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희량 Mar 20. 2023

넷플릭스 영화 <여름밤을 달려봐> : 역할로부터의 해방

Along for the Ride

종종 상대를 어떻게 불러야 할지 감이 안 잡힐 때가 있다. 분명 이름을 아는데도 말이다. 결국 직업이나 직책에 따라 기사님, 사장님, 선생님과 같은 명칭을 찾아낸다. 우리의 이름보다도, 우리의 역할로 부르는 것이 더 익숙하고 자연스럽게 느껴진다니. 우리는 역할에 갇혀 있다. 그래서 역할에 따른 의무와 책임을 더 선명하게 나누는 걸지도 모른다.


이 영화에서 가장 벅차오른 장면은 빅토리아와 하이디의 대화였다. 주인공 오든의 입장에서는 친모와 계모가 된다. 오든의 아빠 로버트의 입장에서는 전 아내와 현 아내. 빅토리아와 하이디만 놓고 보면 전혀 어색하지 않은 친밀한 대화가, 친모와 계모 사이, 전 아내와 현 아내 사이가 되는 순간 요상해진다. 비슷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두 여자의 만남은 왜 생소해야 하는 걸까.


빅토리아(왼쪽), 하이디(오른쪽) 둘이 끌어안고 있는 사진을 올리고 싶었는데, 끝끝내 못 찾았다 / 이미지 출처: Netflix


하이디는 홀로 육아에 파묻혔다. 무심함을 넘어서 무책임한 로버트 때문이다. 하이디는 고통스러워했고, 오든은 엄마 빅토리아에게 도움을 청했다. 그는 하이디에게 가장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빅토리아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하이디와 같은 고통을 먼저 겪고, 싸우고, 극복한 빅토리아는 하이디에게 조언과 격려의 말을 잔뜩 건네주었다. 로버트를 사이에 두고 어정쩡한 적대감이 생길 수도 있었겠지만, 빅토리아와 하이디는 그렇지 않았다. 전 아내와 현 아내 사이의 적대감은 미디어가 만들어낸 고정관념에 지나지 않을지도 모른다.


우리는 껍질에 사로잡혀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 한 꺼풀의 껍질만 벗겨내면, 그 안에 다채로운 개인이 숨어있는데. 빅토리아와 하이디는 껍질을 신경쓰지 않고, 그 안의 개인을 직시했기 때문에 서로의 말에 귀 기울일 수 있었다.


이 영화의 골자도 착실한 학생, 의젓한 딸이라는 역할에 파묻혔던 오든이 그 껍질을 깨고 나오는 것이다. 오든은 규칙과 의무에서부터 벗어나는 일탈을 조금씩 시도하고, 유연한 세상으로 나아간다. 해방이다. <나의 해방일지> 덕분에 한동안 유행처럼 내 머릿속에 각인되었던 단어였는데, 이 영화는 ‘해방’이라는 단어를 한번도 언급하지 않고도 ‘해방’을 이야기한다. 역할과 지위로부터의 해방, 의무로부터의 해방, 명칭으로부터의 해방. 여름밤 바닷가 마을이라는 영화의 배경과 어우러져, 시원한 공기가 해방감과 함께 흐른다.

매거진의 이전글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