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레네 Mar 21. 2021

배우자가 목회자라는 것의 의미

그릇된 사고방식과 매 순간 투쟁하기

이 주제로 오래전부터 글을 써오고 싶었다. 혼인관계를 맺은 이후로 맞닥뜨리게 될 교회 안에서의 이야기를.

다행히 결혼식 다음날에 딱 한 번을 제외하고는, 나는 아직까지 배우자의 교회에 물리적인 출석을 하고 있지 않다. 코로나가 준 수혜를 누리고 있다.

덕분에 공식적인 결혼식 후 6개월이 다 되어가도록 이 주제에 대해 글을 쓸 필요가 없었다.


배우자는 젊은 목회자다. 기독교 집안에서 자라난 나조차도 목회자와 결혼하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잘 몰랐었다.

사실 지금까지도 특별한 의미가 있는 건 아니다. 의미를 부여하는 사람들이 있을 뿐.

가난할 것이고, 배우자의 사역을 위해 헌신해야 하며, 때로는 교회에서 필요한 역할도 감내해야 하는.

목회자와 결혼한 배우자에게 교회가 흔히 기대하는 ‘환상’이다. 나는 이 ‘환상’에 균열을 내어주는 게 내 삶 가운데 사소한 목표가 되었다(그렇다고 인생을 통으로 걸친 거창한 목표는 아니다. 그 정도로 내게 중요한 의미는 아니니까).




배우자의 지인을 만나러 함께 시간을 낸 적이 있었다. 그 지인도 뼛속까지 ‘교회 사람’이었다. 금요일 오후, 지인이 운영하는 카페를 들러 배우자가 나를 소개했다.

내가 일찍 퇴근을 하여 함께 올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자 돌아온 한 마디는 내게 1차 빡침을 선사했다.


어머, 아직도 일을 해?”


문장 안에 단어 하나하나가 아직도 선명하다. 아는 사람은 알 것이다. 과거 목회자와 결혼하는 배우자는 대부분이 직업이 없었고 사역을 함께 했었다. 그게 당연했다. 그 지인은 아직도 그 시대에서 살고 있었다.


나는 첫 만남 때부터 그 사람이 마음에 들 수가 없었다. 마음에 들지 않으면 눈을 잘 마주치지 않는 탓에, 나는 스스로 소외됨을 자처했다. 배우자와 해당 지인이 대화를 하고 나는 옆에서 핸드폰을 하거나 차만 벌컥벌컥 들이킬 뿐이었다.

그러곤 2차 빡침이 왔다.


이제 애 가져야겠네, 애는 언제 가질 거야? 빨리 가져야지.”


우리 부모님도 하지 않는 질문을 왜 생판 모르던 사람에게서 들어야 할까?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툭툭 던지는 대표적인 질문이다. 다른 사람 같으면 그러려니 지나가겠지만 이미 첫인상이 어그러졌던지라, 그 질문조차 불편함과 무례함으로 다가왔다.


마지막 3차 빡침이 남았다. 지인은 주변에 돈 많은 노총각이 있다며, 내게 주위 언니들 중에 괜찮은 사람이 없는지 물었다.


여기는 집안에 돈이 많아서 그냥 살림 잘하고 애만 잘 낳아주면 돼. 애 하나 낳으면 5억씩 주겠대”


1, 2차 빡침에 대해서는 직접 대꾸하지 않았다. 대꾸할 필요도 없었다. 하지만 어처구니없는 마지막 말에는 직접 말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요즘 세상에 그런 여자는 없어요.”




무례함과 구시대적인 사상으로 점철한 사람과 대면하는 건 생각보다 훨씬 기분이 나쁘고 무기력해지는 듯하다. 교회라는 곳은 저런 사람이 득실거리는 곳이겠지. 그날 나는 생각지 못한 투쟁의 중심에 서 있었다.


긍정적으로 생각하자면, 요 근래 일이 힘들어 잠시 일을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었다. 해당 지인과의 만남으로 3차 빡침까지 온 나는 죽기 직전까지도 일을 하다 죽어야겠다는 다짐을 굳히게 되었다. 가끔 일을 하기 싫을 때에는 교회 사람들을 한 명씩 만나 꽉 막힌 사고를 직접 대면하는 것도 나쁘진 않겠다.


목회자인 배우자와 결혼했다는 이유만으로, 내가 어떤 특정한 존재가 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내 배우자는 NGO에 근무하는 나와 결혼했다고 외부에게서 부여받는 역할이나 기대사항이 없다. 역지사지로 생각하는 능력을 키웠으면 좋겠다. 나는 그냥 나로서 존재할 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화를 ‘잘’ 내시나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