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솔라리스의 바다 Nov 26. 2023

서울의 봄 2

주관적인 관점에서 이 영화의 재미적 요소는?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 더구나 슬프고 아쉬웠던 역사물이 재미있었던 이유가 뭔지 생각해 봤다. 웬만하면 안 볼 영화인데, 왜 사람들이 보고 또 좋아할까? 물론 연출을 잘했고, 연기를 잘했고, 촬영도 좋았고 등등이 있겠지만.


내가 생각하기엔,


우선 반란군과 수경사 사이의 전략 공방이 긴장과 몰입을 가속화했다. 마치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을 하는 것처럼, 지도를 놓고 어디에서 어떤 부대를 차출해서 이동시키느냐, 그런 과정에서 부하의 배신, 다리라는 장애물, 시민들의 자동차 같은 부가 요소가 등장하고, 전화로 설득하고 그 전화를 도청해서 재설득하는 과정을 박진감 넘치게 표현했다. (이건 정말 편집의 힘이다.)


이런 이미지는 자칫 예능처럼 보일 수 있었는데, 웬걸 굉장히 흥미진진했다.

그리고 정우성의 힘도 좋았다. (물론 황정민의 전혀 닮지 않았는데 정말 닮은 것처럼 표현한 연기도 있지만) 내가 보기에 정우성 배우는 찌질한 역할을 어울리지 않는다. <똥개>라든지 <아수라>,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같은 영화에서 나오는 캐릭터랑 안 맞는다. 그건 그의 외모적인 부분도 있고, 연기력의 부분도 있을 것이다. (그 옛날 <놈놈놈>에서도 이병헌은 정우성이 맡았던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정우성은 이병헌이 맡았던 역할을 할 수 없었을 것 같다.)


이 영화에서 황정민은 코 연기도 잘했다. 그 사람의 코와 매우 비슷했다.

이 영화에서는 특히 정우성의 아우라가 좋았다. 그건 다른 배우가 할 수 없는 캐릭터였다. 멋진 중년 남자 배우가 잘 없잖아. 


이참에 <남산의 부장들>, <그때 그 사람들>, <서울의 봄>, <화려한 휴가>, <택시운전사>, <헌트>, <변호인>, <1987>을 순서대로 보면 재밌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추가하면 <박하사탕>까지) 아마도 한국 현대사의 흐름을 대략적으로는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서울의 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