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가다의 작은섬 Jan 24. 2023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

나는 어떤 글을 쓸까? (2023.1.24. 화)




어떤 책이 먼저였는지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아마도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가 먼저였을 것 같아요. 제목에 이끌렸을 겁니다. 그리고 아이를 낳고 읽었는지 아니면 결혼 전에 읽었는지 잘 기억은 나지 않습니다만 「어른으로 산다는 것」도 제 책장에 있습니다.


김혜남 작가님의 책을 읽으며 많은 위로를 받았던 것 같아요. 그래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나 때문에 숨이 턱턱 막힐 것 같이 힘들었던 날.’ 눈물이 주체 없이 흐르고 우울하고 나 자신이 너무 싫고 미웠던 어느 날, 큰 결심을 하고 김혜남 작가님을 찾아간 적이 있습니다.



『“환자들이 선생님께 가장 많이 하는 말이 뭔가요?”, “울음요”환자들은 나를 찾아오기까지 굉장히 많은 시간을 홀로 고통스럽게 보낸다. 그래서일까. 그들은 진료실에 들어와 내 앞에 앉으면 울음부터 터트리는 경우가 많았다.』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 71p)


저도 그랬습니다. 얼마나 망설이고 망설이다 찾아갔는지.. 정말 큰 용기를 내어서 찾아갔습니다. 당시 작가님은 인하대학교병원에 계셨어요. 대기실에 자리 잡고 앉아 있는 사람 중에 제가 제일 어렸죠. 제 이름이 호명된 순간, 터질 듯 한 가슴을 부여잡고 진료실로 들어갔습니다.


정말 그랬어요. 선생님과 마주한 그 순간, 의자에 앉자마자 울음부터 나왔습니다. 목이 메고 뭐가 그렇게 서럽고 억울했는지.. 울음이 넘쳐 겨우겨우 한 마디씩 토해냈어요. 하지만 당시 선생님은 많이 아팠었나 봐요.


안타까운 얼굴로 지금 자신은 건강상의 이유로 상담을 할 수 없다며, 영등포에 있는 신경정신과를 소개해주었습니다. 상담을 받지 못했지만, 그 자리에 앉아 울음으로 많은 것을 토해 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 책은 제목도 참 좋지만, 목차를 살펴보는데 마음에 콕 와닿는 제목들이 참 많네요.


‘딱 한 발짝만 내디뎌 볼 것’
‘처음은 누구나 서툴다.’
‘원하는 삶을 산다는 것의 진짜 의미’
‘제발 모든 것을 상처라고 말하지 말 것’
‘공부의 즐거움’
‘그냥 재미있게 살자고 마음먹었을 뿐이다.’
‘때론 버티는 것이 답이다.’
‘힘듦 때일수록 유머를 잃지 않을 것이다.’



『그게 옳은 선택이든 아니든 이제는 결정을 내리고, 선택한 방향으로 한 걸은 한 걸음 나아가야 한다. 가서 경험을 해 봐야 자신과 맞는지 안 맞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 12p)

그럴 날 있잖아요. 고민 고민만 하는 날, 딱 결정해 버리면 마음이 편한데 고민만 하다가 하루가 다 가버린 날, 고민하고 결정하는 시간이 힘든 건지, 결정하고 책임지는 시간이 힘든 건지..


알아요. 불안해서 그런 거죠. 하지만 어차피 해야 할 일이라면 이제 저는 길게 고민하지 않으려고요. 그 일을 하는 것보다 고민하는 그 시간이 더 나를 혼란스럽고 힘들게 한다는 것을 알았으니까요.



『그런데 내가 뭘 그렇게 잘못했단 말인가? 내가 과연 견뎌 낼 수 있을까 두려웠다. ‘내가 왜 이러고 있지?’, 그래서 일어났고, 하루를 살았고, 또 다음 날을 살았다.』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 13p)


오늘 정말 춥네요. 이 추위를 견딜 수 있을까? 싶을 때가 있어요. 코끝이 너무 시려서 '라리 코를 잘라내었으면 좋겠다' 싶은 정도로 추울 때가 있어요. 내가 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견디며 추위가 지나가길 기다리는 것뿐이죠.


제게 인생이란 하루를 살고 또 하루를 살아간다는 것이 얼마나 숭고하며 가치 있는 일이라는 것을 계속 배워 가는 시간인 것 같아요.



『고통과 고통 사이에는 반드시 덜 아픈 시간이 있고,』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 14p)

임신했을 때 말이에요. 11시간 30분을 진통을 했어요. 초산일 경우 그보다 더한 진통으로 고통스러워하는 엄마들이 많은데 그에 비하면 저는 짧은 시간이었죠. 이 진통이란 것이 아이가 세상 밖으로 나오기 위해 자궁문을 두드리는 거예요.


몇 번을 두드리고 나오려고 애쓰는 거죠. 그 시간이 참 엄마에게도 아이에게도 힘든 시간입니다. 아이가 두드리다가 힘드니 잠시 쉬어가는 시간, 그 시간은 엄마가 덜 아픈 시간입니다. 죽을 것 같이 세상이 노래지다가도 아주 찰나, 2초 정도 덜 아픈 시간이 있어요. 그 시간이 있기에 아이도 엄마도 고통을 견디고 서로를 만나는 것 같아요.


삶도 그런 것 같아요. 고통과 고통 사이에 반드시 덜 아픈 시간이 있겠지요. 다만 그 고통이 너무 커서 바로 알 수는 없지만, 그래도 시간이 지나면 마냥 힘들지만은 않았구나.. 하는 걸 보니 말입니다.



『인생을 너무 숙제처럼 해치우듯 살았다는 것이다.』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 15p)


『나 아니면 모든 게 안 돌아갈 거라는 착각 속에 앞만 보며 달려왔고, 그러다 보니 정작 누려야 할 삶의 즐거움들을 놓쳐 버렸다.』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 15p)


제가 만약 김혜남 선생님의 나이가 되었을 때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이란 제목으로 글을 쓴다면 나는 어떤 글을 쓸까요?


이 책을 읽으면서 그게 참 궁금하더라고요. 그럼 나는 하루, 하루 살아가야겠지요. 숙제처럼 살지 말고 나 없으면 안 되는 세상이라는 착각에서 빠져나와 정작 내가 누려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 아는 그런 삶이길 바라요.



매거진의 이전글 ‘삶’이라는 바다「노인과 바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