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도시파도 Nov 09. 2018

요리와 식사에 관한 단상

제이미 올리버와 발터 벤야민

 요즘 들어, “음식”이 이렇게 미디어의 최전방에 있었던 적이 있을까 싶다. ‘먹방’, ‘쿡방’, ‘#먹스타그램’, ‘요섹남’ 등은 모두 “음식”에서 파생된 최근 2년 동안의 미디어 키워드들이다. 국밥을 먹고 있는데, 식당에서 트는 TV 프로그램 <현지에서도 먹힐까? 중국편>을 보는 ‘나’를 발견한 순간, 미디어 속 ‘음식’은 거의 끝까지 온 것 같다.


 그러나 미디어 밖 ‘음식’은 어떠한가? 나는 가끔 식당에서 음식을 사먹는다. 주로 편의점, 도시락집, 혹은 토스트집에서 사먹는다. 직접 ‘요리’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요리하는 걸 싫어하지 않지만, 조리 환경이 별로 좋지 않고, 1인용 식재료를 사는 건 의외로 비싸기 때문이다. 그래서 식재료를 사는 것보다 음식을 사는 것이 더 저렴하다. 이런 상황을 ‘Food Desert(음식 사막)’이라고 부른다. 미국의 ‘음식 사막’은 매우 심각하지만, 한국도 사막화의 예외는 아닐 것이다. 


 그렇다고 마냥 손놓을 수 없다. 영국의 세계적인 요리사 ‘제이미 올리버(Jamie Oliver)’는 요리를 사회적 운동으로 확산시켰다. 그가 오래 전부터 방송 ‘제이미의 15분 레시피(Jamie’s 15-minute Meals)’, ‘제이미 올리버의 급식혁명(Jamie Oliver’s Food Revolution)’을 기획한 건 음식과 요리가 주는 삶의 질을 사회적으로 전파해야 할 필요성을 알았기 때문이다. 실제 방송 프로그램 ‘급식혁명’은 성공했고, 당시 영국 총리인 노동당의 토니 블레어는 제이미 올리버와의 대담을 통해 영국 급식의 정크 푸드 폐지법을 통과시켰고, 영국 급식의 질 향상을 위한 예산을 올렸다. 


https://www.ted.com/talks/jamie_oliver?language=ko&utm_campaign=tedspread&utm_medium=referral&utm_source=tedcomshare


 제이미 올리버는 이에 그치지 않고, 모든 아이들에게 요리를 가르칠 것(우리에게는 '가정 시간'에 해당한다.)을 강력하게 주장한다. 그는 TED에서 식습관으로 인한 질병이 교통사고와 강력범죄보다 더 많은 사람을 죽게 한다는 통계를 제시하며, 요리를 과소평가한 우리의 인식에 죽비를 내리친다. 이제 그는 유튜브에서 뛰어난 요리사들과 함께 쉽고 건강한 레시피를 전파하고 있다[나도 그의 유튜브 동영상의 덕을 보는 사람이다].


https://youtu.be/6sF_eEuzCEE

(까르보나라가 이렇게 쉽다니!!!)


 요리는 다 만들었다. 이제 먹을 차례다! 그럼 어떻게 먹을까? 그 대답은 100년 전 철학자에게 들어보는 것도 좋겠다. 예술 철학의 개념인 ‘아우라(Aura)’로 유명한 철학자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은 식사에 관해 ‘혼자 식사하는 것(혼밥)’은 엉성해지기 쉽기에 기왕 하려면 스파르타식을 추천한다. 하지만 그는 같이 먹는 것을 더 추천한다. 설령 모르는 사람과 대화하지 않아도 “서로 나누는 것” 그 자체로 식탁은 화기애애하다. 



 사실 벤야민까지 갈 필요없이, 우리는 이미 가족을 ‘식구(食口)’라 부르지 않는가. 김태용의 영화 <가족의 탄생(2006)> 속 계절이 바뀌면서 사람들이 같이 식사하는 장면은 그런 의미에서 읽힌다. “식구(食口)는 가족이다.” 하지만 나는 오늘도 혼밥을 한다. 그것도 매우 엉성한 혼밥을 한다. 그래서 가끔 제대로 된 요리를 사람들과 함께 나누는 상황을 축복이라 ‘생각’한다. 이제는 당연한 행복으로 누렸으면 한다. 이미 ‘시청’과 ‘생각’은 여러 번 했다.



작가의 이전글 '모든 역사는 현대사다,' 앞으로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