 알아야 옳다.


매번 침대에서 뒹굴거리느라 2-3시간을 낭비하곤 한다면, 양치질을 하거나, 이를 닦거나, 설거지를 하거나, 잠깐 스트레칭 하기, 기지개를 켜주기만 해도 도움이 된다. 몸이 아프거나 힘든 날이 아니라면, 일단 낮잠을 자는 한이 있더라도 잠이 깬 뒤 3분 안에 나는 반드시 이불을 박차고 일어난다는 걸 아주 작은 일로 변화시키면 된다. 실제로 그래서 나는 이불 정돈을 한다. 그리고 그건 정말이지 기적을 만든다.




마지막으로 손댈 수 없는 중압감이나 두려움을 느낀다면, 이건 해결이 간단하다. '지금 하라'의 주문을 외면 된다. 그냥 하자. 1%라도 하자. 물론 1%만 시작하고 이내 손을 놓는 사람도 있다.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을 울궈먹으면 안되겠지만, 어찌됐건 시작은 하자. 그리고 어떤 부분을 덜 부담을 가지고 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보아도 좋다. 또는 자신의 성향에 따라, 어려운 일을 먼저 하는게 좋은지, 쉬운 일을 먼저 하는게 좋은지를 천천히 파악하자. 시간이 꽤 걸릴 수 있다. 이걸 알고 느끼는 것에도 시행착오가 필요할 수 있으니까.


그리고 목표를 아주 잘게 나누어, 단계가 진행되고 있음을 느끼면 좋다. 1,950미터의 한라산도 그 높이만 떠올리면 가슴이 답답해지지만, 계단 하나 하나를 천천히 오르다 보면, 이제 1/5을 지났다, 이제 1/3을 지났다는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근력 운동을 하는 것도 마찬가지. 당장 내일부터 덤벨 30kg를 100개씩 하겠다고 하면 숨이 턱 막히지만, 오늘 3개, 내일 4개, 모레 5개, 이렇게 늘려가는건 부담이 적다. 혹시 하다가 힘들면 쉬어도 된다. 오늘 12개 했다고 내일 꼭 13개를 하지 않아도 되니까. 그렇다고 '이생망', 'FML(F**k my life)'를 외칠 필요는 없다. 자존감에 상처만 날 뿐. 제대로된 휴식을 할 줄 아는 것도 더 좋은 결과물을 위한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니까. 오늘 하루 건너 뛰었다고 내 인생은 엉망진창이라는 꼬리표를 달지도 말자. 알고보면 다들 그렇게 산다.


마지막으로 내 의지박약이 걱정된다면 금연을 할때처럼 주변에  공언을 하거나, 함께 할만한 사람을 찾아보는 것, 어떤 일이 있어도 나를 북돋워주고 응원해 줄 사람에게 경과를 알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하루의 일과가 어땠는지를 나누듯 가볍게 얘기를 나누는 것이다. 단, 징징거려서 어설픈 위로를 받아보겠다며 쓸데 없는 자학을 하는 건 금물.


"내가 원래 이렇지 뭐."

"이번 시험도 망했다."

"발표 완전 망칠 것 같아." 이런 말들은 하나 마나 한 말들이다.


잊었는가. 당신은 아직 아무것도 시작하지 않았다. 결과는 해보고 얘기해도 늦지 않다.


이 글의 주제를 잡은지가 언젠데, 쓰는 데까지만 약 20일의시간이 걸렸다. 나도 참 어쩔 수 없나보다. 결국 제목을 쓰고나니 30분만에 다 쓰는 것을. '커피 한잔 마시고 컴퓨터 전원을 켜는 것'이 글 한편을 30분만에 완성시켰다. 완벽한 글은 아닐지라도 그 누군간 공감해 줄 것이다. 그렇게 또 한편의 글을 완성했다. 나도 했으니, 지금 누워있을 당신도 할 수 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