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앙큼대마왕 Dec 28. 2018

베트남 시장 진출 시 고려할 점II
-대기만성 베트남

베트남에서 사업을 해보겠다고 찾아오시는 분들이 나날이 늘어갑니다. 그럴 때마다 저는 지금 당장은 아닌데 몇 년간 적자가 나더라도 참고 견디실 수 있으신지 확인하고 또 여쭈어 봅니다. 


베트남 시장은 시간은 걸리겠지만 분명히 매력적인 시장으로 발전할 것입니다 다만 대기만성형으로 성장할  것입니다.  그 이유를 알려 드립니다.



1. 2개의 메가 도시, 3개의 광역 도시



태국 제2의 도시는 어디?


태국 제2의 도시가 어디인지 아세요? 파타야? 치앙마이? 


치앙마이 출신이자 지금은 해외로 쫓겨나 있는 탁신이 2001년 총리가 되면서 치앙마이가 태국의 제2 도시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왠 태국 이야기냐고요? 태국 사람들한테 물어봐도 자기네 나라의 제2의 도시가 어디인지 모릅니다. 왜냐하면 제의 도시라고 하기에는 파타야 인구 11만 명 내외, 치앙마이 인구 20만 내외밖에 안되기 때문입니다.



태국은 국가 예산의 80%를 방콕에 쏟아붓다가 탁신 총리가 자기 고향인 치앙마이 발전을 도모하면서 10%가량을 치앙마이에 예산을 배정해주고 방콕에 국가 예산 전체의 70%를 쏟아붓고 있습니다. 현재 방콕 인구 1,500만 명, 해마다 찾아오는 관광객의 숫자는 1,600만 명인 슈퍼 메가 시티입니다.


태국의 모든 소비재는 방콕 한 곳에서만 성공하면 태국 전역으로 뻗어나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워낙 치열한 방콕 시장에서 성공하기란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렵지만 어찌 되었든 태국 시장을 공략하려면 방콕 한곳에 집중하면 됩니다.



그런데 베트남은 어떠할까요?



베트남 2개의 메가 시티, 3개의 직할시


최대 경제 도시 호찌민은 인구 1,000만 명, 수도인 하노이는 인구 850만 명. 나머지 3개 직할시인 하이퐁은 200만, 중부 다낭은 130만 남부 껀터는 150만 명입니다. 



제가 베트남 정부가 다른 어떤 아세안 국가보다 현명하고 국정 운영을 잘하고 있다고 보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균형 발전입니다. 외국인들이 남부 호찌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것을 제한하고 북쪽으로 투자 유치를 이끌어 북부 지역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등의 삼성 계열사들과 LG전자, LG화학, LG디스플레이 등의 LG그룹 계열사들 및 그 협력 업체들 중심으로 하노이와 하이퐁 사이에 추가로 공단을 조성하고 수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도로를 새로 만들고 북부 베트남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베트남 정부는 지속적으로 하노이, 호찌민뿐만 아니라 하이퐁, 다낭, 껀터 등 다른 3개 직할시가 고루 발전할 수 있도록 외국인 투자를 분산시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가 예산이 분산되어 쓰이다 보니 국가 발전이 더딥니다. 방콕처럼 한 곳이 집중 투자되면 선진국 못지않은 기반 시설을 들일 수가 있는데 베트남에는 아직 전철, 지하철도 없습니다. (하노이, 호찌민 동시에 건설 중입니다)



2. 분산 성장,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답답


 태국과 베트남 상황 잘 보시면 태국에 진출하려면 방콕에서만 성공하면 되는데 베트남이 최소한 하노이와 호찌민 두 곳에서 사업을 전개해야 합니다.  그런데 '하노이- 호찌민' 거리보다 '호찌민 - 방콕'이 훨씬 가깝습니다. 



베트남 시장을 진출하실 때 인구 9,500만 명의 젊은 인구로만 생각하시지만 하노이와 호찌민 두 곳 동시에 법인을 운영하시는 것이 아니면 시장 구역으로서는 인구 5,000만 미만의 베트남 남부나 베트남 북부 시장으로 나누어서 봐야 합니다.




호찌민을 통해서 하노이 시장 진출은 거의 불가능하시다고 보면 됩니다. 많은 것이 다른 시장입니다. 베트남 호찌민 출신들도 하노이에서 사업하면 힘들다고 이야기합니다. 긴 나라이다 보니 북쪽과 남쪽의 문화가 확연히 다르기 때문입니다.


갑자기 매력적인 시장이 확 쪼그라드는 느낌이지요?


하지만 이러한 균형성장은 베트남 자국민 입장에서는 너무도 좋은 일입니다. 어느 한 곳이 외국 투자자들 때문에 급격히 성장하고 빈부의 격차가 심하게 난다면 필리핀처럼 불행한 나라가 됩니다. 


베트남도 방콕처럼 호찌민이나 하노이 중 한곳에 집중 투자되었다면 꽤나 성숙한 시장이 되어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베트남 정부는 현명하게도 시간이 걸리더라도 차근차근 성장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습니다. 흔들림 없이 기조 유지해야 할 것입니다.


이것이 제가 여러 차례 베트남 지금 당장은 좋은 시장이 아니라고 지속적으로 말씀드리는 이유입니다.

지금은 아니지만, 더디게 성장하고 있기는 하지만  5개 큰 도시들이 같이 성장하고 있으니 3~5년 후면 베트남 시장 엄청 매력적이지 않을까요?





https://brunch.co.kr/@inne79/80







작가의 이전글 베트남 시장 진출시 고려할 점 I - 리스크 확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